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정량적 위험도 평가를 통한 열차 승강장 화재시 최적 제연모드 선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lection of the optimal smoke control mode in train platform through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사)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 (사)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P)2233-8292; (E)2287-4747
2022, v.24 no.6, pp.539-552
https://doi.org/10.9711/KTAJ.2022.24.6.539
이보훈 ((주)주성지앤비)
홍서희 ((주)주성지앤비)
백두산 ((주)주성지앤비)
이호형 ((주)주성지앤비)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열차 정거장의 경우 연기배출이 제한된 지하공간이라는 특수성으로 인해 적절한 제연 설비가 갖추어지지 않는다면 화재 발생시 화재연기로 인한 피해가 확대될 우려가 있다. 이에 지하 정거장의 대피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대책의 필요성이 부각되었으며, 화재시 승강장 이용객의 안전한 대피를 위한 연구가 국내외에서 지속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열차 승강장에는 제연 경계벽과 PSD (Platform Screen Door)등에 의해 제연구역을 구획하여 제연설비를 설치하고 있으나, 화재시 제연구역별 제연방법(급기 또는 배기) 즉, 제연모드에 관한 기준은 제시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열차 정거장 화재시 제연모드에 따른 화재위험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 화재해석 및 대피해석을 수행하여 사망자수를 추정하고 F/N선도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통해 최적 제연모드를 검토한 결과, 화재 구역 배기 및 인접구역 급기인 경우에 총 위험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keywords
Platform fire, Smoke control mode, FED, QRA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승강장화재, 제연모드, 유효복용분량, 정량적 위험도 평가

Abstract

In the case of train stations, due to the specificity of underground spaces with limited smoke emissions, if appropriate removal equipment is not equipped, the damage caused by fire smoke may increase in the event of a fire. As a result, the need for measures to ensure the safety of evacuation of underground stations has been highlighted, and research for safe evacuation of platform users in case of fire is continuously being conducted at home and abroad. However, although the smoke removal area is currently divided by smoke boundary walls and platform screen doors (PSD) and installed in the train platform, standards for smoke removal methods (air supply or exhaust) for each fire removal area, that is, smoke removal mode, are not presented. In this study, fire analysis and evacu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estimate the number of deaths and to derive F/N guidance in order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fire risk according to the fire station fire, and the total risk was the lowest in the case of fire area exhaust and supply to adjacent areas.

keywords
Platform fire, Smoke control mode, FED, QRA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승강장화재, 제연모드, 유효복용분량, 정량적 위험도 평가

(사)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