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터널화재시 부분배연설비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Study of Smoke Extraction Efficiency Improvement by the Partial Smoke Extraction System in Tunnel Fire

(사)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 (사)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P)2233-8292; (E)2287-4747
2006, v.8 no.1, pp.53-63
유용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이의주 (부경대학교)
신현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신한철 (한미파슨스㈜)
윤영훈 (대우건설㈜)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프라우드 상사와 등온기체모델을 적용한 축소모형실험을 실시하여, 터널화재시 연기의 거동과 부분배연설비의 배연효율을 분석함으로써 방재설비의 운영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 터널 화재시 임계유속 이상의 제연 풍량이 유지 될 경우, 부분 배연 갤러리의 배연효율은 그룹댐퍼와 균일댐퍼 모두 거의 유사하였다. 또한, 터널내 차량이 정체시 화재가 발생할 경우, 화재초기에는 화원 앞⋅뒤에 위치해있는 부분 배연 갤러리만을 열어 연기의 성층화를 유지하면서 연층을 배연시키고 제트팬은 가동시키지 않고, 이후 승객이 모두 대피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이 지난 후 제트팬을 함께 가동시켜 터널 내의 연기를 배출하도록 하며, 교통 소통이 원활한 경우에는 터널의 제연설비를 가동하여 연기의 후방전파를 차단하고 동시에 부분배연 설비를 가동할 것을 제안하였다.

keywords
터널화재, 등온기체모델, 연기거동, 배연효율, 부분배연설비, Tunnel fire, isothermal model, smoke movement, the smoke extraction efficiency, the partial extraction system, Tunnel fire, isothermal model, smoke movement, the smoke extraction efficiency, the partial extraction system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moke movement and the smoke extraction efficiency using by the partial extraction system for case of tunnel fire. Based on Froude modeling and isothermal model, the 1/20 scaled model tunnel (12m long) was constructed. In the case of the upper critical velocity in the main tunnel, the smoke extraction efficiency shows almost same between group damper and distributed damper. Finally, if the fire occurs on a traffic jam in a tunnel, it is proposed that the open dampers in partial gallery extract smoke from the main tunnel without jet fan operation. Then, after the passengers have escaped the tunnel, the jet fans work on. On the other hand, If the traffic is uncongested in the tunnel, the jet fans (smoke control system) and partial extraction system (smoke exhaust system) are operated at once in tunnel fire.

keywords
터널화재, 등온기체모델, 연기거동, 배연효율, 부분배연설비, Tunnel fire, isothermal model, smoke movement, the smoke extraction efficiency, the partial extraction system, Tunnel fire, isothermal model, smoke movement, the smoke extraction efficiency, the partial extraction system

참고문헌

1.

(2004) 지하공간 환경개선 및 방재기술 연구사업 1차년도 최종보고서, 건설교통부

2.

(2004) 도로터널에서의 화재환기 설계에 관한 연구,

3.

(2004) 도로터널 제연설비 축소모형실험에 관한 연구,

4.

(2005) 장대 교통터널의 피난연락갱 설치 간격에 관한 실험적 연구,

5.

(2005) 장대 교통터널 화재시 수직갱의 배연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6.

(2004) 침매터널 환기 및 제연방식 검토,

7.

(2002) 터널내 자동차화재와 풀화재 비교 분석,

8.

(2004) 부산-거제 침매터널 환기 및 방재시스템 최적화 연구,

9.

(1998) The New PIARC report on fire and smoke control in road tunnels,

10.

(1999) Critical Velocity - Comparative assesment of test results and CFD simulation,

11.

(1982) Longitudinal ventilation analysis for the Glenwood Canyon tunnels. 4th Int. Sym. on the Aerodynamics & Ventilation of Vehicle Tunnels,

12.

(1995) Control of smoke flow in tunnel fires,

13.

(2000) A Model to Evaluate Tunnel Fire Characteristics,

14.

(2002) Smoke extraction experiments in case of fire in a tunnel,

15.

(2000) Control of Smoke Flow in Tunnel Fires Using Longitudinal Ventilation System - A Study of the Critical Velocity,

(사)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