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799-7995
  • E-ISSN 2951-2069

증산과 『영보국정정편(靈寶局定靜篇)』

Jeungsan and The Compilation of Sojourn-in-Stillness in the Lingbao (靈寶局定靜篇)

대순종학 / Journal of Daesoon Studies, (P)2799-7995; (E)2951-2069
2023, v.4, pp.27-73
https://doi.org/10.23209/jods.2023.4.27
박상규(Sang-kyu Park) (아시아종교연구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증산이 한국 근대의 종교 지형에서 차지하는 위상은 적지 않기에 증산에 관한 기존 연구에서 논의되지 않았거나 결이 다른 주장은 한국 근대 종교 지형 전반에 대한 이해에 큰 변동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증산과 관련된 연구에 있어서 기초가 되는 문헌에 대해서는 엄밀한 분석이 필요하다. 그런데도 철저한 고증이나 분석 없이 몇몇 학자들의 추측에 근거하여 19세기 말 활동한 도사인 이옥포가 저술한 『영보국정정편(靈寶局定靜篇)』이라는 문헌이 증산에게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는 주장이 2000년을 전후한 시기에 나타났고 이후 점점 더 확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 주장의 근거를 원점에서부터 검토하여 증산이 『영보국정정편』을 중요시하였고 이를 비전(祕傳)했다는 전승이 근거가 없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그리고 일부 학자들에 의해 이 전승이 역사적인 사실로 주장되게 된 맥락을 분석하여 『영보국정정편』이 소태산이나 송규의 저술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불법연구회, 즉 원불교에서 상당히 중요한 위상을 차지했다는 사실이 그 원인이었음을 추론했다. 이러한 결론에 따라 대순종학 영역에서 『영보국정정편』은 대순신앙이나 사상 연구의 기초적 문헌으로 평가되거나 활용되기는 어렵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대순진리회 전통과 타 증산 종단의 차이점을 분석하거나 원불교와의 관계를 명확히 하는 차원에서 참고할 가치는 있을 것이다. 앞으로 『영보국정정편』에 대한 보다 세밀한 이해와 분석을 통해 증산 사상과의 동일성보다는 차이점이 명확히 드러나는 연구를 기대해 본다.

keywords
송규, 『영보국정정편(靈寶局定靜篇)』, 원불교, 이옥포, 증산

Abstract

The role of Jeungsan in Korea’s modern religious landscape is undeniably significant. As such, unexplored claims or those that present divergent perspectives in existing Jeungsan research could potentially lead to substantial shifts in understanding modern Korea’s broader religious panorama. Given this, a meticulous analysis of the foundational documents related to Jeungsan research becomes crucial. Despite the lack of exhaustive historical evidence or analysis, numerous scholars suggest that The Compilation of Sojourn- in-Stillness in the Lingbao (靈寶局定靜篇), penned by late 19th-century Daoist master Lee Ok-Po, had a substantial influence on Jeungsan. This claim first surfaced around the year 2000 and has since garnered increasing attention. Upon an in-depth examination of the subject, this study critically evaluated the claim, concluding that the assertion regarding The Compilation of Sojourn-in-Stillness in the Lingbao as a transmission of secret tradition cherished by Jeungsan, lacks robust evidence. It was discovered that some researchers have erroneously treated this transmission as a confirmed historical fact. Moreover, an analysis suggests that this misunderstanding may stem from the fact that, although not written by Sotaesan or Song Kyu, this document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Research Society of Buddhism, specifically Won Buddhism. According to these results, The Compilation of Sojourn- in-Stillness in the Lingbao alone does not contain the necessary content to serve as a fundamental resource for studying Daesoon faith or thought within the field of Daesoon Studies. However, this document may be a valuable reference in the exploration of differences between Daesoon Jinrihoe and other Jeungsan traditions, and the examination of its relationship with Won Buddhism. It is hoped that through a more targeted understanding and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Compilation of Sojourn-in-Stillness in the Lingbao, future research can highlight the differences rather than the similarities with Jeungsan’s teachings.

keywords
Song Kyu, The Compilation of Sojourn-in-Stillness in the Lingbao (靈寶局定靜篇), Won Buddhism, Lee Ok-Po, Jeungsan


상단으로 이동

대순종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