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Detail

Home > Article Detail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Mediating Women’s Experiences and Feminist Counter‒Public Sphere: Abortion Narratives of Park Wansuh and Gong Jiyoung

Korean Studies Quarterly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21, v.44 no.2, pp.313-348
https://doi.org/10.25024/ksq.44.2.202106.313
Yang Haewon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Drawing on the relation between feminist counter‒public sphere and feminist literature discussed by Rita Felski, this study explores the reason why there seemed to have been no such relation in the feminist counter‒public sphere of the 2010s as it fought for decriminalization of abortion. In constrast to the late 20th century when there was a dynamic relation between women’s movement and women’s literature, in 2010s, due to the lack of language for expressing women’s expriences of abortion, narratives of Park Wansuh and Gong Jiyoung are revisited. As I analyze the abortion narratives of Park Wansuh and Gong Jiyoung I call for the need to keep a contsructive tension between women’s literature and feminist politics. I conclude by suggesting that as women’s issues, including abortion, have become transnational, Korean women’s literature also needs to be studied in relation to global translation literature.

keywords
Feminist Counter‒Public Sphere, Korean Women’s Literature, Abortion Narrative, Park Wansuh, Gong Jiyoung, 페미니스트 대항‒공적 공간, 한국 여성 문학, 낙태 서사, 박완서, 공지영


Reference

1

공지영, 『수도원 기행』. 오픈하우스, 2009[개정신판].

2

공지영, 『착한 여자 1, 2』. 오픈하우스, 2002.

3

공지영·지승호, 『괜찮다, 다 괜찮다: 공지영이 당신께 보내는 위로와 응원』. 알마, 2008.

4

박완서, 「그 가을의 사흘 동안」. 『그 가을의 사흘 동안(나남문학선 8)』, 나남, 1985, 223‒263쪽.

5

박완서, 「꿈꾸는 인큐베이터」. 『’93 현대문학상 수상소설집 4』, 현대문학, 1993, 21‒72.

6

박완서, 『그대 아직도 꿈꾸고 있는가(박완서 소설전집 15)』. 세계사, 1999, 9‒167쪽.

7

박완서, 『아주 오래된 농담』. 실천문학사, 2000.

8

박완서, 『박완서, 문학의 뿌리를 말하다』.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1.

9

박완서, 「해산바가지」. 『모든 것에 따뜻함이 숨어 있다: 박완서 문학앨범』, 웅진지식하우스, 2011, 132‒168쪽.

10

박완서, 『박완서의 말: 소박한 개인주의자의 인터뷰』. 마음산책, 2018.

11

조남주, 『82년생 김지영』. 민음사, 2016.

12

최인호, 「山門」. 『’93 현대문학상 수상소설집 4』, 현대문학, 1993, 354‒397쪽.

13

성과재생산포럼 기획, 『배틀그라운드: 낙태죄를 둘러싼 성과 재생산의 정치』. 후마니타스, 2018.

14

Felski, Rita, Beyond Feminist Aesthetics: Feminist Literature and Social Change,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1989.

15

강진옥, 「소설 『82년생 김지영』에 나타난 랑시에르의 ‘문학의 정치’와 그 한계」. 『정치사상연구』 제25집 제1호, 2019, 180‒204쪽.

16

김경희, 「꿈꾸는 인큐베이터의 담론 분석과 의미 해석」. 『비평문학』 제32집, 2009, 49‒71쪽.

17

김미경, 「낙태 담론과 페미니즘 욕망의 문학적 형상화: 아이힝어의 『거울이야기』와 박완서의 『그 가을의 사흘 동안』을 중심으로」. 『헤세연구』 제23집, 2010, 185‒202쪽.

18

김보경, 「『또 하나의 문화』의 여성시에 나타난 ‘차이’라는 여성 연대의 조건과 가능성」. 『한국현대문학연구』 제60집, 2020, 119‒151쪽.

19

김양선, 「박완서 소설의 대중성 연구: 1980년대 여성문제 소설 다시 읽기」.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제54집(16권 1호), 2012, 215‒234쪽.

