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799-7995
  • E-ISSN 2951-2069

대순사상의 생태적 사유와 통합생태론

Ecological Reason and Integral Ecology in Daesoon Thought

대순종학 / Journal of Daesoon Studies, (P)2799-7995; (E)2951-2069
2021, v.1, pp.67-83
https://doi.org/10.23209/jods.2021.1.67
허남진(Nam-jin Heo) (원광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논문은 모든 생명이 위협받고 있는 전 지구적 위기 상황에서 그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사상적 이념으로 대순사상의 ‘상생’에 주목했다. 지금 생태 위기로 수렴되는 지구적 위기는 인간과 지구, 인간과 인간 외의 존재(nonhuman)들과의 관계를 재정립해야 하기 때문이다. 세계관의 변화와 새로운 관계 맺음의 모델을 찾아야 하는 시점에서 대순사상의 ‘상생(相生)’과 ‘보은(報恩)’은 지구적 위기 시대에 필요로 하는 생태학적 사유이자 실천윤리이다. 강증산의 천지공사가 지향하는 원리인 해원상생사상은 인간과 신명, 인간과 인간, 인간과 자연 등 모든 존재가 상극적인 관계가 아닌 상생적 관계로 정립하는 사상이기 때문이다. 상생사상은 생명 평화 사상이기도 하다. 대순사상의 상생은 서로 살림이라는 의미는 지닌다는 점에서 서로 은혜를 주고받는 관계로 해석된다. 그래서 상생은 보은이라는 실천윤리로 확장된다. 특히 천지를 생과 수명과 복록을 주는 존재로 보고 천지보은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은 인류세 시대에 요청되는 주요한 실천윤리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상생’의 통합생태론적 성격에 주목했다. 인간과 인간 그리고 인간과 자연이 서로 살리는 살림의 원리라는 점에서 통합생태론적 성격이 강하다. 강증산은 인간과 자연을 해방시키기 위해 상생사상을 주장했다. 따라서 상생은 인간과 자연을 포함한 지구공동체(earth community)의 지구평화윤리로 해석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상생’은 천ㆍ지ㆍ인 삼계의 상생을 위한 지구평화론이다.

keywords
대순사상, 강증산, 해원상생, 대은, 천지보은, 통합생태학

Abstract

This paper maintains its focus on the mutual beneficence of Daesoon thought as the ideology in global crisis wherein all beings are threatened. In other words, the recent global crisis due to ecological destroy has to re-establish the relationship with human and other nonhuman. At the point of time when the change of worldview and model of new relationship are sought, mutual beneficence and reciprocation of favors in Daesoon thought are ecological thought and practical ethics in this global crisis. The Reordering Works of the universe (天地公事) of Kang Jeungsan aiming for the principle of resolution of grievance for mutual beneficence are an idea which lies on which all beings including human beings and divine beings, human beings and human beings, human beings and nature are built up upon the relationship in mutual beneficence, not the one in mutual contention. Mutual beneficence is life-peace. Mutual beneficence of Daesoon thought embraces the meaning of mutual life-giving. In this regard, it is interpreted as the relationship of mutual beneficence-giving and receiving. Thus, mutual beneficence is expanded to practical ethics, reciprocation of favors. Especially, considering that the heaven and earth is a being that gives all beings life, lifespan, prosperity, and blessings, the stress for reciprocation of favors from the heaven and earth can be essential practice of ethics in Anthropocene. This research focuses the characteristics of integral ecology. That is to say, human beings and human beings, and human beings and the natural world mutually give life. In this context, mutual beneficence is characterized by integral ecology. Kang Jeungsan insisted on the thought of mutual beneficence in order to liberate human beings and nature. Accordingly, mutual beneficence can be interpreted as the ethics of Earth-Peace of the Earth community including earth, humans and nonhuman. In this sense, ‘mutual beneficence’ is the Earth-Peace theory for the three realms-the heaven, the earth, and humanity.

keywords
Daesoon thought, Kang Jeungsan, resolution of grievance for mutual beneficence, great beneficence, reciprocation of favors of the heaven and earth, integral ecology


상단으로 이동

대순종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