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586-0755
  • E-ISSN 2799-8444

내면가족시스템(IFS)이론 기반 감정관리 코칭 모형

Emotion-Management Coaching Model Based on Internal Family Systems (IFS) Theory

한국심리학회지: 코칭 / KOREAN JOURNAL OF COACHING PSYCHOLOGY, (P)2586-0755; (E)2799-8444
2017, v.1 no.2, pp.23-43
https://doi.org/10.51457/kjcp.2017.12.1.2.23
권수영 (연세대학교)
성기정 (연세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R. C. Schwartz에 의해 발전된 내면가족시스템(internal family system; IFS) 이론에 기반한 감정관리 코칭 모형을 제시한다. 내면가족시스템 이론은 인간의 정서가 신경생물학 및진화론적으로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선형적인 접근이 아닌 시스템적 접근으로 이해하려는 방식을 취한다. 이 이론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나쁜’ 혹은 ‘부정적인’ 감정으로 통제의 대상처럼 간주되는 불안, 분노, 슬픔 등은 개인의 정서적 차원의 생존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감정이다. 내면가족시스템 이론에 근거한 감정관리 코칭모형은 부정적 감정의 신호(signal)를 어떻게 자기연민의 태도로 존중하며 균형 있는 시스템을 재구성하기 위해 다루어가는가에 주목한다. 아울러, 마음의 다양성 패러다임을 전제로 일반 시스템이 아닌 ‘가족’ 시스템의 관점에서 접근함으로써, 개인의 내면 시스템을 이루고 있는 여러 부분들(parts) 간의 관계를 가족들 간의 역동 관계로 이해하도록 돕는다. 본 연구의 전반적인 논의는 내면가족시스템(IFS) 이론에 대한 이해, 내면가족시스템 이론을 적용한 기존의 강점기반 코칭 모형, 그리고 본 연구의 시스템적 이해를 바탕으로 고안한 내면가족시스템 기반 감정관리 코칭 모형의 제시로 구성된다

keywords
내면가족시스템(IFS), 감정관리 코칭, 시스템 접근, 자기연민, 마음의 다양성proach, self-compassion, multiplicity of m

Abstract

This study proposes an emotion-management coaching model based on the internal family systems (IFS) theory developed by R. C. Schwartz. The internal family system based emotion-management coaching model is a systemic approach rather than a linear approach for various emotional functions. This considers a view point from neurobiology and theory of evolution in how human emotions or affects work. Anxiety, anger, and sadness, which are generally regarded as ‘bad’ or ‘negative’ feelings, are essential for an individual's emotional survival. The emotion-management coaching model based on the internal family system focuses on how these emotional signals can be understood and processed with self-compassion aiming for a balanced internal system. In addition, by approaching from a ‘family’ system perspective, it help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ts of an individual's internal system as mutual dynamics between family members. This also is based on the paradigm of diversity of mind and systemic thinking. The overall discussion of this study consists of (1) an understanding of the internal family system theory, (2) an already-developed, strength based coaching model, which uses the internal family systems theory, and (3) an alternative proposal of an IFS based emotion-management coaching model, which reflects the above understandings.

keywords
Internal Family Systems (IFS), emotion-management coaching, systemic apind


참고문헌

1

Bowkett, S., & Percival, S. (2010). Coaching emotional intelligence in the classroom: A practical guide for 7-14. London: Routledge.

2

Chamorro-Premuzic, T. (2013). Can you really improve your emotional intelligence. Harvard Business Review.

3

Elkind, D. (1967). Egocentrism in adolescence. Child Development, 38(4), 1025-1034.

4

Fosha, D., Siegel, D., & Solomon, M. F. (2017). 감정의 치유력. 노경선, 김건종 역. 서울:NUN.

5

Gazzaniga, M. S. (2004). The cognitive neurosciences. MIT press.

6

Gilbert, P. (2010). An introduction to compassion focused therapy in cognitive behavior therapy. International Journal of Cognitive Therapy, 3(2), 97-112.

7

Gilbert, P. (2014). 자비중심치료. 조현주, 박성현 역. 서울: 학지사.

8

Goleman, D. P. (1995). Emotional intelligence: Why it can matter more than IQ for character, health and lifelong achievement. New York: Bantam Books.

9

Gottman, J. (2011). Raising an emotionally intelligent child. Simon and Schuster.

10

Haddock, S. A., Weiler, L. M., Trump, L. J., & Henry, K. L. (2017). The efficacy of internal family systems therapy in the treatment of depression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A pilot study.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43(1), 131-144.

11

Kabat‐Zinn, J. (2003). Mindfulness‐based interventions in context: Past, present, and future. Clinical Psychology: Science and Practice, 10(2), 144-156.

