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799-7995
  • E-ISSN 2951-2069

대순사상의 무자기와 상생 윤리관의 특징 : 서구 규범 윤리학과의 대비를 중심으로

The Characteristics of Guarding against Self-Deception and The Ethics of Mutual Beneficence in Daesoon Thought: A Contrast with Western Normative Ethics

대순종학 / Journal of Daesoon Studies, (P)2799-7995; (E)2951-2069
2021, v.1, pp.85-107
https://doi.org/10.23209/jods.2021.1.85
김태수(Tae-soo Kim) (대진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연구는 대순사상의 무자기(無自欺) 개념에 나타난 상생 이념의 윤리적 특징을 규범 윤리학과의 대비하에 드러내고자 하는 시도이다. 칸트의 정언명법은 예지계로부터 부여받은 이성에 기초한 선의지를 자율적ㆍ보편적 행위의 준칙으로 삼는다. 대순사상에서도 하늘로부터 부여받은 양심, 곧 천성 회복이 당위로 제시된다. 나아가 수도의 목적이자 바탕인 무자기에 의거, 자발적으로 상생 이념을 규범화한다. 하지만 칸트 윤리학은 행위자의 상황 맥락과 관계없이 거짓을 행하지 않음을 보편법칙으로 절대시함으로써 인륜을 저버리는 상황에 봉착할 수 있다. 반면 대순사상에서 인륜에 알맞은 처신 처세는 상생과 인존 이념 실현의 주요 덕목이 된다. 최대 다수가 최대의 행복을 누리게 하려는 공리주의, 복지주의 등 결과주의적 윤리관에서도 공생 이념을 중시한다. 그러나 이 윤리관에서는 전체 효용의 극대화를 위해 특정인을 상해하거나 거짓을 행하는 것이 도덕적으로 허용된다. 이와 달리 대순사상에서는 설사 전체 이익에 도움이 된다 해도 특정 개인에게 상해를 가하거나 희생을 요구하는 것이 도덕적으로 용납되지 않는다. 오히려 대순사상 윤리관에는 도덕적 행위자의 주체적 덕성 함양과 실천적 지혜를 중시하는 현대적 덕 윤리학, 특히 행위자 중심 덕 윤리학의 특성이 두드러진다. 단 상대주의 특성을 갖는 행위자 중심 덕 윤리학에 비해, 상생적 윤리관은 하늘의 덕을 세상에 펴려는 동아시아 덕 윤리의 규범적ㆍ관계적 특성을 나타낸다. 수도인은 수도의 완성인 도통진경에 이르기 위해 해원상생을 생활화한 도덕군자가 되기까지 자신을 연마해야 한다. 이로써 나와 남, 선과 악으로 구별되는 대립이나 원(冤)을 스스로 풀고 남을 잘되게 하는 해원상생을 실천하는 덕 윤리관을 나타낸다. 이때 무자기는 도통진경을 이루기 위해 목적론적 덕 윤리를 실천하는 수행의 출발점이자 목적으로 기능한다.

keywords
해원상생, 무자기, 의무론적 윤리관, 목적론적 덕 윤리, 공리주의-결과주의적 윤리관, 도통진경

Abstract

This study is an attempt to show the ethical characteristics of the idea of mutual beneficence shown in the concept of ‘guarding against self-deception’ in Daesoon Thought. Kant’s categorical imperative makes the good will grounded on reason, which is given from the intelligible world, as the maxim of autonomous and universal action. In Daesoon Thought, the restoration of conscience or nature given from heaven is presented as an imperative. Moreover, Daesoon thought voluntarily standardizes the idea of mutual-beneficence based on guarding against self-deception, which is the object and ground of cultivation. However, Kant’s ethics may encounter a situation of abandoning humanity by absolutizing ‘not committing falsehood’ as a universal law, regardless of the actor’s situational context. On the other hand, in Daesoon Thought, right comportment or conduct of life according to humanity, is a major virtue in realizing the idea of mutual- beneficence and humanity. The principle of symbiosis is also emphasized in consequentialist ethics such as utilitarianism and welfarism, which seek to ensure that the greatest number of people enjoy the greatest happiness. However, in this view of ethics, it is morally permissible to injure a specific person or commit a lie in order to maximize the overall utility. On the other hand, in Daesoon ideology, it is morally unacceptable to inflict injury or require sacrifice on a specific individual even if it contributes to the overall benefit. Rather, the ethical view of Daesoon Thought is characterized by modern virtue ethics that emphasizes the cultivation of subjective virtue and practical wisdom of moral actors, especially, the actor-centered virtue ethics. However, in contrast to the actor-centered virtue ethics with relativistic characteristics, the ethical view of mutual beneficence reveals a normative and relational characteristic of the Asian virtue ethics that seeks to spread the virtues of heaven to the world. One is required to cultivate oneself to become a moral gentleman who habituates Resolution of grievances for mutual beneficence until reaching the True stage of perfection of Dao as a completion of cultivation. In this way, it represents the ethical view of mutual beneficence in which cultivators practice the Resolution of grievances for mutual beneficence by resolving the conflicts or grievances that are caused by the mutual conflict between me and others, good and evil, and others. Here, the guarding against self-deception functions as a point of departure for practicing teleological virtue ethics, aiming at realizing the True stage of perfection of Dao, while working as the object of cultivation.

keywords
Resolution of grievances for mutual beneficence, guarding against self-deception, deontological ethics, teleological virtue ethics, utilitarian-consequentialist ethics, True stage of perfection of Dao


상단으로 이동

대순종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