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586-0755
  • E-ISSN 2799-8444

한국형 웰니스 척도(KWS) 개발 및 타당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Korean Wellness Scale

한국심리학회지: 코칭 / KOREAN JOURNAL OF COACHING PSYCHOLOGY, (P)2586-0755; (E)2799-8444
2021, v.5 no.2, pp.127-170
https://doi.org/10.51457/kjcp.2021.12.5.2.127
최경화 (광운대학교)
탁진국 (광운대학교 산업심리학과 교수)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한국의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삶의 중요 영역에서의 웰니스(wellness) 추구 행동을 측정하기 위 한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웰니스 척도개발을 위하여 문헌 검토, 전문가 인터뷰, 심층 인 터뷰, 개방형 설문 1, 2차를 거쳐서 도출된 31개 요인, 182문항은 최종 10개 요인, 99문항으로 선정하였다. 한국의 일반 성인 351명을 대상으로 한 예비조사 결과의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10개 요인 58문항을 도 출하였고, 각 요인에서 중요한 개념을 반영한 문항들을 일부 수정해서 10개 요인 63문항으로 본조사를 실 시하였다. 667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본조사에서는 본 검사의 구성개념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전체 표집 을 두 집단으로 나누어 한 집단은 탐색적 요인분석을 하고, 또 다른 집단은 확인적 요인분석을 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최종적으로 10개 요인(일, 공동체, 가족, 타인, 경제력, 자아존중, 여가, 신체 건강, 영성, 자기 성장) 63문항을 도출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확인적 요인분석에서는 모형적합도 기준을 충족하고 있는 것을 검증하였다. 도출된 웰니스 척도와 그 하위요인들이 실제로 웰니스를 측정하 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정신적 웰빙 척도(K-MHC-SF)와 웰니스 지표(Wellness Index for Workers)를 사용하 여 수렴 타당도가 검증되었다. 준거 관련 타당도 검증을 위해 주관적 행복감(Subjective Happiness Scale)과 삶의 만족 척도(Satisfaction with Life Scale) 변인과 요인들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유의한 상관으로 나타났 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각 경로에 유의성을 확인한 결과 웰니스 척도의 ‘자아존중’ 은 주관적 행복감과 삶의 만족감에 가장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과정과 결과에 대 한 논의와 학문적 의의 및 실무적 의의, 그리고 제한점과 미래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keywords
웰니스, 한국 성인, 삶의 중요 영역, 웰니스의 구성개념, 웰니스 척도, 타당화

Abstract

This study developed a measure to measure wellness-seeking behavior in important areas of life for general adults in Korea and verified its validity. For the development of the wellness scale, 31 factors derived through literature review, expert interviews, in-depth interviews, open questionnaires 1 and 2, and 182 questions were selected as the final 10 factors and 99 questions.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f the results of the preliminary survey of 351 adults in Korea, 58 questions of 10 factors were derived, and some of the questions reflecting important concepts in each factor were revised, and this survey was conducted with 63 questions of 10 factors. In this survey conducted on 667 people,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composition concept of this test, the entire sampling was divided into two groups, one group was subjected to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other group was subjected to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s a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63 questions of 10 factors (work, community, family, others, economic power, self-esteem, leisure, physical health, spirituality, and self-growth) were finally derived,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verified that the model fit criteria were met. Convergence validity was verified using the K-MHC-SF and Wellness Index for Workers to verify whether the derived wellness scale and its sub-factors actually measure wellnes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and factors of the Subjective Happiness Scale and Life Scale to verify the validity related to the criteria, it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correlation.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significance of each path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elf-esteem’ on the wellness scale was identifi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subjective happiness and life satisfaction. Finally, discussions on this research process and results, academic significance and practical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presented.

keywords
wellness, Korean adults, important areas of life, wellness composition concept, wellness scale, validation


투고일Submission Date
2021-11-04
수정일Revised Date
2021-12-28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21-12-29
상단으로 이동

한국심리학회지: 코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