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 우리나라는 1인 가구의 급격한 증가를 경험하고 있다. 특히 남성과 마찬가지로 1인 여성 가구 역시 매우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일상 활동 이론에 따르면 1인 가구의 경우 범죄로부터 방어 능력이 떨어지게 되기에 범죄에 적합한 대상이다.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1인 (여성) 가구의 증가로 범죄의 3요소 중에서 적절한 범죄 대상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으며 동기화된 범죄자가 항상 존재한다고 가정할 때 지키는 자가 부재(absence of guardian)라는 조건(1인 여성 가구에 대한 적절한 보호가 없는 상황)이 더해진다면, 1인 (여성) 가구에 대한 범죄가 증가할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이유로 현재 한국에서 다양한 지방자치단체에서 1인 (여성) 가구를 위한 침입 범죄 예방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에 대한 적절한 평가가 시행되고 있지 않다. 이에 반해 다른 영미 국가들에서는 가정 침입 범죄에 대한 다양한 상황적 범죄 예방 프로그램들에 대한 평가가 시행됐고 이러한 과학적 증거에 기반을 두고 다양한 정책들이 시행되고 있다. 이 연구는 한국에서도 다양한 범죄 예방 프로그램에 대한 과학적 평가를 통해 효과적인 1인 가구 범죄 예방 정책을 도입할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Recently, Korea is experiencing a rapid increase in single-person households. In particular, like men, the number of single female households is also increasing very rapidly. According to the routine activity theory, single-person households are suitable targets for crime because their ability to defend against crime is reduced. Currently, in Korea, with the increase in single-person (female) households, the number of appropriate crime targets among the three elements of crime continues to increase, and assuming that a motivated criminal always exists, the condition of absence of guardian (single female) If the situation without adequate protection for households is added, crime against single-person (female) households is likely to increase. For this reason, various local governments in Korea are currently implementing crime prevention programs for single-person (female) households. However, proper evaluation of them has not been carried out. In contrast, in other Anglo-American countries, evaluations of various situational crime prevention programs for home invasion crimes have been conducted, and various policies are being implemented based on this scientific evidence. This study raises the need to introduce an effective single-person household crime prevention policy through scientific evaluation of various crime prevention programs in Korea.
지역 간 범죄의 차이를 설명하는 주요 이론들은 일관되게 주민의 활동이 범죄예방의 핵심요인이라는 사실을 말해준다. 또한 선행연구는 주민참여 범죄예방활동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주민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며, 범죄예방 활동은 주민 공동체의 부수적인 목적에 그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지적한다. 한편 자율방범대를 중심으로 한 지금까지의 주민참여 범죄예방활동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전통적인 길거리 범죄를 예방하기 위한 순찰활동에 집중되어 다양한 신종범죄에 적절히 대처하기 어렵다. 둘째, 경찰의 보조자적 위치에 머물러 실질적인 활동이 부족하다. 셋째, 주민의 참여도가 갈수록 낮아지고 있다.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미국, 영국, 네덜란드 등에서 활발히 운영 중인 소셜미디어 기반 주민참여 범죄예방활동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소셜미디어를 기반으로 한 주민참여 범죄예방활동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첫째, 지역의 문제를 지역 주민의 집단지성으로 해결한다. 둘째, 다수 대 다수의 실시간 소통을 통해 감시를 촉진한다. 셋째, 앞 사람의 포스팅과 댓글을 기반으로 자발적인 활동이 이루어진다. 넷째, 주민들의 범죄두려움과 불신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부작용이 있다. 자치경찰은 이와 같은 소셜미디어의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주민참여 범죄예방활동 모형을 모색하여야 한다. 먼저 자율방범대를 비롯한 주민들이 편리하게 소셜미디어 단체를 만들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또한 신종범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지역 현안 문제에 대한 토론을 유도하는 등 넛지 형태의 개입 역시 검토해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다른 목적으로 만들어져 활발하게 운영 중인 주민 커뮤니티와 연계하여 범죄 정보를 제공하는 방안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Major criminological theories explaining neighborhood-level crime differences consistently point out that residents’ activities are a key factor in crime prevention. In addition, prior research suggests two conditions that can lead to successful residents’ participation in crime prevention activities. First, residents’ active participation should be guaranteed. Second, crime prevention should be an incidental purpose of the residents’ community. Meanwhile, the current neighborhood watch programs have the following limitations. First, the activities have focused disproportionately on the patrol to cope with the street crime. This type of activities have limitations to properly cope with new types of crime. Second, there has been a lack of effective activities by staying in the position of an assistant to the police. Third, the participation of residents are decreasing. To solve these problems, social media-based resident-participating crime prevention activities need to be considered. The social media-based activities have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local problems are solved with collective intelligence. Second, they promotes surveillance through real-time communication between multiple and multiple people. Third, voluntary activities are carried out following the prior posting and the comments about an event. Fourth, there is a possible side effect that those activities can increase the fear of crime and the distrust among residents. The municipal police needs to seek an appropriate model for crime prevention activities involving residents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media.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provide guidelines so that residents can conveniently create a new activity group. Also, nudge-type intervention can be considred, such as providing information on new crimes and inducing discussions on local pending issues. Finally, it is necessary to work with existing residents communities that pursue other purposes.
