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숙종 연간 조・청 관계의 맥락과 대보단의 시대적 기반

The Context of Joseon‒Qing Relations in the Reign of King Sukjong and the Periodical Foundation of the Altar of Great Gratitude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21, v.44 no.2, pp.45-78
https://doi.org/10.25024/ksq.44.2.202106.45
김성희 (국사편찬위원회)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1680년대 이후 청이 중원의 헤게모니를 확고히 장악함에 따라 조선에 대한 청의 외교적 압박이 강화되었다. 청 제국질서에 적응하고 국가를 부지하기 위해 조선은 적극적인 대청사대를 시행하였으며, 1690년대 이후 양국의 관계는 점차 안정 국면으로 접어 들었다. 그러나 사대처의 교체라는 중대한 변화 속에서 조선이 전통적으로 견지하였던 화이론적 사유체계는 시의를 상실하게 되었다. 이에 조선의 군신은 이념의 근간을 새롭게 다지고 왕정의 명분을 강화하기 위한 대내적인 노력을 경주하였다. 조・청 관계의 안정세가 명확하였던 1700년대 초반 명 황제에 대한 국왕의 독점적 의례 공간 대보단이 건립된 사실은 그와 같은 노력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대보단은 조선이 종래 지향하였던 존주대의의 이상과 대청사대의 현실 사이의 길항을 해소할 수 있는 의례적 장치였다. 청과의 마찰은 피하되 종래의 중화보편에 대한 지향을 큰 틀에서 유지할 수 있는 공존의 방편을 마련한 것은 새로운 국제질서에의 적응이라는 시대적 과제를 해소하는 활로로서의 의미를 지닌다고 하겠다. 아울러 숙종은 대보단 의례의 친행을 통해 국왕의 권위를 가시적으로 구현하였으며, 존주대의를 앞장서 선양함으로써 왕정의 명분을 강화하였다.

keywords
청 제국질서, 중화, 대보단, 국조오례의, the Imperial Order of the Qing Empire, the Center of Civilization, the Altar of Great Gratitude, Book on the Five Rites of the State

Abstract

Since the 1680s, the Qing Empire’s diplomatic pressure on Joseon has intensified. In order to adapt to the Imperial Order of Qing, Joseon actively implemented diplomatic rituals. Relations between Joseon and Qing have gradually stabilized since the 1690s. However, the opposition prevailed among the intellectual class of Joseon and their hostility against Qing was heightened. Thus, the king of Joseon and his vassals made efforts in order to re‒establish the basis of ideology and strengthen the cause of the monarchy. The fact that the king’s exclusive ritual space for Ming Emperor, the Altar of Great Gratitude (K. Taebodan) was established in the early 1700s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such efforts. Taebodan was a ritual device for practicing the ideals of the center of civilization that Joseon had long been internalized. It was an efficient political tool which enabled the king to avoid friction with the Qing and to maintain the traditional ideological system of Joseon. It was also a space to visualize the ritual authority of the king.

keywords
청 제국질서, 중화, 대보단, 국조오례의, the Imperial Order of the Qing Empire, the Center of Civilization, the Altar of Great Gratitude, Book on the Five Rites of the State


참고문헌

1

『인조실록』

2

『현종실록』

3

『숙종실록』

4

『승정원일기』

5

『비변사등록』

6

『동문휘고』

7

『통문관지』

8

『국조오례의』

9

『聖祖仁皇帝實錄』.

10

계승범, 『정지된 시간: 조선의 대보단과 근대의 문턱』. 서강대학교 출판부, 2011.

11

구범진, 『청나라, 키메라의 제국』. 민음사, 2012.

12

김문식, 『조선왕실의 외교의례』. 세창, 2017.

13

김영식, 『중국과 조선, 그리고 중화』. 아카넷, 2018.

14

박주, 『조선시대의 정표정책』. 일조각, 1990.

15

夫馬進, 『조선연행사와 조선통신사』.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9.

16

우경섭, 『조선중화주의의 성립과 동아시아』. 유니스토리, 2013.

17

이화자, 『朝淸國境問題硏究』. 집문당, 2008.

18

이화자, 『한중국경사연구』. 혜안, 2011.

19

전해종, 『한중관계사연구』. 일조각, 1970.

20

정만조, 『조선시대 서원연구』. 집문당, 1997.

21

정옥자, 『조선후기 지성사』. 일지사, 1991.

22

허태구, 『병자호란과 예, 그리고 중화』. 소명출판, 2019.

23

허태용, 『조선후기 중화론과 역사인식』. 아카넷, 2009.

24

김경록, 「朝鮮時代 使臣接待와 迎接都監」. 『韓國學報』 117호, 2004, 73‒120쪽.

25

김문식, 「조선후기 국왕의 南漢山城 행차」. 『조선시대사학보』 60호, 2012, 105‒138쪽.