12

Keltner, D. (2011). 선의 탄생. 하윤숙 역. 서울:옥당.

13

Moore, M. (2013). Coaching the multiplicity of mind: A strengths-based model. Global Advances in Health and Medicine, 2(4), 78-84.

14

Moral, M., & Angel, P. (2014). 코칭. 이승신, 한민수 역. 서울: NUN.

15

Neale, S., Spencer-Arnell, L., & Wilson, L. (2011). Emotional intelligence coaching: Improving performance for leaders, coaches and the individual. London: Kogan Page Publishers.

16

Neff, K. D. (2003). Self-compassion: An alternative conceptualization of a healthy attitude toward oneself. Self and Identity, 2, 85-102.

17

Reeve, J. (2011). 동기와 정서의 이해. 정봉교외 역. 서울: 박학사.

18

Rosenberg, M. B. (2011). 비폭력 대화. 캐서린한 역. 서울: 한국NVC센터.

19

Ryan, R. M., & Deci, E. L. (2000).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the facilitation of intrinsic motivation, social development, and well-being. American Psychologist, 55(1), 68-78.

20

Schore, A. N. (2009). Right-brain affect regulation. In D. Fosha, D. J. Siegel, & M. Solomon (Eds.). The healing power of emotion: Affective neuroscience, development & clinical practice. New York: W. W. Norton & Company.

21

Schwartz, R. (1995). The internal family systems therapy. New York: Guilford Press.

22

Sweezy, M. (2011). The teenager's confession:Regulating shame in internal family systems therapy. American Journal of Psychotherapy, 65(2), 179-188.

23

Sweezy, M. & Ziskind, E. L. (2013). Internal family systems therapy: New dimensions. New York:Routledge.

24

Wall, B. (2006). Coaching for emotional intelligence:The secret to developing the star potential in your employees. AMACOM: A Division of American Management Association.

25

권수영 (2016). 나쁜 감정은 나쁘지 않다. 서울:그리고 책.

26

권수영 (2015). 트라우마와 기억의 재구성. 신학논단, 79, 11-41.

27

김유미 (2009). 명상 기반 인지행동 프로그램이 아동의 정서안정도에 미치는 효과. 아동교육, 18(2), 105-115.

28

김혜순 (2012). 유아의 정서조절과 스트레스대처능력이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21(1), 21-36.

29

선혜영, 김수연, 이미애, 탁진국 (2017). 강점코칭프로그램이 직장인의 강점자기효능감, 긍정정서, 자기효능감, 직무열의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30(2), 221-246.

30

신현균 (2012). 학교 장면의 인지행동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우울취약성 감소와 주관적 안녕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1(3), 687-711.

31

오지현 (2016). 어머니의 아동기 수용 경험, 사회적 지지와 감정코칭 반응이 아동의 정서조절 방식에 미치는 영향: 매개된 조절효과 검증. 아동학회지, 37(4), 101-115.

32

이시연 (2017). 청소년의 정서조절능력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대인관계역량의 매개효과. 디지털융복합연구, 15(8), 445-454.

33

이은비, 김정규 (2013). 게슈탈트 관계성 향상프로그램 (GRIP) 이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정서조절곤란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게슈탈트상담연구, 3, 1-19.

34

이지영, 권석만 (2010). 체험적 정서조절방략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1), 95-116.

35

이지영, 권석만 (2006). 정서조절과 정신병리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8(3), 461-493.

36

이희경 (2013) 정서역량개발을 위한 임원코칭;MSCEIT 활용사례.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3(1), 103-103.

37

정경숙, 정봉교 (2016). 긍정적 자기표현 코칭프로그램이 장노년 여성의 자존감, 정서적 안녕감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정서․행동장애연구, 32(2), 229-245.

38

조성희 (2015). 유아의 정서조절능력과 리더십이 유치원 적응력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9(5), 171-191.

39

조용래 (2017). 마음챙김에 기반을 둔 정서조절 개입의 잠정적인 작용기제로서 경험수용과 가치로운 행동의 변화에 대한 탐색적 연구. 인지행동치료, 17(1), 65-85.

40

한희경, 성원경, 김진영 (2014).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교직인, 적성의 관계 연구. 직업교육연구, 33(5), 43-62.

41

홍민영 (2014). 긍정정서를 활용한 기업 코칭전략 및 효과 탐색. 연세상담코칭연구, 1, 183-204.

42

홍인희, 김정자 (2007). 분노조절 게슈탈트 집단상담 프로그램 시안. 교류분석과 심리사회치료 연구, 4, 57-77.

투고일Submission Date
2017-11-17
수정일Revised Date
2017-12-04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17-12-15
상단으로 이동

한국심리학회지: 코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