Article Detail

Home > Article Detail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the Obligatory Adverbs to Select Negative Sentences

Korean Studies Quarterly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16, v.39 no.2, pp.153-178
https://doi.org/10.25024/ksq.39.2.201606.153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대다수 부사는 피수식어를 의미적으로 한정하는 역할에 국한하지만 일부 부사는 문장 구성이나 문법 범주에 영향을 미친다. 문법 범주 중에 부정법에 영향을 미쳐 부정문만 가려잡는 부사가 있고, 그중에 문장 구성에도 영향을 미쳐 문장 구성의 필수 요소로 쓰이는 것들이 있다. 이 글에서는 부정문을 가려잡되, 문장 구성 필수 부사에 해당하는 것으로, ‘꼼짝’, ‘꼼짝달싹’, ‘얼씬’, ‘옴짝’, ‘옴짝달싹’, ‘여간’, ‘그렇게’, ‘이만저만’을 선정하고, 이들 부사의 통사적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부정문을 가려잡는 ‘꼼짝’, ‘꼼짝달싹’, ‘얼씬’, ‘옴짝’은 의존용언과 통사적 구성을 이루어 서술어로서 기능을 하게 하는 부사들이다. 의존용언 중에 부정의 ‘않다’, ‘못하다’, ‘말다’는 그 자체만으로는 서술어로 기능을 하지 못하고 본용언 뒤에 놓여 본용언과 함께 서술기능을 수행하지만, 본용언이 놓이지 않고 이들 부사가 선행하여 서술기능을 보완하여 문장을 구성한다. 부정문을 가려잡는 ‘여간’, ‘그렇게’, ‘이만저만’은 문장 의미 유지로서의 필수 부사로, 이들 부사가 수식어로 쓰인 문장에서 삭제되면 부적격한 문장이 되지는 않지만 삭제 전과 후의 문장 의미가 크게 달라져 문장 구성의 필수 요소에 해당한다. 이들 부사는 부정문만 가려잡으면서 단순히 수식어로서의 기능만 하는 것이 아니라 문장의 의미를 유지하는 데 삭제될 수 없는 필수 요소에 해당한다

keywords
문장 구성, 문법 범주, 부정법, 필수 부사, 통사적 특성, sentence construction, grammatical category, negation, obligatory adverb, syntactic characteristic


Reference

1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편,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9.

2

국립국어연구원 편,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2001.

3

금성판, 『국어대사전』. 금성출판사, 1991.

4

김경훈, 『현대 국어 부사어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6.

5

김석득, 『우리말 형태론』. 탑출판사, 1992.

6

김영희, 「셈숱말로서의 정도부사」. 『한글』190, 한글학회, 1985, 133‒161쪽.

7

김택구, 「우리말 부사어의 통어 기능」. 『두메 박지홍 선생 회갑기념논문집』, 1984, 63‒86쪽.

8

남기심, 『현대국어 통사론』. 태학사, 2001.

9

박선자, 『한국어 어찌말 연구』.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3.

10

박선자, 『한국어 어찌말의 통어의미론』. 세종출판사, 1996.

11

서상규, 「부사의 통사적 기능과 부정의 해석」. 『한글』186, 한글학회, 1984, 73‒113쪽.

12

서정수, 『국어문법』. 뿌리깊은나무, 1994.

13

서정수, 『한국어의 부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5.

14

손남익, 『국어 부사 연구』. 도서출판 박이정, 1995.

15

손남익, 「국어 부사의 수식 대상」. 『한국어학』제4집, 한국어학회, 1996, 47‒66쪽.

16

손남익, 「서법부사와 호응어」. 『인문학보』제23집, 강릉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97, 187‒207쪽.

17

손남익, 「국어 상징부사어와 공기어 제약」. 『한국어 의미학』3, 한국어 의미학회, 1998, 119‒134쪽.

18

손남익, 「국어 부사어와 공기어 제약」. 『한국어학』제9집, 한국어학회, 1999, 157‒179쪽.

19

신기철·신용철 편, 『새우리말큰사전』. 삼성출판사, 1977.

20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원 편, 『연세한국어사전』. 두산동아, 2001.

21

이희승, 『국어대사전』. 민중서림, 1982.

22

임유종, 『한국어부사연구』. 한국문화사, 1999.

23

최현배, 『우리말본』. 정음사, 1971.

24

한글학회 편, 『우리말큰사전』. 어문각, 1992.

25

한길, 「정도어찌씨에 관한 의미론적 연구」. 『새국어교육』37·38, 한국국어교육학회, 1983, 372‒391쪽.

26

한길, 『현대 우리말의 형태론』. 역락, 2006.

27

한길, 「정도부사 ‘훨씬’, ‘가장’, ‘더/덜’의 용법」. 『인문과학연구』제35집, 강원대학교인문과학연구소, 2012, 184‒205쪽.

28

한길 , 「보충어를 요구하는 통사 부사의 용법」. 『인문과학연구』제39집, 강원대학교인문과학연구소, 2013, 224‒249쪽.

29

한길, 『우리말 어찌씨의 짜임새 연구』. 역락, 2014.

30

한길, 「문장 구성을 제약하는 통사 부사의 용법」. 『국어학과 국어교육학』, 채륜, 2015a. 205‒232쪽.

31

한길, 「부정문을 가려잡는 ‘도’ 결합 부사어 연구」. 『인문과학연구』제46집, 강원대학교인문과학연구소, 2015b. 147‒171쪽.

32

허웅, 『20세기 우리말의 통어론』. 샘문화사, 1999.

상단으로 이동

Korean Studies Quarte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