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586-0755
  • E-ISSN 2799-8444

경력단절여성 대상 강점 중심 그룹코칭 프로그램이 자존감, 구직효능감,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 Group Coaching Program Focusing Strengths on Self-esteem, Job Search Efficacy, and Resilience for Career Discontinued Women

한국심리학회지: 코칭 / KOREAN JOURNAL OF COACHING PSYCHOLOGY, (P)2586-0755; (E)2799-8444
2017, v.1 no.1, pp.73-97
https://doi.org/10.51457/kjcp.2017.06.1.1.73
최경화 (광운대학교 산업심리학과 박사과정)
탁진국 (광운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경력단절여성 대상 강점 중심 그룹코칭이 자존감, 구직효능감,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경력단절여성을 대상으로 12명의 실험집단과 11명의 통제집단을 선발하였고, 선발된 실험집단은 6명씩 두 그룹으로 나누고 주 1회120분씩 6회기로 그룹코칭을 실시하였다. 코칭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사전검사, 사후검사, 코칭 실시 1개월 후 추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통해서 두 집단의 동질성을 확인 한 후 사전, 사후, 추후에 대한 시점과 실험, 통제 집단 간 상호작용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강점 중심 그룹코칭 실시 후 자존감, 회복탄력성, 구직효능감 향상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와 평균 점수의 상승이 확인됨에 따라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추후에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로 코칭의 효과성이 지속됨을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제한점, 향후 연구에 관해 논의하였다.

keywords
코칭, 그룹코칭, 긍정심리학, 강점, 자존감, 구직효능감, 회복탄력성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maine the effects of a group coaching program on increasing self-esteem, job search efficacy, and resilience for career discontinued women. Participants were 23 women who experienced career discontinuity, 12 for the experiment group and 11 for the control group. Data were collected across three times(pre, post, follow-up), The follow-up test was administered one month after the final coaching. The group coaching program lasted 2 hours once a week for six sessions.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ime interval and groups for all the dependent variables, confirming the positive effects of the coaching program. Also, there were non significant effects of time interval(post and follow-up) for all the dependent variables, confirming the duration of the program effect across time.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keywords
coaching, group coaching program, positive psychology, strength, self-esteem, job efficacy, resilience


참고문헌

1

강민채 (2014). 경력단절여성이 지각하는 사회적지지가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강미라 (2014). 유아특수교사의 회복탄력성과내적 직무만족 간의 관계: 외적 직무만족을 매개변수로 하여, 정서․행동장애연구, 30(2), 481-510.

3

권석만 (2012). 긍정심리학- 행복의 과학적 탐구. 학지사.

4

김병숙 (2007). 기업이 요구하는 대학의 취업진로 교육과 인재 육성 방법. 여성인적자원개발연구, 9, 1-23.

5

김지영, 권석만 (2013). 성격강점의 인식과 활용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32(4), 783-802.

6

김주환 (2011). 회복탄력성. 위즈덤 하우스.

7

김주환, 신우열, 함정현 (2009). 긍정심리학 관점에서 커뮤니케이션 이론 다시 보기. 커뮤니케이션 이론, 학술저널 5(1), 86-122.

8

김태은, 탁진국 (2007). 재취업 질의 선행변인과 결과변인에 대한 종단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0(1), 57-80.

9

문원정 (2009). 대학생의 성격적 강점이 학업성취도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0

민성혜 (2011). 실업사유가 자기존중감에 따라 구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직업학과 직업상담 전공 석사학위논문.

11

박미윤 (2013). 강점을 활용한 코칭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구직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효과. 광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박부금, 이희경(2012). 강점 활용 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31(3),599-616.

13

박예슬 (2011). 경력단절여성 취업지원 프로그램의 효과분석 : 노동부 WIN(Woman Into New Jos, Career, Life)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박은경 (2010). 실업급여수급자의 구직효능감과 사회적 지지가 구직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박정숙 (2006). 한국의 고학력 경력단절여성의 직업교육: 여성인력개발센터를 중심으로. 서강대 공공 정책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박정영 (2010). 효과적인 그룹코칭 프로세스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코칭학회, 코칭연구, 3(1), 41-64.