26

김문식, 「조선시대 外交儀禮의 특징」. 『동양학』 62호, 2016, 77‒98쪽.

27

김성우, 「17세기의 위기와 숙종대 사회상」. 『역사와 현실』 25호, 1997, 12‒47쪽.

28

김우진, 『숙종대의 수도권 방어정책과 국왕의 대응』.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29

김윤주, 「순조대 『빈례총람(儐禮總覽)』의 편찬과 빈례 정비」.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30

김창수, 「18‒19세기 병자호란 관련 현창과 기억의 유지」. 『조선시대사학보』 81호, 2017, 137‒168쪽.

31

김창수, 「조선후기 조선・청 관계와 국왕의 건강 문제: 숙종 초반 교영례(郊迎禮)를 둘러싼 갈등을 중심으로」. 『대한의사학회』 통권 66호, 2020, 999‒1028쪽.

32

노대환, 「숙종・영조대 對明義理論의 정치 사회적 기능」. 『한국문화』 32호, 2003, 153‒179쪽.

33

손성욱, 「淸 朝貢國 使臣 儀禮의 形成과 變化」. 『동양사학연구』 143호, 2017, 273‒315쪽.

34

손성욱, 「王世子 冊封으로 본 淸・朝 관계(康熙 35년‒乾隆 2년)」. 『동양사학연구』 146호, 2019, 193‒230쪽.

35

신진혜, 『조선후기 종묘의례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36

우경섭, 「17‒18세기 임진왜란 참전 明軍에 대한 기억」. 『한국학연구』 46호, 2017, 323‒354쪽.

37

유바다, 「朝鮮 初期 迎詔勅 관련 儀註의 성립과 朝明關係」. 『역사민속학』 40호, 2012, 123‒160쪽.

38

이명제, 『17세기 청・조선 관계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1.

39

이욱, 「조선후기 전쟁의 기억과 대보단(大報壇) 제향」. 『종교연구』 42호, 2006, 127‒163쪽.

40

이정일, 「조선후기 기자인식에 나타난 유교문명과 보편성」. 『韓國史學報』 37호, 2009, 203‒232쪽.

41

이재경, 「삼번(三藩)의 란(亂) 전후(1674‒1684) 조선의 정보수집과 정세인식」. 『한국사론』 60호, 2014, 185‒237쪽.

42

이재경, 「大淸帝國體制 내 조선국왕의 법적 위상: 국왕에 대한 議處・罰銀을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 83호, 2019, 403‒446쪽.

43

이현진, 「명․청의 賜祭・賜諡에 대한 조선의 대응」. 『조선시대사학보』 63호, 2012, 131‒163쪽.

44

임경준, 「三藩의 亂과 淸朝의 盛京地域 支配體制 强化: ‘新滿洲’ 佐領의 이주와 三藩의 安揷을 中心으로」.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45

임부연, 「유교 의례화의 정치학: 만동묘와 대보단을 중심으로」. 『종교문화비평』 15호, 2009, 159‒182쪽.

46

임현채, 「18세기 犯越사건을 통해 본 朝鮮의 對淸 태도」,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47

정해은, 「숙종 초기 평안도의 변장 증설과 방어 체제의 변화」. 『사학연구』 120호, 2015, 37‒74쪽.

48

정혜중, 「청대 조선인과 청국인 범월의 특징: 양국 범월사례의 분석을 중심으로」. 『명청사연구』 26호, 2006, 69‒88쪽.

49

지두환, 「조선 병자호란 충신 열사에 대한 현창정책」. 『한국학논총』 34호, 2010, 795‒819쪽.

50

최종석, 「鞠躬인가 五拜三叩頭인가?」. 『한국문화』 83호, 2018, 227‒263쪽.

51

최종석, 「조선초기 迎詔禮 운영과 『蕃國儀注』」. 『역사와 담론』 86호, 2018, 139‒177쪽.

52

한형주, 「對明儀禮를 통해 본 15세기 朝‒明관계」. 『역사민속학』 28호, 2008, 39‒75쪽.

53

허태용, 「17세기 중・후반 중화회복의식의 전개와 역사인식의 변화」. 『한국사연구』 134, 2006, 75‒109쪽.

54

허태용, 「영・정조대 중화계승의식의 강화와 송・명 역사서의 편찬」. 『조선시대사학보』 42호, 2007, 237‒269쪽.

55

허태용, 「17・18세기 北伐論의 추이와 北學論의 대두」. 『대동문화연구』 69호, 2010, 373‒418쪽.

56

허태용, 「성리학으로 조선시대를 설명하는 연구 경향의 비판적 고찰」. 『역사비평』 127호, 2019, 317‒350쪽.

57

홍성구, 「청질서의 성립과 조청관계의 안정화: 1644‒1700」, 『동양사학연구』 140호, 2017, 155‒194쪽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