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Detail

Home > Article Detail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A Study on the Meaning Differentiation of Chinese Loanwords of the Same Origins

Korean Studies Quarterly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16, v.39 no.2, pp.129-151
https://doi.org/10.25024/ksq.39.2.201606.129
JINCHUNYUE
  • Downloaded
  • Viewed


Reference

1

권도경·백재연·김영 교주, 『紅樓夢』上卷·下卷. 선문대학교 중한번역문헌연구소, 2004.

2

權仁瀚, 『中世韓國漢字音訓集成』(改訂版). 제이앤씨, 2009.

3

金徑暄, 『국어 하향이중모음의 통시적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8.

4

金鍾權 譯註, 『雅言覺非』. 一志社, 1976.

5

김주필, 『구개음화의 통시성과 역동성』(國語學叢書 26). 國語學會, 2015, 153‒219쪽.

6

金春月, 「낙선재본 『홍루몽』의 중국어 어휘 차용에 대한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석사학위논문, 2012.

7

南豊鉉, 「15世紀 諺解 文獻에 나타난 正音 表記의 中國系 借用 語辭 考察」. 『國語國文學』 제39‒40권, 국어국문학회, 1968a, 39‒86쪽.

8

南豊鉉 , 「中國語 借用語의 有緣性의 獲得과 喪失에 대하여」. 『국어국문학』제41권, 국어국문학회, 1968b, 127‒128쪽.

9

南豊鉉 , 「中國語 借用에 있어서 直接借用과 間接借用의 問題에 對하여‒初刊 ‘朴通事’를 中心으로 하여」. 『李崇寧博士 頌壽紀念論叢』, 1968c, 213‒223쪽.

10

南豊鉉, 「15世紀 國語의 漢字語 借用考」. 『國文學論集』5‒6, 檀國大學校 國語國文學科, 1972a, 3‒22쪽.

11

南豊鉉 , 「中世國語의 中國語 借用 硏究‒單音節 體言을 中心으로」. 『論文集』6, 漢陽大學校, 1972b, 59‒84쪽.

12

南豊鉉 , 「國語 속의 借用語‒古代國語에서 近代國語까지」. 『국어생활』2, 국어연구소, 1985, 6‒22쪽.

13

盧明姬, 「現代國語 異種 語彙의 類義的 共存 樣相」. 『語文硏究』제39권 제2호,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1, 33‒62쪽.

14

박부자, 「‘누비’ 관련 명칭의 국어사적 고찰」. 『韓國服飾』31호, 檀國大學校 石宙善紀念博物館, 2013, 111‒135쪽.

15

박부자, 「왕실발기에 나타난 복식 관련 어휘 차자표기의 한자 운용에 대한 연구」. 『國語學』第75輯, 국어학회, 2015, 335‒372쪽.

16

박재연, 「조선시대 공안협의소설 번역본의 연구 ‒ 낙선재본 『포공연의』와 구활자본『염자왕젼』을 중심으로」. 『中語中文學』第25輯, 39‒71쪽.

17

朴在淵 校點, 『『老乞大』·『朴通事』原文·諺解 比較 資料』. 鮮文大學校 中韓飜譯文獻硏究所, 2003.

18

박재연 주편, 『필사본 고어대사전』. 선문대학교 중한번역문헌연구소, 圖書出版學古房, 2010.

19

朴在淵·金瑛·李玟淑, 『紅樓夢 古語辭典‒홍루몽계 필사본 번역소설에 나타난어휘를 중심으로』. 鮮文大學校 中韓飜譯文獻硏究所, 2004.

20

蕭悅寧, 『韓國語 近代漢音系 借用語 硏究』.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21

소재영·조규익·장경남·최인황, 『주해 을병연행록』. 태학사, 1997.

22

宋基中 해제, 『伍倫全備諺解』(奎章閣資料叢書 語學篇 五). 서울大學校奎章閣, 2005.

23

연규동, 『近代國語 語彙集 硏究‒類解類 譯學書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6.