17

박춘금 (2012). 커리어 코칭 프로그램이 전문대학생 구직효능감,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효과. 광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배해련 (2012). 대학생의 회복탄력성이 지각된 진로장벽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백혜연 (2011). 긍정 심리 코칭이 대학생의 긍정성에 미치는 영향. 광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송경신 (2010). 여성결혼이민자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가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 호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송은선 (2012). 경력단절 여성의 경력단절 요인 및 직업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신재민 (2013). 여성의 일-삶의 균형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 효과.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3

안윤정 (2009). 여성가장 실업대책에 대한 비판적 연구 : 실직 여성 '가장' 의 경험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양찬미 (2011). 대학생의 실제 대표 강점과 지각된 대표 강점의 차이. 계명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25

유정은 (2015). 강점 활용 그룹코칭프로그램이 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광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윤정애 (2013). 인문교양교육 참여가 구직효능감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경력단절여성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윤혜경 (2007). 고학력 경력단절여성의 직업진로탐색 경험 분석: 직업교육 프로그램의 중장년 참여자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8

은혜경 (2010). 경력단절 기혼여성의 재취업 성공 요인 탐색.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9

은혜경, 김창대 (2011). 경력단절 기혼여성의재취업을 위한 진로유연성 탐색 : 재취업성공 기혼여성의 인식을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2(2), 651-671.

30

이정현 (2012). 특수학교 교사의 심리적 소진 및 직무만족도와 회복탄력성의 관계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1

이지현 (2012). 만 5세 유아의 회복탄력성과 부모의 회복탄력성의 경향 및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2

이진아 (2003). 경력개발에서 여성의 자신감에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여성학과 석사학위 논문.

33

이희경 (2010). 코칭심리의 미래.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10(1), 350-351.

34

이희경 (2014). 코칭심리워크북. 학지사.

35

임은수 (2012). 커리어코칭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광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임선미 (2016). 정서표현성과 회복탄력성 간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고려대학석사학위논문.

37

임창현 (2012). 긍정정서코칭이 여성의 자기효능감과 자기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광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8

장서영, 은혜경, 최미정 (2008). 경력단절여성경력개발지원 프로그램 개발. 진로교육연구, 21(4), 1-21.

39

전인경 (2013). 경력 단절 기혼 여성의 재취업욕구와 행동 요인. 경북대학교 행정대학원석사논문.

40

전정환 (2012). 강점기반 상담모형을 토대로 한 진로의사결정 프로그램이 전문계고등학생의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41

조성연, 홍지영 (2010). 성인 학습자의 인구학적 변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적응성의 관계연구. 상담학연구, 11(3), 1099-111.

42

조지연 (2013). 긍정심리기반 강점 중심 코칭 프로그램이 대학생들의 자기효능감, 진로의사결정 및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광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조지연, 탁진국 (2016). 긍정심리기반 강점코칭프로그램이 대학생들의 자기효능감, 진로의사결정 및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3(1), 279-304.

44

조성진 (2010). 코칭 효과 연구를 위한 코칭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인적자원개발연구, 13(1), 27-74.

45

조순일 (2009). 경력단절여성이 노동시장 재진입에 관한연구: 고학력여성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6

최창호 (2011). 대학생 진로취업지원에 있어서 코칭의 대안성 탐색. 취업진로연구, 1, 79-99.

47

탁진국 (2010). 코칭심리의 필요성.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0(1), 344-345.

48

탁진국, 임그린, 정재희 (2014). 행복증진을 위한 긍정심리기반 코칭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한국심리학회: 일반, 33(1), 139-166.

49

한선영 (2015). 회복탄력성, 일-삶 균형과 직무만족의 관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0

홍영희 (2013). 사회복지사의 회복탄력성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1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 191-215.

52

Bolles, R. N. (2013). What color is your parachute? 조병주 옮김, 한국경제신문.

53

Branden, N. & Bennis, W. (1998). Self-esteem at work: How confident people make powerful companies. Jossey-Bass.

54

Diener, E. (1984).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95(3), 542-575.

55

Diener, R. B. (2011). Practicing Positive Psychology Coaching. 우문식, 윤상운 옮김, 물푸레.

56

Elston, F. & Boniwell, I. (2011). A grounded theory study of the value derived by women in financial services through a coaching intervention to help them identify their strengths and practise using them in the workplace. International Coaching Psychology Review, 6(1), 16-32.

