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감염병 대응 위한 숙의공론화 사업을 통해 본 주민참여 가능성과 과제 : ‘포스트코로나 제주 공공보건의료 도민원탁회의’ 사례를 중심으로

Future Tasks and Possibilities of Public Participation in Making Health Policy : Lessons learned from the Case of Town-hall Meeting in Jeju, South Korea

한국건강형평연구 / Korean Journal of Health Equity, (E)2982-8007
2023, v.1 no.1, pp.61-82
https://doi.org/10.23163/HEJOURNAL.PUB.1.1.61
박주영(Jooyoung Park) (제주특별자치도 공공보건의료지원단)
전성희(Seonghee Jeon) (제주특별자치도 공공보건의료지원단)
박형근(Hyeung-Keun Park) (제주대학교 의료관리학교실)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제주 지역에서 감염병 대응역량 향상을 위해 진행된 숙의공론화를 통해, 주민참여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2022년 3월 26일부터 27일까지 진행된 '포스트코로나 제주 공공보건의료 도민원탁회의'(이하 도민원탁회의)에는 제주도민 51명이 참여했으며, 코로나19와 신종감염병 대응을 위한 방안에 대해 토론하였다. 참여자가 가장 많이 지지한 감염병 역량 강화 방안은 지방의료원 리모델링 및 전담 병상 확충, 전문의·간호사 등 인력 확충이었다. 또한, 정책단계별 숙의공론 원칙을 적용하여 도민원탁회의 운영을 검토한 결과, 참여자 모집과 정보 제공, 정책반영 과정에서 대표성과 숙의성을 보완할 필요가 있었다. 향후 효과적인 숙의공론을 위해 적절한 의제 설정,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소외되기 쉬운 주민의 참여 보장, 정보 제공에서 전문가와 협의를 통한 토론 설계, 정책반영을 위한 제도적 기반 조성 등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제주 지역 숙의공론화 사례를 통해 향후 보건의료에서 주민참여 실질화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keywords
주민참여, 숙의공론, 원탁회의, 공공의료, 감염병 대응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possibilities of public participation in building public health policy through the case of public deliberation held i Jeju, South Korea. This public deliberation called "Town-hall meeting of the public healthcare system in Jeju during the Post COVID-19 era", was conducted to improve the capacity to respond to infectious disease outbreaks in Jeju, on March 26th and 27th, 2002. Fifty-one residents of Jeju participated and discussed how the government should respond to COVID-19 and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Among the measures to strengthen the capacity of infectious disease response, the participants preferred 'remodeling local medical centers and expanding dedicated beds', and 'expanding manpower such as specialists and nurses' the most. Through the assessment of the operation of the town-hall meeting, by applying the principle of deliberation throughout each policy stage, we found tha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representation and deliberation in the process of recruiting participants, providing information, and reflecting policies. For effective deliberation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select appropriate discussion topics, engage diverse stakeholders and minorities, design discussions with experts on information provision, and create an institutional framework for policy-making. All in all, this paper provides and insight into the future tasks and possibilities of public engagement in public healthcare in the future through the case of public deliberation in Jeju.

keywords
Town-hall meeting, Citizen participation, Deliberative democracy, Governance, Infectious disease response

한국건강형평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