24

吳鍾甲, 「18世紀 國語 漢字音 表記‒韻書의 字音을 中心으로」. 『語文學』第50輯, 한국어문학회, 1989, 105‒128쪽.

25

劉昌惇, 『語彙史硏究』(國語國文學叢書). 二友出版社, 1980.

26

李基文, 「近世中國語 借用語에 대하여」. 『亞細亞硏究』8‒2,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1965, 193‒204쪽[재수록: 李基文, 『國語 語彙史 硏究』. 東亞出版社, 1991].

27

李基文 , 「語彙 借用에 대한 一考察」. 『언어』제3권 제1호, 한국언어학회, 1978, 19‒31쪽.

28

李基文, 「借用語 硏究의 方法」. 『國語學新硏究 Ⅱ‒若泉 金敏洙敎授 華甲紀念』, 塔出版社,1986, 787‒799쪽.

29

李基文 해제, 『訓蒙字會』(東洋學叢書 第一輯). 檀國大學校附設 東洋學硏究所, 1971.

30

李基文 해제, 『古今釋林』. 아세아문화사, 1977.

31

이준환, 『근대국어 한자음의 체계와 변화 ‒ 성모의 대응 양상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32

이준환, 「中世·近代·開化期의 韻書 및 字書 편찬의 역사」. 『東洋學』第57輯, 檀國大學校 東洋學硏究院, 2014, 159‒186쪽.

33

이지영, 「사전 편찬사의 관점에서 본 『韓佛字典』의 특징 ‒ 근대국어의 유해류및 19세기의 『國漢會語』, 『韓英字典』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제48집,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009, 73‒92쪽.

34

정경일, 『규장전운·전운옥편』, 신구문화사, 2008.

35

정경일, 「한자음 표기와 한글의 위상」. 『한국어학』제42집, 한국어학회, 2009, 1‒25쪽.

36

정길남 편, 『開化期 國語資料集成‒성서문헌편 7』. 박이정출판사, 1996.

37

제송희, 「18세기 행렬반차도 연구」. 『미술사학연구』273, 한국미술사학회, 2012, 101‒132쪽.

38

趙世用, 『漢字語에서 改鑄된 歸化語 硏究‒15세기 以後의 朝鮮漢字音과 中國 中原音으로 書寫된 漢字語를 中心으로』.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6.

39

조정아, 「조선시대 한글편지에 나타난 복식명 연구」. 『중세국어 파생법의 연구성과와 과제』, 2015년 여름 국어사학회 전국학술대회, 2015, 201‒223쪽.

40

파리외방전교회·펠릭스 클레르 리델 지음, 이은령·김영주·윤애선 옮김, 『현대한국어로 보는 한불자전』(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지능형 개화기 한국어사전연구총서 01). 소명출판, 2014.

41

페데리코 마시니 저, 이정재 역, 『중국어 어휘의 형성과 국가어의 발전: 1840‒1898, 근대 중국의 언어와 역사』. 소명출판, 2005(원서명: Federico Masini, The Formation of Modern Chinese Lexicon and Its Evolution Toward a National Language: The Period from 1840 to 1898, Journal of Chinese Linguistic. Monograph Series number 6, Berkeley: Project on Linguistic Analysis, University of California, 1993).

42

하영휘 외 편저, 『옛편지 낱말사전』. 돌베개, 2011.

43

洪允杓 해제, 『方言類釋』. 弘文閣, 1985.

44

황문환, 『(조선시대의 한글 편지) 언간』. 역락, 2015.

45

황문환·임치균·전경목·조정아·황은영 엮음, 『조선시대 한글편지 판독자료집』1·2·3권. 역락, 2013.

46

황호덕·이상현 편, 『한불자뎐』(동아시아개념어총서, 한국어의 근대와 이중어사전). 박문사, 2012a.

47

황호덕·이상현 편, 『한영자뎐』(동아시아개념어총서, 한국어의 근대와 이중어사전). 박문사, 2012b.

48

Campbell, L., Historical Linguistics‒An Introduction. The MIT Press, 2004.

상단으로 이동

Korean Studies Quarte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