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Detail

Home > Article Detail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Sociological Study on the Development Process of Korean Baseball: Focusing on the Background of Popularization of Baseball in the 1970s

Korean Studies Quarterly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21, v.44 no.2, pp.349-381
https://doi.org/10.25024/ksq.44.2.202106.349
kimeunsik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1982년 프로야구 창설은 전두환 정권의 기획과 주도에 의한 것이었지만, 그것이 가능한 환경이 만들어진 것은 1970년대였다. 따라서 1970년대에 한국사회에서 갑작스럽게 이루어진 야구 발전의 원인을 규명하는 것은 오늘날 한국에서 야구가 가지는 사회적 의미들을 충분히 설명하기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각종 언론 보도와 기록들, 그리고 관련자들의 증언들을 분석함으로써 1970년대에 한국야구의 급격한 성장이 이루어진 원인들을 탐색했다. 그 결과 1960년대에 진전된 도시화와 산업화는 대중적 스포츠의 성장을 위한 조건을 만들었으며, 그 위에 실업야구팀의 증설을 비롯한 박정희 정권의 적극적인 야구진흥정책과 전국체전 지방순회개최를 계기로 전국에 건설된 야구장들이 1970년대 고교야구의 양적 성장으로 이어졌으며, 불균형한 산업발전과 정치과정에서 비롯된 지역대결의식이 고교야구의 지역대결구도와 맞물려 야구의 인기가 광역화되고 전국으로 확산되는 질적 변화로 이어졌음을 밝혔다.

keywords
Baseball, 1970’s, Regionalism, Social Change, 야구, 1970년대, 지역주의, 사회변동


Reference

1

《경향신문》

2

《대한뉴스》

3

《동아일보》

4

《월간조선》

5

《조선일보》

6

《중앙일보》.

7

국가지표체계(index.go.kr).

8

국가통계포털(kosis.kr).

9

세계은행(data.worldbank.org).

10

한국은행경제통계(ecos.bok.or.kr).

11

대한체육회, 『체육연감』(1961‒1988).

12

한국광고협회, 『한국광고100년』. 한국광고협회, 1996.

13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018 스포츠산업백서』. 문화체육관광부, 2019.

14

한국야구위원회 보도자료(2013년 2월 26일).

15

한국야구위원회·대한야구협회, 『한국야구사』. 1999.

16

한국은행, 『한국의 국민소득』. 한국은행, 1978.

17

한국일보, 『한국일보30년사』. 한국일보사, 1984.

18

김봉연(2017년 8월 9일 자택에서 면담)

19

박영길(2011년 9월 13일 논현동 카페에서 면담)

20

이용일(2009년 12월 20일 야구회관에서 면담)

21

이희수(2015년 1월 16일 한화 이글스 필승관에서 면담)

22

임호균(2020년 3월 13일 야구회관에서 면담).

23

고흥화, 『한국인의 지역감정』. 성원사, 1989.

24

김낙년·박기주·박이택·차명수, 『한국의 장기통계 1』. 해남, 2018.

25

김은식, 『서울의 야구』. 서울역사편찬원, 2017.

26

박배균·장세훈·김동완, 『산업경관의 탄생』. 알트, 2014.

27

이종구 외, 『1970년대 산업화 초기 한국노동사 연구』. 고용노동부, 2002.

28

장태영, 『백구와 함께 한 세월』. 홍, 1998.

29

R.Thomas 저, 이규식 역, 『스포츠의 역사』. 한길사, 2000.

30

김명권, 「한국 프로야구의 창립배경과 성립과정」. 『스포츠인류학연구』 제7권 2호, 2012, 163‒183쪽.

31

김은식, 「1970년대 한국사회의 변동과 프로야구의 탄생」. 『한국학』 제42권 2호, 2019, 479‒509쪽.

32

김익기, 「지역감정 해소방안: 사회조사 결과에 근거하여」. 『한국의 지역주의와 지역갈등』, 성원사. 1989, 385‒402쪽.

33

문석남, 「지역격차와 갈등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학』 제18권 1호, 1984, 134‒173쪽.

34

송은영, 「1970년대 여가문화와 대중소비의 정치」. 『현대문학의 연구』 제50권, 2013, 39‒72쪽.

35

안민석, 「프로야구 선수협의회 사태와 한국 프로스포츠의 구조」. 『황해문화』 30호, 2001, 357‒367쪽.

36

양순창, 「스포츠의 정치적 상징성과 상징조작기제에 관한 연구」. 『국제정치논총』 제43권 3호, 2003, 53‒72쪽.

37

이강우, 「한국사회의 스포츠이데올로기에 관한 연구(Ⅱ)」. 『한국체육학회지』 제36권 2호, 1997, 43‒58쪽.

38

이경자, 「신문체육기사분석」. 『한국체육학회지』 제9권, 1974, 121‒136쪽.

39

이옥흔·주동진·김동규, 「제3공화국과 제5공화국의 국가주의 스포츠정책 성향 비교」. 『한국체육정책학회지』 제1권 1호, 2003, 65‒77쪽.

40

이종성, 「1970년대 고교야구의 전국화와 지역주의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사학회지』 제22권 3호, 2017, 49‒64쪽.

41

임식·허진석, 「제3공화국 스포츠체육정책 연구사의 비판적 검토」. 『스포츠와 법』 제12권 1호, 2009, 105‒130쪽.

42

전용배·김애랑, 「한일야구의 사회문화적 함의 비교」. 『일본근대학연구』 제34권, 2011, 309‒325쪽.

43

최종선, 「TV 스포츠방송 편성에 관한 분석적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3.

44

한홍구, 「한국민주주의와 지역감정: 남북분단과 동서분열」. 『역사연구』 제37권, 2019, 677‒707쪽.

45

Bang‒Chool Kim, “More than a Game : Sport and Politics in Korea, 1961‒1992.” Korean Journal of History Physical Education, Sport and Dance, Vol.8. 2001, pp. 16‒29.

상단으로 이동

Korean Studies Quarte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