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Detail

Home > Article Detail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Boris Pasternak’s Adoption in Korea and ‘Dr. Zhivago’: The Nobel Prize in Literature, Solzhenitsyn, Anti‒Communism, Society of Disaster

Korean Studies Quarterly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17, v.40 no.3, pp.193-224
https://doi.org/10.25024/ksq.40.3.201709.193
LEE, HAENG-SEON
YANG AH LAM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This article aims at examining the literary and cultural influences of foreign literary people and diachronic acceptance history through one of the greatest writers of the Soviet Union, Boris Pasternak’s novels, prose, movies, and autobiographical essays of Boris’ lovers. Dr. Zhivago(1957) was introduced to Korea in 1958 and became a bestseller. In 1968, the movie was screened more than four times in the 1990s and was aired on TV many times. As a result, it was the 9th in ‘the movie 50 that you want to see again from the viewers’ in 1997, the 1st in the literary film selected by the literary artist in the same year, the 6th in the ‘20th century masterpiece’, and it was selected by netizen as the 4th best masterpiece. As such, I wonder why the specific works have been highly appreciated by film artists including general readers and literary men, and that they have gained popularity for a long time, and the literary and cultural influences on Korea. In particular, the writer is more interested because he rejected the Nobel Prize for Literature. In short, this article intends study on diachronic acceptance history in Korea from 1958 to 2000, known as Boris Pastenak’s translation.

keywords
best‒seller, translation literature, Sholokhov, Disaster Literature, anti‒communism, The Nobel Prize in Literature, 베스트셀러, 번역문학, 숄로호프, 재난문학, 반공주의, 노벨문학상


Reference

1

『경향신문』,

2

『동아일보』,

3

『매일경제』,

4

『思想界』,

5

『読売新聞』,

6

『조선일보』,

7

『한겨레』,

8

『現代文學』.

9

데이비드 린 감독, 오마 샤리프·줄리 크리스티 주연, <닥터 지바고(Dr. Zhivago)>(1965). 워너브라더스, 2007. 12.(3시간 17분)

10

막심 고리키 저, 최영민 역, 『어머니』. 석탑, 1985.

11

パスデルナ‒ク 著, 原子林二郞 譯, 『ドクトル·ジバゴ』 第1·2部. 東京: 時事通信社, 1959. 4.

12

보리스 빠스떼르나끄 저, 張世紀 역, 『醫師 지바고』. 文豪社, 1959.

13

빠스떼르나크 저, 申一澈 역, 『人生旅券: 빠스떼르나크의 自敍塼, 一名, 安全通行證』 (1931). 博英社, 1959.

14

파스테르나크·솔제니친 저, 이동현·오재국 공역, 『世界의 文學大全集, 醫師 지바고·이반데니소비치의 하루』. 同和出版公社, 1971.

15

B. 파스테르나크 저, 河東林 역, 『醫師지바고』. 新文出版社, 1978.

16

보리스 파스테르나크 저, 안정효 역, 『자서전적인 에세이: 어느 시인의 죽음』(1977). 까치, 1981.

17

보리스 빠스쩨르나끄 저, 박형규 역, 『나의 누이 나의 삶』. 열린책들, 1989.

18

보리스 파스테르나크 저, 오재국 역, 『닥터 지바고』. 범우사, 1999.

19

보리스 파스쩨르나끄 저, 박형규 역, 『열린책들 세계문학 40. 닥터 지바고』. 열린책들, 2011.

20

보리스 파스테르나크 저, 임혜영 역, 『안전 통행증·사람들과 상황』. 을유문화사, 2015.

21

보리스 파스테르나크 저, 이동현 역, 『닥터 지바고』. 동서문화사, 2016.

22

솔로호프, 『동서세계문학전집, 고요한 돈강』. 동서문화사, 1987.

23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저, 김학수 역, 『수용소군도』(1974). 대운당, 1981.

