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Detail

Home > Article Detail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A Study on the Park soon‒ho edition of ‘Hyeonsumunjeon’

Korean Studies Quarterly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19, v.42 no.1, pp.155-178
https://doi.org/10.25024/ksq.42.1.201903.155
JOO, SOOMIN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meaning and value of Park, soon‒ho edition of Hyeonsumunjeon by check whether it is original or not and examine the characteristics feature of narrative. First of all, Park Sun‒ho edition was regarded that volume two was missed because of phrase “connected to volume two” and existing two of “Yang‒Chun”. However, this study shows Park Sun‒ho edition is complete version which was written with careful delivery of the contents by the intellectuals of Chinese literature. On the other hand, the narrative of Park Soon‒ho edition showed a return to the typical hero novel with maintaining Song’s danasty and is different from Hong Yoon‒Pyo edition which has continuous change of dynasty. And as a result of reviewing epilogue and comparison with Hong Yoon‒Pyo edition, it shows Scribe’s Aware of Confucius and China centric view by the various narrative of Park Soon‒ho edition.

keywords
현수문전(Hyeonsumunjeon), 박순호본(Park Sun‒ho edition), 서사적 특징(narrative characteristics), 세계 인식(world recognition)


Reference

1

<현수문전> 박순호 소장 필사본(『한글필사본 고소설 자료총서 49』영인 수록).

2

<현수문전> 홍윤표 소장 필사본.

3

<현수문전> 대영박물관 소장 경판본.

4

<현수문전> 일본 천리대학교 소장 필사본(한국학 중앙연구원 장서각 사본 소장).

5

김혈조, 『열하일기1』. 돌베개, 2017.

6

안기수, 『영웅소설의 수용과 변화』. 보고사, 2004.

7

정충권, 『판소리 문학의 비평과 감상』. 월인, 2016.

8

조희웅, 『고전소설 이본목록』. 집문당, 1999.

9

김수봉, 「현수문전의 영웅소설적 위상」. 『한국문학논총』 제14집, 1993, 177‒196쪽.

10

김용기, 「왕조교체형 영웅소설의 왕조교체 방식 연구」. 『국어국문학』 제153호, 2009, 105‒134쪽.

11

김종철, 「玄壽文傳의 분석」. 『인문논총』 제1권 제1호, 1990, 41‒62쪽.

12

김현정, 「<현수문전>의 이본 특징과 수용양상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13

성해준, 「《명심보감》 본문 각 편의 내용 고찰: 天人思想을 중심으로」. 『남명학연구』제23호, 2007, 513‒545쪽.

14

임채문, 「<현수문전>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15

임헌규, 「孔子의 定命論에 대한 일고찰」. 『철학연구』 제118호, 2011, 223‒247쪽.

16

조해숙, 「<현수문전> 이본고: 작품구성 및 주제의 변모양상」. 『한국국어교육연구회논문집』 제49집, 1993, 59‒88쪽.

17

조희웅, 「<조웅전> 異本攷 및 校注補」. 『어문학논총』 12, 1993, 41‒58쪽.

18

주수민, 「<현수문전> 이본 연구」. 『정신문화연구』 제37권 제2호, 2014, 227‒256쪽.

19

주수민, 「<현수문전>의 창작방식 연구: 大長篇小說 <현씨양웅쌍린기>와의 관계를중심으로」. 『고전과 해석』 17, 2014, 147‒179쪽.

20

주수민 , 「한글 고소설 이본 확산의 일 경향과 그 의미: <현수문전>을 중심으로」. 『고소설연구』 제42집, 2016, 83‒109쪽.

21

주수민, 『고전소설에 나타난 중국 인식 연구: 원·청 배경 작품을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18.

22

주수민, 「<현수문전> 경판본의 표면적 지향과 이면적 실체」. 『한국고전연구』 제41집, 2018, 261‒289쪽.

23

주형예, 「동양문고본 <현수문전>의 서사적 특징과 의미」. 『열상고전연구』 제15집, 2002, 221‒249쪽.

24

최범호, 「현수문전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6.

상단으로 이동

Korean Studies Quarte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