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강섬유보강 콘크리트 세그먼트의 강섬유가 표면전기저항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teel fibers on surface resistivity of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for shield segment

(사)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 (사)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P)2233-8292; (E)2287-4747
2011, v.13 no.6, pp.557-569
문도영 (경성대학교)
이규필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장수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배규진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강섬유보강 콘크리트는 숏크리트와 쉴드터널 세그먼트 등에 널리 이용되는 건설재료이다. 강섬유와 이형철근이 동시에 보강된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강섬유와 철근의 부식은 장기적 내구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구조물의 부식 가능성과 침투성능에 대한 적정한 평가가 가능한 방법의 도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강섬유와 철근이 동시에 보강된 콘크리트의 부식평가방안에 대한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강섬유의 혼입량, 이형철근의 부식 유무 등을 변수로 실험체를 제작하였으며, 각 변수 등이 표면전기저항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강섬유는 전류의 교란을 발생시켜 표면전기저항치를 크게 저하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강섬유가 3% 이상 혼입이 되면, 내부 이형 철근의 부식상태 및 부식가능성에 대한 평가가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강섬유보강 콘크리트, 부식, 표면전기저항,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SFRC), corrosion, surface resistivity,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SFRC), corrosion, surface resistivity

Abstract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SFRC) are widely used for tunnel structures such as shotcrete and segments. Corrosion of steel fibers and steel reinforcements may affect on the long-term durability of the concrete structures with steel fibers and reinforcement. Therefore, a study on the feasible method to evaluate corrosion possibility and permeability of the concrete structures is required. This experimental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steel fibers and internal reinforcement on the surface resistivity. Steel fiber mix ratio and corrosion of internal reinforcement were considered as variables. In the results, steel fibers significantly reduce the surface resistivity due to those conductive characteristic. In the case of 3% mix ratio, it was difficult to evaluate rate and permeability of corrosion due to the great reduction of resistivity by mixing of steel fibers.

keywords
강섬유보강 콘크리트, 부식, 표면전기저항,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SFRC), corrosion, surface resistivity,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SFRC), corrosion, surface resistivity

참고문헌

1.

1. 김병일, 차상아, 이정윤(2010), “철근의 부식저항에 대한 섬유보강콘크리트의 효과”, 한국콘크리트학회 가을 학술대회논문집, pp. 143-144.

2.

2. 김병일(2010),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수송계수 및 부식저항효과”, 한국콘크리트학회논문집, Vol. 22, No. 6, pp. 867-873.

3.

3. 김재동, 김덕용(2000), “강섬유 보강 숏크리트의 휨인성 평가 방법 연구”, 터널과 지하공간, 한국암반공학회, Vol. 10, pp. 196-210.

4.

4. 문도영(2011), “FRP 보강근의 콘크리트 표면저항치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크리트학회 봄학술대회논문집, P-023.

5.

5. 소형석(2008), “철근콘크리트구조물에서 철근의 부식율 측정을 위한 직류전기저항법의 이용에 관한 실험적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 24, No. 6, pp. 93-100.

6.

6. 소형석(2009), “철근콘크리트구조물에서 콘크리트의 전기저항측정에 미치는 내부철근 및 환경변수의 영향”,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 25, No. 6, pp. 91-98.

7.

7. 이상필, 류종현, 이상돈, 전석원, 이정인(2007), “터널영구지보재로서의 숏크리트 고성능화 및 내구성 평가에 대한 연구”, 터널과 지하공간, 한국암반공학회지, Vol. 17, No. 4, pp. 266-284.

8.

8. 이수열, 박연준, 김수만, 유광호, 장성일, 서영호(2010), “폴리플로필렌섬유보강 콘크리트의 성능평가 연구”, 터널과 지하공간, 한국암반공학회지, Vol. 20, No. 5, pp. 378-389.

9.

9. Balouch, S.U., Forth, J.P., Granju, J.L. (2010), “Surface corrosion of steel fibre reinforced concrete”,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Vol. 40, pp. 410-414.

10.

10. Chiaia, B., Fantilli, A.P., Vallini, P. (2009), “Combining fiber-reinforced concrete with traditional reinforcement in tunnel linings”, Engineering Structures, Vol. 31, pp. 1600-1606.

11.

11. Dobashi, H., Konishi, Y., Nakayama, M., Matsubara, K. (2006), “Development of steel fiber reinforced high fludity concrete segment and application to construction”, Tunneling and Underground Space Technology, Vol. 21, p. 422.

12.

12. Gowers, K.R., Millard, S.G. (1999), “Measurement of concrete resistivity fir assessment of corrosion severity of steel using Wenner technique”, ACI Materials Journal, Vol. 96, No. 5, pp. 536-541.

13.

13. Granju, J.L., Balouch, S.U. (2005), “Corrosion of steel fibre reinforced concrete from the cracks”,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Vol. 35, pp. 572-577.

14.

14. Lataste, J.F., Behloul, M., Breysse, D. (2008), “Characterisation of fibres distribution in a steel fibre reinforced concrete with electrical resistivity measurements”, NDT&E International, Vol. 41, pp. 638-647.

15.

15. Mangat, P.S., Gurusamy, K. (1987), “Long-term properties of steel fibre reinforced marine concrete”, Materials and Structures, Vol. 20, pp. 273-282.

16.

16. Roque, R., Kim, N., Kim, B., Lopp, G. (2009), “Durability of Fiber-Reinforced Concrete in Florida Environments”, Florida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Final Report, pp. 84-85.

17.

17. Sengul, O., GjΦrv, O.E. (2009), “Effect of embedded steel on electrical resistivity measurements on concrete structures”, ACI Materials Journal, Vol. 106, No. 1, pp. 11-17.

(사)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