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799-7995
  • E-ISSN 2951-2069

대순사상 연구의 경향과 과제

The Aspect and Issues of the Study on Daesoon Thought

대순종학 / Journal of Daesoon Studies, (P)2799-7995; (E)2951-2069
2021, v.1, pp.1-18
https://doi.org/10.23209/jods.2021.1.1
윤용복(Yong-bok Yoon) (아시아종교연구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대순사상논총』과 『종교연구』, 그리고 학위논문의 연구 경향을 보면 매우 다양한 측면에서 대순사상에 대한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그 접근 내용은 신앙이나 교리, 의례, 윤리를 주제로 한 연구와 함께, 타 종교와 비교를 한 연구가 있다. 비교 연구는 대순사상의 여러 요소를 도교, 유교, 불교, 그리고 천도교나 원불교 같은 한국 민족종교의 그것들과 상호 대조한 것이다. 이런 연구들 못지않게 이제는 대순진리회의 역사를 서술하는 연구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할 때라고 본다. 자료의 정리나 부족 문제로 인하여 종단의 역사 서술이 어렵다면, 종단 역사 초창기에 활동했던 신앙인들의 인터뷰 자료를 활용하는 방법도 있을 것이다. 역사적 연구와 함께 교단의 신화적인 측면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리라고 본다. 그 배경이라던가, 아니면 그것이 지니는 의미나 상징 등이 여러 가지로 설명 또는 해석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주제별 전문가 그룹이 형성되는 것도 필요하다. 한 사람의 연구자가 다양한 분야에 접근할 수도 있겠으나 그것은 발전의 측면에서 본다면 어느 정도 한계를 지닐 수밖에 없다. 과거와 달리 현재는 주로 대순사상학술원에서 주도하는 『대순사상논총』을 중심으로 대순사상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것도 중요한 일이지만, 종교학계의 여러 학회 간행물들인 『종교연구』나 『신종교연구』에 대순사상의 연구 결과물을 수록하는 문제도 소홀히 할 수 없다. 대순사상에 대한 연구는, 정산과 우당의 입장에서 증산을 해석하고 설명하는 것이어야 한다. 특히 대순진리회의 창설자인 우당이 중요한데, 이 때문에 우당에 대한 여러 역사적 사실이라던가 또는 『대순회보』에 나타나 있는 우당의 여러 훈시나 이야기를 체계적으로 정리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대순사상논총, 종교연구, 신종교연구, 역사적 연구, 신화적 연구, 우당

Abstract

Considering the tendency of articles in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and Studies on Religion, and dissertations and these, it is distinct to witness that studying Daesoon thought has been approached in many ways. For example, the text in the approach includes the studies based on faith, doctrine, rituals, or ethics as well as the comparative studies on other religions. Those comparative studies compare various elements of Daesoon Thought with those of traditional Korean religion such as Daoism, Confucianism, Buddhism, Cheondoism, and Won Buddhism. In addition, researching the history of Daesoon Jinrihoe is as important as these studies. The shortage of resources and documents may require personal communication through the interview with devotees who were involved in the activities from the early days in the religious order. The mythical aspect of the order is also necessary along with the study on the history, for instance, its background, symbol, significance lay in it, which should be described or interpreted on the various perspectives. Establishing an expert group by subject is also essential. A single researcher may approach various fields of study, yet the one has no choice but to encounter the limit to a certain degree in terms of development. Unlike the past, the study on Daesoon Thought is mainly carried out through Daesoon Academy of Sciences, which publishes its related journal,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Besides that, it is indispensable to publish articles on other religious journals such as Studies in Religion and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New Religions. The study of Daesoon Thought should interpret and explain Jeungsan by focusing on the approach of Jeongsan and Wudang. Especially, Wudang, the founder of Daesoon Jinrihoe, is a very important figure. In this regard, many historical facts about him or his teaching and analects in Daesoon newsletters need to be systematically arranged.

keywords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Studies on Religion,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New Religions, historical research, mythical research, Wudang


상단으로 이동

대순종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