20

백영경, 「성적시민권의 부재와 사회적 고통: 한국의 낙태 논쟁에서 여성 경험의 재현과 전문성의 정치 문제」. 『아시아여성연구』 제52집 제2호, 2013, 43‒71쪽.

21

양현아, 「여성의 임신종결권리의 필요성과 그 함의」. 『생명윤리』 제7집 제1호(통권 제13호), 2006, 15‒33쪽.

22

양현아, 「의료법상 태아의 성감별 행위 등 금지 조항의 위헌 여부 판단을 위한 사회과학적 의견」. 『서울대학교 법학』 제50집 제4호, 2009, 1‒34쪽.

23

양현아, 「낙태에 관한 다초점 정책의 요청: 생명권 대(對) 자기결정권의 대립을 넘어」. 『한국여성학』 제26집 제4호, 2010, 63‒100쪽.

24

양현아, 「낙태죄 헌법소원과 여성의 ‘목소리’[2]: 법과 낙태실천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법철학연구』 제21집 제1호, 2018, 213‒260쪽.

25

우혜란, 「"낙태아 천도재"와 여성」. 『종교와 문화』 제17집, 2009, 133‒173쪽.

26

정고은, 「2015‒2016년 페미니즘 출판/독서 양상과 의미」. 『사이間SAI』 제22호, 2017, 167‒198쪽.

27

정영자, 「90년대 여성소설의 특성연구: 양귀자, 공지영을 중심으로」. 『비평문학』 제15집, 2001, 333‒398쪽.

28

후쿠시마 미노리, 「『82년생 김지영』에 열광한 일본 독자들, 그 이후는 어떻게 되었을까」. 『문화과학』 제102집, 2020, 177‒201쪽.

29

허윤, 「광장의 페미니즘과 한국문학의 정치성」. 『한국근대문학연구』 제19집 제2호, 2018, 123‒151쪽.

30

Chun, Heeran and Monica Das Gupt, “Gender discrimination in sex selective abortions and its transition in South Korea,” Women’s Studies International Forum, Vol. 32 (2009), pp. 89‒97.

31

Gillette, Meg, “Modern American Abortion Narratives and the Century of Silence.” Twentieth Century Literature, Vol. 58 No.4(2012), pp. 663‒687.

32

Yang, Haewon. Lived Gender in the Confucian Culture of Korea: Lives of Park Wansuh(1931‒2011) and Gong Jiyoung(1963‒ ). Doctoral Dissertation, Claremont Graduate University, 2017.

33

Yun, Ch’oe, “Late twentieth‒century fiction by women,” in Peter H. Lee ed., A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pp. 481‒496.

34

김효선, 「그대 아직도 꿈꾸고 있는가」, 《여성신문》, 2011년 1월 28일자(www. wome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8370. 최종검색일 2021년 3월15일.

35

한겨레신문, 「‘호주제 폐지’ 이뤄낸 여성계 원로 100인, 낙태죄 전면 폐지 나섰다」, 2020년 9월 27일자(www.hani.co.kr/arti/society/women/963810.html. 최종검색일 2021년 3월15일.

36

고정희·김숙희·박완서·엄인희·조옥라·조혜정·정진경·조형, 「페미니즘 문학과 여성운동」. 『또 하나의 문화』 제3호, 1987, 14‒29쪽.

37

김고연주, 「우리 모두의 김지영」. 『82년생 김지영』 작품 해설, 민음사, 2016, 179‒190쪽.

38

김선혜, 「분단사회 여성운동의 역사와 과제: 호주제 폐지에서 낙태죄 폐지까지」. 『(故)이이효재 교수 추모 및 재출간 기념 학술대회 자료집』, 2021, 69‒79쪽.

39

김윤식, 「심사평: 중편 형식과 균형 감각」. 『’93 현대문학상 수상소설집 4』, 현대문학, 1993, 498‒499쪽.

40

박완서·박혜란·조혜정·김혜순·장필화·박일형·김성례, 「살아남기 위한 말, 살리기 위한 말」. 『또 하나의 문화』 제9호, 1992, 23‒51쪽.

상단으로 이동

Korean Studies Quarte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