본 연구는 범죄예방 안전사업의 효과성을 분석한 연구이다. 대구지역의 범죄취약지역을 대상으로 실시한 1인가구 안전환경조성사업이 지역주민들의 안전인식과 범죄두려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지역주민간의 유대감 형성과 영역성 확장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사업 대상지역에 거주하는 지역주민 200명을 대상으로 환경조성 전후로 안전인식 등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안전환경조성 후 지역주민들의 안전체감도가 높아졌으며, 범죄두려움은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역주민 유대감과 권한역량에는 유의미한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셉테드를 적용한 안전환경조성사업으로 주민들의 안전체감도와 범죄두려움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지역주민의 유대감 및 참여를 이끌어내는데는 제한적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안전사업의 방향성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study is an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crime prevention and safety projects. An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impact of Daegu City's 'Single Household Safety Environment Creation Project' on the safety awareness and fear of crime among local residents, as well as its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community cohesion and expansion of territoriality among local resident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200 local residents residing in the project's target area.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The first finding indicates that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safety environment creation project, local residents' safety awareness increased, and their fear of crime decreased. However, the second finding suggests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observed in community cohesion and empowerment among local residents. While the applied safety environment creation project showed positive effects on residents' sense of safety and reduction of crime fear, it had limited impact on fostering community cohesion and participation.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s were made regarding the future direction of safety projects.
경찰의 수사공보는 주로 피의사실과 관련된 범죄사건에 관련된 것으로 이에 대해서 형법은 제126조에서 원칙적으로 금지하고 있음에도 현실적으로는 국민의 알 권리의 보장과 피의자의 인권보호의 조화로운 관계라는 위법성 조각사유 근거하에서 경찰수사공보규칙의 규정에 의해 이루어져 왔다. 그렇지만 범죄사건 관련해서 경찰과 언론은 실질적으로는 어떠한 상호작용 하에서 범죄보도로까지 이어지는가를 살펴보고 그 제도적 개선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방법으로는 FGI조사방법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피의사실공표와 관련 있는 수사기관의 구성원들과 관계자들의 경험과 인식을 바탕으로 현장감 있는 제도개선에 대한 질적 자료를 수집하고자, 경찰관 3명, 경찰행정학과 및 법학교수 5명, 경찰출입기자 3명 등을 상대로 그룹별로 나눠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알 권리를 내세우는 언론의 과도한 경쟁 하에서 경찰관들은 피의사실의 공개여부에 대한 기준이 명확하지 않은 모호한 측면이 많아서, 개념과 범위를 명료하게 할 것을 주문하고 있다. 언론대응창구개선과 기자들과 수사담당자들과의 개별적인 접촉제한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The police's investigation announcement is mainly related to the facts of the suspect, which is prohibited in principle in Article 126 of the Criminal Act, but in reality, it has been made under the provisions of the Police Investigation Publication Rule on the grounds of the harmonious relationship between the guarantee of the people's right to know and the protection of the suspect's human rights. Howev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institutional improvement measures by looking at how the police and the media actually lead to criminal reporting in relation to criminal cases. The FGI survey method was used as a research method. It is a research method that has the advantage of systematically organizing information on dynamic relationships between stakeholders or expert groups in the field. In this study, three police officers, five police administration and law professors, and three police reporters were interviewed in groups to collect qualitative data on system improvement based on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investigative agency members and officials. As a result of the study, under excessive competition in the media for the right to know, police officers are calling for clarity of the concept and scope because there are many ambiguous aspects in which the criteria for disclosing the suspect are not clear. It was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media response window and limit individual contact with media reporters and investiga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