24

올가 이빈스카야 저, 신정옥 역, 『라라의 回想; 파스테르나크의 戀人(上·下)』. 科學과 人間社, 1978.

25

「醫師 지바고」, 《경향신문》, 1958년 10월 31일자‒1958년 12월 10일자(총 41회)

26

ジョン·ガンサ‒ 著, 湯淺義正 譯, 『ソヴェトの內幕』. 東京: みすず書房, 1959.

27

죤 건서(Gunther, John) 저, 백성환 역, 『소련의 내막(上)』. 성문각, 1961.

28

흐루시초프 저, 鄭洪鎭 역, 『世界의 大回顧錄全集, 흐루시초프』. 翰林出版社, 1981.

29

강헌, 『강헌의 한국대중문화사 2, 자유만세』. 이봄, 2016.

30

권성우, 『비평과 권력』. 소명출판, 2001.

31

D. P. 미르스끼 저, 이항재 역, 『러시아 문학사』(1927). 써네스트, 2008.

32

라쟈노프스키 저, 김현택 역, 『러시아의 역사Ⅱ 1801‒1976』. 까치, 1982.

33

마치엔 외 저, 최옥영·한지영 역, 『노벨문학상 100년을 읽는다』. 지성사, 2006.

34

베른트 슈퇴버 저, 최승완 역, 『냉전이란 무엇인가: 극단의 시대 1945‒1991』. 역사비평사, 2008.

35

에드워드 W. 사이드 저, 박홍규 역, 『오리엔탈리즘』. 교보문고, 2015.

36

한기호, 『베스트셀러 30년』. 교보문고, 2011.

37

공지영, 「지금은, 슬픈 귀를 닫을 때: 닥터 지바고」. 강헌 외, 『내 인생의 영화』, 씨네21북스, 2005, 13‒17쪽.

38

김수영, 「도덕적 갈망자 파스테르나크」(1964). 『김수영 전집 2』, 민음사, 2007, 299‒313쪽.

39

로쟈, 「내적 망명자의 삶과 죽음」. 2000. 7. 15, http://blog.aladin.co.kr/mramor/267842

40

로쟈, 「유토피아의 종말 이후의 유토피아」. 2008. 8. 20, http://blog.aladin.co.kr/mramor/2252568

41

문병란, 「혁명·인간·사랑에 대한 고뇌: 「닥터지바고」, 파스테르나크 著<書評>」. 『現代文學』, 1988. 11, 278‒279쪽.

42

박유희, 「문예영화와 검열」. 『영상예술연구』 17집, 영상예술학회, 2010. 11, 175‒195쪽.

43

박유희, 「박정희 정권기 영화 검열과 감성 재현의 역학」. 『역사비평』 99집, 역사비평사, 2012. 5, 42‒90쪽.

44

박인숙, 「“전환”과 “연속”: 닉슨(Richard Nixon)행정부 “데땅트”정책의 성격」. 『미국학논집』 38권 3호, 한국아메리카학회, 2006, 117‒154쪽.

45

솔제니친, 「표현의 자유를 위하여」. 백낙청 편, 『문학과 행동』, 태극출판사, 1974.

46

오탁번, 「라라에 관하여」. 『아침의 豫言』, 朝光출판사, 1973.

47

이봉범, 「1950년대 문화 재편과 검열」. 『한국문학연구』 34집,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08. 6.

48

이봉범, 「1950년대 번역 장의 형성과 문학 번역」. 『대동문화연구』 79권 0호,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2.

49

이철, 「명저의 초점: 파스테르나크의 의사 지바고」. 『북한』 제160호, 북한연구소, 1985. 4, 207‒213쪽.

50

이행선, 「게오르규의 수용과 한국지성사의 ‘25시’: 전후문학, 휴머니즘, 실존주의, 문명비판, 반공주의, 어용작가」. 『한국학연구』 41집,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5, 9‒41쪽.

상단으로 이동

Korean Studies Quarte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