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사각형 강관을 이용한 비개착 시공에 따른 지반거동의 분석: 모래지반에 대한 모형 토조실험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ground movement around a square pipe by its penetration for trenchless construction in sandy ground

(사)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 (사)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P)2233-8292; (E)2287-4747
2012, v.14 no.5, pp.485-501
최순욱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박영택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장수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배규진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이기택 ((주)특수건설)
백용기 ((주)특수건설)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에서는 비개착 공법에서 상부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하는데 유용한 사각형 강관의 관입이 지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모형토조에 강사장치를 이용하여 상대밀도가 일정한 모래지반을 조성하고, 조성된 모래지반에 모형 오거에 의한 굴착과 동시에 사각형 강관이 관입되는 모형 토조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토피고가 낮을 경우에는 사각형 강관 주변의 모든 방향으로 대체로 균등하게 영향범위가 나타난 반면, 토피고가 높아질수록 사각형 강관 관입에 의한 영향범위는 주로 강관 상부에서 넓게 나타나고, 특히 상부 영역의 수평 변형률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각형 강관 상부의 모래 표면의 변위는 무차원 관입속도가 약 0.2일 경우에 최소로 나타났다. 또한 사각형 강관의 관입속도가 일정할 경우, 오거의 회전속도에 따라 모래 표면의 변위량이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나, 안전 시공을 위해서는 시공조건에 적합한 무차원 관입속도의 선정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keywords
Laboratory model test, square pipe, penetration, ground movement, 모형토조실험, 사각형 강관, 관입, 지반거동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perimentally investigate ground settlement and ground movement around the square pipe by its penetration in sandy ground. A series of laboratory model tests were carried out with a small-scale auger equipment for penetration of a square pipe as well as a newly designed test box with a sand raining equipment. From the experiments, it is shown that a square pipe induces ground movement evenly around it in a low overburden condition. However, as the overburden becomes higher, ground movement by a square pipe is concentrated mainly above it. Especially, horizontal strain above the square pipe was mainly dominated by its penetration. In addition, sand surface movement is the smallest in case of the dimensionless penetration rate equal to 0.2. When its penetration rate of the square pipe is fixed, the rotation speed of auger controls surface movement whether it is settlement or heaving. Therefore, the selection of an optimal dimensionless rate for the square pipe is a key design factor to minimize ground settlement in a trenchless construction.

keywords
Laboratory model test, square pipe, penetration, ground movement, 모형토조실험, 사각형 강관, 관입, 지반거동

참고문헌

1.

노정민 (2006), "RPS공법을 이용한 횡단터널 굴착의 수치해석", 인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 32.

2.

배규진, 이규필 (2001), "복개터널 라이닝 해석을 위한 모델링 기법에 관한 연구", 터널기술, 제3권, 제2호, pp. 13-22.

3.

배규진, 정형식, 이규필 (2003), "복개 터널구조물에 작용하는 편토압 고려를 위한 수치해석적 연구", 터널기술, 제5권, 제3호, pp. 227-239.

4.

엄기영, 신민호, 김지훈 (2001), "철도지하횡단공사시 현장계측을 통한 지반거동 분석", 한국철도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pp. 546-551.

5.

임종철, 이태형, 안민홍 (2000), "지지력 실험을 통한 모래지반의 내부마찰각 추정에 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20권, 제6-C호, pp. 495-506.

6.

한국철도시설공단 (2010), "고속철도 지하횡단구조물 공법기준 정립 및 안정성평가 연구", p. 5.

7.

アンダーパス技術協会 (2008), "SFT工法を用いたボックスカルバートの施工, 日豊本線 財光寺-南日向間", 日本鐵道施設協會誌, 2008. 4. Vol. 46, pp. 306-308.

8.

FHWA(2007), "GEOTECHNICAL ENGINEERING CIRCULAR NO. 8 Design and Construction of Continuous Flight Auger (CFA) Piles", FHWA-HIF-07-03, p. 171.

9.

Kenny, M.J., Canakci, H., Andrawes, K.Z. (2007), "Desification of granular soils during CFA pile augering", Ground improvement geosystems, Thomas Telford, London, pp. 135-138.

10.

Rad, N.S., Tumay, M.T. (1987), "Factors affecting sand specimen preparation by raining", Geotechnical Testing Journal, Vol. 10, No. 1, pp. 31-37.

(사)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