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20세기 초 하와이 이민사회의 「혹부리 영감」 각색공연 고찰

A Study of <The Singing Wen> Adapted from Hokpuri yŏngkam in Early Twentieth‒century Hawai’i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21, v.44 no.1, pp.7-41
https://doi.org/10.25024/ksq.44.1.202103.7
최희영 (Northern Illinois University)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1940년 하와이 한인의 봄 축제 무대에 초연되었던 「혹부리 영감」 이야기의 각색 연극 <노래하는 혹>의 대본과 소책자 분석을 통해, 그 내용과 배경 및 의의를 분석하였다. 1세대 및 2세대 한인들의 협력으로 완성된 <노래하는 혹> 공연은 현 호놀룰루 미술관 주최로 아시아 이민자들의 축제를 소개하는 다문화 행사의 하나로써 한국을 대표하는 단오제를 소개하는 무대에 올려졌다. <노래하는 혹>은 내용 면에서 도깨비가 등장하는 일본판 혹부리 영감에 기초하고 있으나, 한국의 전통결혼, 종교, 음식, 언어, 의복, 거주환경, 음악 및 춤 등 다양한 한국 문화적 요소를 접목하여 완전히 새로운 공연물로 재탄생되었다. 하와이 정부는 1차 세계 대전이 종료된 이후 1941년 12월 일본의 하와이 진주만 공격으로 급속히 전시체제로 돌입하기 전까지 이민자들의 원활한 정착과 그들 간 분쟁 방지의 목적으로 여러 다문화 행사를 적극적으로 장려해 왔었다. 일제의 식민지 문화 말살 정책으로부터 벗어나 자유롭게 다문화 환경을 누리고 있던 하와이 한인은 <노래하는 혹>과 같은 공연 무대를 통해 민족 정체성을 알리는 동시에 다민족 이민자들로 이루어진 지역 주민과의 교류를 도모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이민자 문화역사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일제 강점기 황국 신민화 정책의 잔재로 알려진 20세기 초 「혹부리 영감」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제시한다.

keywords
Hokpuri yŏngkam, Early twentieth‒century Hawai’i, Diasporic culture, Ethnic identity, Multiculturalism, 혹부리 영감, 20세기 초 하와이, 이민자 문화, 민족 정체성, 다문화주의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contents, social background, and purposes of The Singing Wen, a Korean play that Korean Hawaiians adapted from a Korean folk tale, Hokpuri yŏngkam in the late 1930s. The play was premiered at the 1940 Korean Spring Festival, one of the multicultural events where different ethnic groups shared their own tradition and culture in early twentieth‒century Hawai’i. The play adapted the Japanese version based on goblin; yet, multi‒generational Korean Hawaiians transformed it into a totally new performance by adding new characters, plots, and diverse cultural elements showing Koreanness(e.g., traditional marriage; religion; food; language; costume; residential environment; music; and dance). As this study argues, the Koreans in Hawai‘i, freed from Japanese colonial policies repressing Korean culture, preserved Korean ethnic identity and showed their adaptability to new cultural environments through performing arts like The Singing Wen. This study contributes to deepening our understanding of the Korean diaspora and Hokpuri yŏngkam, which has been known as one of the vestiges of Japanese imperialism.

keywords
Hokpuri yŏngkam, Early twentieth‒century Hawai’i, Diasporic culture, Ethnic identity, Multiculturalism, 혹부리 영감, 20세기 초 하와이, 이민자 문화, 민족 정체성, 다문화주의


참고문헌

1

《Honolulu Star‒Bulletin》.

2

《Honolulu Academy of Arts News Bulletin And Calendar》.

3

<The Singing Wen> 시놉시스, 대본, 및 소책자, Robert Allerton Art Library, Honolulu Museum of Art.

4

김용의, 『혹부리 영감과 내선일체』. 전남 대학교 출판부, 2011.

5

김원용, 『재미한인오십년사』. 혜안, 2004.

6

리차드 쉐크너 저, 이기우 외 역, 『퍼포먼스 이론 1』. 한국문화사, 2001.

7

리차드 쉐크너 저, 김익두 역, 『민족 연극학』. 한국문화사, 2004.

8

이덕희, 『하와이 이민 100년』. 중앙 M&B, 2003.

9

Ellis, George R, Honolulu Academy of Arts, Selected Works. Honolulu: Honolulu Academy of Arts, 1990.

10

Patterson, Wayne, The Ilse: First ‒Generation Korean Immigrants in Hawai‘i, 1903‒1973 . Honolulu: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0.

11

Takaki, Ronald T., Pau Hana: Plantation Life and Labor in Hawaii, 1835‒1920. Honolulu: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83.

12

강상대, 「근대 ‘혹부리영감’ 서사의 자료적 고찰: ‘조선 전설・동화 조사’(1913)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문예창작』 제18권 1호, 2019, 63‒98쪽.

13

김종대, 「혹부리 영감담의 형성과정에 대한 고찰」. 『우리문학연구』 제20집, 2006, 29‒60쪽.

14

박혜성, 「한국 전래동화에 나타난 도덕성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7.

15

이덕희, 「하와이 다문화에 한인 이민자들도 기여했을까?: 하와이 한인 이민사의 경험과 교훈, 1903‒1959」. 『아시아리뷰』 제4권 제1호, 2014, 73‒93쪽.

16

최대희, 「하와이 초기 한인 이민사회와 ‘불교의 부재’」. 『민족연구』 제73호, 2019, 86‒111쪽.

17

최영화, 「劇전환을 통한 전래동화의 현대적 재창조 과정 연구: 뮤지컬 <혹부리영감과 비보이 도깨비>의 形象化 과정을 중심으로」. 『드라마 연구』 제32권, 2010, 267‒309쪽.

18

Choi, Heeyoung, “Multicultural Musicscape for National Pride: Performing Arts of East‒Asian Diasporas in Hawai‘i before WWII.” Asian Culture and History 12(1), 2020, pp. 9‒16.

19

Mydin, Raihanah M., “Multiculturalism and the Politics of Expression: An Appraisal.” European Journal of Social Sciences 7(3), 2009, pp. 63‒70.

20

Sutton, Anderson R., “Korean Music in Hawaii.” Asian Music 19(1), 1987, pp. 99‒120.

21

Yoo, David K., “Nurturing Religious Nationalism: Korean Americans in Hawaii.”in Practicing Protestants, edited by Laurie Maffly‒kipp, et al.(Baltimor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6), pp. 100‒117.

22

Zile, Judy Van, “Korean Dance in Hawaii.” in From the Land of Hibiscus: Koreans in Hawaii, ed. Yŏng‒ho Chʻoe(Honolulu: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7), pp. 256‒278.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