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586-0755
  • E-ISSN 2799-8444

사회적 가치 코칭은 누구에게 유익한가? 사회적 가치 코칭이 일의 의미와 직무만족, 잡크래프팅에 미치는 영향: 조절초점의 조절효과

To whom is social value coaching useful? The effects of social value coaching on meaning of work, job satisfaction, and job crafting: The moderating role of regulatory focus

한국심리학회지: 코칭 / KOREAN JOURNAL OF COACHING PSYCHOLOGY, (P)2586-0755; (E)2799-8444
2021, v.5 no.2, pp.83-100
https://doi.org/10.51457/kjcp.2021.12.5.2.83
이수란 (경남대학교)
조지선 (연세대학교)
정은경 (강원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사회적 가치 코칭이 기업의 재직자들에게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살펴보고, 사회적 가치 코칭에서 특히 유익을 얻는 개인 특성으로 조절초점을 상정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국내 모 대기업의 재직자들을 대상으로 코칭 모델을 적용한 사회적 가치 코칭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사회적 가치 코칭을 받은 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일의 의미, 헤도니아적 직무만족, 유데모니아적 직무만족, 잡크래프팅이 증가하는지를 살펴보았으며, 이를 조절하는 조절초점의 역할이 분석되었다. 향상초점의 조절효과는 전혀 나타나지 않아 예방초점에 대해서만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사회적 가치 코칭 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모든 종속변인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일의 의미, 헤도니아적 직무만족, 유데모니아적 직무만족에 대해서는 예방초점이 낮은 집단보다는 높은 집단에서 코칭이 해당 특성을 증가시키는 데 더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한계점,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제시하였다.

keywords
사회적 가치 코칭, 일의 의미, 직무만족, 잡크래프팅, 조절초점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ositive impact that social value coaching has on employees, specifically highlighting the role of regulatory focus. Based on a coaching model, we developed a social value coaching program and applied it to the employees. We investigated whether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social value coaching program would report higher levels of meaning of work, hedonic job satisfaction, eudaimonic job satisfaction, and job crafting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s well as whether regulatory focus would function as a moderator. We only analyzed the moderating role of prevention focus as promotion focus did not show any moderating effect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social value coaching program reported significant increases in all of the outcome variabl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dditionally, for meaning of work, hedonic job satisfaction, and eudaimonic job satisfaction, the effects of the coaching program was stronger for those with a higher level of prevention focus than those with a lower level of it.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as well a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keywords
social value coaching, regulatory focus, meaning of work, job satisfaction, job crafting


투고일Submission Date
2021-11-20
수정일Revised Date
2021-12-15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21-12-16
상단으로 이동

한국심리학회지: 코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