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발파 버력의 재료거동이 프로텍터에 작용하는 충격하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aterial behavior of blasted muck on the impact force applied on a protector

(사)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 (사)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P)2233-8292; (E)2287-4747
2011, v.13 no.3, pp.261-275
김웅구 (대우건설 기술연구원)
진병무 (대우건설 기술연구원)
백기현 (대우건설 기술연구원)
서경원 (대우건설 기술연구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차량이 통행되는 상태에서 기존터널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굴착 시 버력의 낙하로부터 차량을 보호하고 굴착공간과 차량운행공간을 분리하기위해 프로텍터를 기존터널 내부에 설치하게 된다. 기존에 제안된 이론해에서는 버력을 탄성체로 가정하였으나 일반적으로 암석은 탄소성거동을 하므로 본 논문에서는 Explicit FEA(abaqu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버력의 재료 거동에 따른 수치해석을 실시하였다. 수치해석결과를 토대로 버력의 재료거동에 따른 충격하중을 분석하였으며 제안된 이론해와도 비교분석하였다. 수치해석결과 버력이 탄소성거동을 할 경우 탄성거동에 비해 충격하중이 약 7∼12%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탄성거동 시 이론해와 수치해석결과를 선형회귀분석한 결과 결정계수 R2=1로 매우 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탄소성 거동 시에는 직선선형관계를 보이나 탄성계수별로 직선회귀식의 기울기가 다르게 나타났다

keywords
충격하중, 프로텍터, 발파버력, 기존터널확대, Impact load, protector, blasted rock, existing tunnel expansion, Impact load, protector, blasted rock, existing tunnel expansion

Abstract

To maintain the traffic flow during tunnel expansion, cars must be protected from falling rocks during excavation and to do so, a protector has to be installed inside the tunnel before beginning the excavation. In Korea, tunnel expansion by blast rather than using mechanical equipments has been widely achieved. For this reason, a series of numerical analysis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impact load according to material behaviour of blasted rock by using Explicit FEA program. From the numerical results, it is found that the impact loads when rock is assumed as an elastic-plastic material appear to be only 7~12% compared with that when it is elastic.

keywords
충격하중, 프로텍터, 발파버력, 기존터널확대, Impact load, protector, blasted rock, existing tunnel expansion, Impact load, protector, blasted rock, existing tunnel expansion

참고문헌

1.

1. 김동규, 정호섭(2007), “공용중인 터널 확폭에 의한 기능향상”, 한국지반공학회지, Vol. 23, No. 3, pp. 14∼20.

2.

2. 대한토지개발공사 기술연구처(1993), “암발파시 설계 방법에 관한 연구”, pp. 315∼326.

3.

3. 백기현(2011), “운영중 터널확대 굴착시 지반거동 특성분석과 프로텍터 설계”, 인하대학교, pp. 96∼101

4.

4. 서경원, 백기현, 김웅구(2008), “운영 중인 터널의 확폭굴착에 관한 해외사례 분석(II)”, 한국터널공학회지”, Vol. 10, No. 2, pp. 71∼79.

5.

5. 서경원, 백기현, 노종륜(2008), “운영 중인 터널의 확폭굴착에 관한 해외사례 분석(I)”, 한국터널공학회지, Vol. 10, No. 1, pp. 40∼50.

6.

6. 서경원, 김웅구, 백기현, 김진용(2010),“수치해석 및 계측자료 분석을 통한 막장볼트의 보강효과에 대한 연구”, 한국터널공학회논문집, 제12권, 제5호, pp. 359∼368.

7.

7. 토목연구소-일본(2003), “기존 터널의 단면확대 공법 개발에 관한 공동연구보고서”.

8.

8. 勝間田 直乙(1994), “공용터널을 단선에서 복선으로 확대”, 터널과 지하, 제25권, 2호 pp. 15∼21.

9.

9. 鈴木雅行(2005), “공영중 터널의 개축에 의한 도로터널의 시공”, 터널공학 보고집, Vol. 15, pp. 153∼160.

10.

10. Johnson, K.L. (1985), “Prediction of impact forces using Hertzian contact theory and measured modal structural data Mechanical Systems and Signal Processing”, Vol. 4, Issue 4, pp. 287∼294.

11.

11. Masayuki S. (2005), “활선개축에 의한 도로터널의 시공”, 터널공학 보고집, 제15권, pp. 153∼160.

12.

12. Kobayashi Y. (2009), “Enlargement of line tunnel by drilling and blasting”, ITA-AITES.

(사)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