57

Frederic, B. L. & Lowenstein, R. W.(1999). What good are positive emotion,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2, 300-319.

58

Fredrickson, B. L. (2001). The role of positive emotions in positive psychology.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56(3), 218-226.

59

Fredrickson, B. L. & Joiner, T. (2003) Positive emotions trigger upward spirals toward emotional wellbeing. Psychological Science, 13, 172–175.

60

Govindji, R. & Linley, A. (2007). Strengths use, self-concordance and well-being: Implications for strengths coaching and coaching psychologists. International Coaching Psychology Review, 2(2), 143-153.

61

Grant, A. & Palmer, S. (2002). Coaching Psychology of Workshop. Torguay, 18 May. Annual conference of the Division of Counselling Psychology, British Psychology Society.

62

Grant, A. M. (2009). Enhancing coaching skills and emotional intelligence through training. Industrial and Commercial Training, 39(5), 257-266.

63

Hackman, J. R. & Oldham, G. R. (1975). Development of the job diagnostic survey.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60, 159-170.

64

Kanfer, R. & Hulin, C. A. (1985). Individual Differences in Successful Job Searches following Lay-off, Personnel Psychology, 38, 835-847.

65

Kets de Vries, M. F. R.(2005). Leadership group coaching in action: The Zen of creating high performance teams. Academy of Managmant Executive, 19(1), 61-76.

66

Lent, R. W., Brown, S. D. & Hackett, G. (2000). Contextual supports and barriers to career: A social cognitive analysi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7(1), 36-49.

67

Lent, R. & Hackett, G. (1987). Career self-efficacy:Empirical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Journal of Vocations Behavior, 30(3), 347-382.

68

Linley, P. A. & Harrington, S. (2006). Strengths coaching: a potential-guided approach to coaching psychology. Intemational Coaching Psychology Review, 1, 37-46.

69

Linley, P. A. (2008). Average to A+: Realising strengths in yourself and others. Coventry, UK:CAPP Press.

70

Linley, P, A., Nielsen ,K, M., Gillett, R & Biswas-Diener, R. (2010). Using signature strengths in pursuit of goals. International Coaching Psychology Review 5(1) 1750-2764.

71

Littman-Ovadia, H., Lazar-Butbul, V. & Benjamin, B. A. (2014). Strengths-based career counseling: Overview and initial evaluation.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3, 403-419.

72

Locke, E. A., McClear, K,, Knight, D. (1996). Self-Esteem and Work. International review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11, 1-32.

73

McDowall, A. & Butterworth, L. (2014). How does a brief strengths-based group coaching intervention work? Coaching: An International Journal of Theory, Research & Practice, 2, 152-163.

74

Minhas, G. (2010). Developing realised and unrealised strengths: Implications for engagement, self-esteem, life satisfaction and wellbeing. Assessment and Development Matters, in press.

75

Myers, D. G. & Diener, E. (1995). Who is happy? Psychology Science, 6, 10-19.

76

Palmer, S. & Whybrow, Q. (2007). Handbook of coaching psychology : A Guide for practioners. London & New York, Routledge.

77

Peterson, C. & Seligman, M. E. P. (2004). Character strengths and virtues: A handbook and classifica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78

Perterson, C. (2006). A primer in positive psycholog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79

Phillips, J. M. & Gully, S. M. (1997). Role of goal orientation, ability, need for achievement, and locus of control in the self-efficacy and goal-setting proces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2, 792-802.

80

Post, S. & Neimark, J. (2007). Why good things happen to good people. NewYork: Random House.

81

Proctor, C., Maltby, J., & Linley, P. A. (2011). Strengths use as a predictor of well-being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12(1), 153-169.

82

Reivich, K. & Shatté, A. (2003). The resilience factor. New York: Broadway Books.

83

Seligman, M. E. P., Rashid, T. & Park, A. C. (2006). Positive psychotherapy. American Psychologist, 61, 774-778.

84

Sheldon, K. M. & King, L. (2001). Why positive psychology is necessary. American Psychologist, 56(3), 216-217.

투고일Submission Date
2017-03-03
수정일Revised Date
2017-05-20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17-06-09
상단으로 이동

한국심리학회지: 코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