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Detail

Home > Article Detail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Methodology on Strengthening the Thinking Process: Wordless Teaching

Korean Studies Quarterly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21, v.44 no.2, pp.197-231
https://doi.org/10.25024/ksq.44.2.202106.197
HyeSoon Park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인류는 4차 산업혁명으로 제2의 기축시대에 본격적으로 진입했다. 이러한 발전이 인류에게 도움이 될지는 아직 의문이다. 3차 산업까지 이 세계의 중심축은 인간이었지만 이제 AI가 그 자리를 대체할 전망이기 때문이다. 이 글은 인류 역사의 거대한 변곡점에서 불언지교가 철학 본연의 임무인 ‘고도의 사유력 확장’에 기여할 수 있는지 검토한다. 인간의 현좌표는 자연과 AI의 중간지점이고, 이들 셋은 각기 다른 법칙에 따라 존재하거나 작동한다. 자연은 무위의 법칙에 따라 운행되고, AI는 인위의 법칙에 따라 작동되며, 중간적 존재자인 인간은 양쪽 법칙 모두 따라야 한다. 그리고 지식 전달방식에서 ‘지능적 능력’인 인위의 법칙은 언지교로, ‘무위적 가르침’은 불언지교로 전승된다. 불언지교의 중요성은 인간의 존엄성 및 독특성을 유지하고 사유력을 강화하는 힘이 있고, 데이터를 기반으로 작동하는 AI에게는 접근불허의 영역이므로 4차 산업시대에 AI와의 경쟁력 확보에 필수적이라는 것이다. 지금까지는 언지교가 지배적 지위를 장악하고 불언지교는 상대적으로 소홀하게 여겨져 왔지만, 문명의 원동력인 학문을 온전하게 발전시키려면 언지교와 불언지교의 융합은 필수적이다. 이에 나는 미래변화에 대응방안의 하나로 인위와 무위, 언지교와 불언지교의 융합을 제안한다.

keywords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I(Artificial Intelligence), Wordless Teaching, Teaching of Speech, Strengthen the Thinking Process, 4차 산업혁명, AI, 불언지교, 언지교, 사유력 강화


Reference

1

『道德經』

2

『莊子』

3

『尙書』

4

『大學章句』

5

『論語』.

6

古漢語常用字字典編寫組 編, 『古漢語常用字字典』. 1998年版, 北京: 商務印書館, 1998.

7

谷衍奎 編, 『漢字源流字典』. 北京: 華夏出版社, 2003.

8

嚴靈峰 編, 『王注老子道德經』(日本刊). 臺北: 藝文印書館, 民國53[1964].

9

王力 主編, 『古代漢語』 校訂重排本 第一冊~四冊. 北京: 中華書局, 1999.

10

原編者王力等, 『古漢語常用字字典』 第4版. 北京: 商務印書館, 2005.

11

陳鼓應 註譯, 王雲五 主編, 『老子今註今譯: 及評介』. 臺北: 臺灣商務印書館, 民國77[1988].

12

焦竑弱侯 輯, 『老子翼; 莊子翼』. 東京: 富山房, 1974.

13

焦竑弱侯, 『도덕경 강의』. 국학자료원, 1996.

14

백종현, 『철학의 주요 개념 1·2』.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04.

15

빅토르 위고 저, 백연주 역, 『웃는 남자』. 더클래식, 2018.

16

최진석, 『노자의 목소리로 듣는 도덕경』 제2장. 소나무, 2001.

17

플라톤 저, 최호연 편역, 『프로타고라스/메논』. 두로, 1997.

18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엮음, 『생태문명 생각하기: 내 삶을 바꾸는 환경철학』. 크레파스북, 2018.

19

한나 아렌트 저, 김선욱 역, 『예루살렘의 아이히만』. 한길사, 2017.

20

Carl Sagan, Billions and Billions 저, 김한영 역, 『에필로그』. 사이언스북스, 2004.

21

Daniel Bell 저, 김원동·박형신 역, 『탈산업시대의 도래(The Coming of Post‒Industrial Society)』. 아카넷, 2006.

22

Erich Fromm 저, 황문수 역, 『사랑의 기술(The Art of Loving)』. 문예출판사, 2013.

23

Karl Jaspers 저, 백승균 역, 『역사의 기원과 목표』.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86.

24

Karl Raimund Popper 저, 이한구 역, 『열린사회와 그 적들 1(The Open Society and It’s Enemies)』. 민음사, 2013.

25

Platon, Protagoras 저, 강성훈 역, 『프로타고라스』(정암학당 플라톤 전집). 이제이북스, 2011.

26

박혜순, 『도가의 관점에서 본 물에 관한 생태 철학적 연구』. 서강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27

박혜순, 「삶과 죽음 그리고 자유에 대한 해석학적 접근」. 『생명연구』 제47집, 2018, 1‒46쪽.

28

박혜순, 「수평사회를 지향하는 聖人의 自의 연구」. 『생명연구』 제51집, 2019, 57‒80쪽.

29

배헌국, 「노자의 비교육의 교육」. 『교육철학』 39, 2017, 99‒130쪽.

30

원용준, 「도가의 교육론과 그 윤리교육적 의의」. 『동양문화연구』 14, 2013, 69‒99쪽.

31

이성미, 「『장자』를 통해 본 마음과 교육」. 『교육철학연구』 36, 2014, 73‒98쪽.

32

이성미, 「양자 물리학의 확률적 세계와 장자의 안명무위(安命無爲)」. 『교육철학연구』 38, 2016, 121‒143쪽.

33

조민환, 「도가의 교육사상과 그 현대적의의」. 『동양철학연구』 32, 2003, 207‒227쪽.

34

조순영, 「노자 도덕경을 통한 생태유아교육 교육관의 해석」. 『생태유아교육연구』 13, 2014, 1‒19쪽.

35

조순영·임재택, 「노자 『도덕경』의 유아교육적 의미」. 『유아교육연구』 31, 2011, 137‒154쪽.

36

조한석, 「『노자』의 ‘불언지교’에 대한 교육 방법론적 재조명」. 『종교교육학연구』 25, 2007, 47‒63쪽.

37

김진숙, 「제4차 산업혁명과 교육의 역할」. 《에듀인뉴스》, 2016년 8월 9일.

38

이강봉 편집위원, 「게임으로 학생 능력 평가한다: 미 교육계, 시험방식 개선 위해 ‘스텔스 평가’ 실험」. 《ScienceTimes》, 2011년 2월 9일.

39

최혜원, 「4차 산업혁명시대에 필요한 교육은? 미래교육 실천이 답이다」. 《ScienceTimes》, 2018년 6월 27일.

40

EBS 다큐프라임, 「<4차 산업혁명시대 교육대혁명> 2부 평가의 틀을 깨라」. 2017년 9월 19일 21:50 방송.

상단으로 이동

Korean Studies Quarte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