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799-7995
  • E-ISSN 2951-2069

대순사상의 정체성과 그 연구자료의 문제

Identity of Daesoon Thought and the Problem of Its Research Sources

대순종학 / Journal of Daesoon Studies, (P)2799-7995; (E)2951-2069
2021, v.1, pp.19-46
https://doi.org/10.23209/jods.2021.1.19
차선근(Seon-keun Cha) (대순종교문화연구소)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한국 신종교의 특정 주제를 개괄할 때, 특정한 하나의 교단 사례를 보편화하여 기술하는 관행은 아직도 여전하다. 증산계 종교 연구자들 가운데 일부는 A교단의 자료로써 B교단의 종교현상을 설명하려는 태도를 보이기도 한다. 이 때문에, 한국 신종교 또는 증산계 교단에 대한 기술은, 있는 그대로의 종교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계속 나타난다. 한국 신종교 또는 증산계 종교에 대한 개괄적 기술은, 그 하위 범주에 속하는 개별 교단들의 다양한 목소리들을 먼저 살핀 후에 그 결과물을 종합함으로써 가능할 것이다. 이 글은 이런 문제의식 속에서, 대순진리회가 다른 증산계 교단과는 다른 차이(differences)를 가짐을 지적하고, 대순진리회의 사상 즉 대순사상의 정체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몇몇 연구자들이 대순진리회를 기술할 때 대순진리회의 1차 자료 대신 증산계 교단의 다른 자료를 활용하려는 자세를 보이는 것은, 대순진리회의 교리ㆍ조직ㆍ의례ㆍ수행이 다른 증산계 교단들의 그것과 일치하거나 유사하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순진리회는 강증산-조정산-박우당으로 이어지는 인적 계보 속에서 사상체계를 정비했다. 그 결과물인 대순사상은 다른 증산계 교단들의 사상과 일정한 차이를 보인다. 그러므로 대순진리회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대순진리회의 자료를 활용해야 한다. 증산계 각 교단이 증산에 대한 신앙을 공통으로 한다는 사실만을 이유로 해서 그 모두를 같은 종교라고 단정한다면, 개별 교단들의 고유성은 무시되고 그들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묻히게 된다. 개별 교단의 입장에는 연구자의 이런 태도가 폭력적으로 비춰질 수 있다. 또한 이런 태도는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를 범하는 것이어서 학술적이지도 않다. 증산계 개별 교단의 수가 많다는 사실은 그 자료의 수집에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음을 말한다. 그러나 그 어려움이 개별 교단의 고유성을 무시해도 된다는 면죄부를 주지 않는다. 쉽지는 않지만, 그들의 고유성을 인정하고 그들의 정보를 최대한 많이 확보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1차 자료의 확보와 그에 대한 객관적 분석을 등한시하는 자세, 저 교단의 자료를 가지고 이 교단을 설명하려는 자세, 남이 생산한 2차 자료만 활용하려는 자세는 과거 안락의자 인류학이 받았던 비판을 받아 마땅하다.

keywords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 차이, 다양성, 대순사상, 증산사상, 1차 자료

Abstract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research topics related to Daesoon Jinrihoe (大巡眞理會) in the philosophy of religion. The main content to achieve this purpose consists of three parts: the academic 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philosophy of religion, the main research topics in the philosophy of religion, and the research topics on Daesoon Jinrihoe in the philosophy of religion. This article is based on the view that topics from multiple disciplines can promote new academic researches while making even the surrounding phenomena unfamiliar. According to this point of view, the research topics related to Daesoon Jinrihoe can be diversified through the topics of the philosophy of religion including the perspective of god, human beings, and the world. The academic characteristics of Daesoon Jinrihoe in the philosophy of religion should be maintained when researchers suggest their research topics. In this regard, its characteristic refers to ‘the attitude of objectively observing and analyzing religion, not the attitude of apologetics to support a specific religious teaching.’ In the future, the research topics related to Daesoon Jinrihoe can be discovered not only in the philosophy of religion but also in various sub-fields of religious studies. Furthermore, the topics can be developed through thematic approaches including religious tourism or religious languages.

keywords
the fallacy of hasty generalization, difference, diversity, Daesoon thought, Jeungsan thought, primary source


상단으로 이동

대순종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