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799-7995
  • E-ISSN 2951-2069

「궁을가」의 내력과 대순사상에서의 의미

Context and History of The Song of Gung-eul and Its Significance in Daesoon Thought

대순종학 / Journal of Daesoon Studies, (P)2799-7995; (E)2951-2069
2023, v.4, pp.75-95
https://doi.org/10.23209/jods.2023.4.75
최치봉(Chi-bong Choi) (아시아종교연구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글에서 고찰하고자 하는 바는 세 가지로, 첫째는 현존하는 자료 가운데 『전경』에 언급된 「궁을가」와 가장 유사한 가사집을 찾아내는 것이고, 둘째는 그 판본의 내용과 의미를 살펴보고, 셋째는 대순진리회에서 「궁을가」는 어떠한 관점에서 접근할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18세기 초에 「궁을가(弓乙歌)」는 동학도들에 의해 널리 펴져 있었고, 필사되고 전해지는 과정 중에 많은 이본(異本)이 생겼던 것으로 보인다. 『전경』에는 「궁을가」의 내용이 두 차례 언급되고 있는데, 첫째는 사명당(四明堂)에 관한 내용으로 천지공사의 일환으로 보이며, 두 번째는 동학과 도통군자에 관한 내용으로 수운을 대신하는 선생이 증산을 지칭하는 것이라 밝히고 있다. 이 구절들에서 유추할 수 있는 점은, 민간에 널리 펴져 있었던 「궁을가」가 증산의 강세와 천지공사가 언급된 신비하고 예언적 성격의 가사라는 점이다. 본 글에서는 『전경』에서 언급된 「궁을가」와 가장 유사한 판본을 한국가사문학 소장의 「궁을가」(UCI: G001+KR08-4850000101016.D0.V00004289)로 유추하였다. 이 자료의 전반적인 내용은 「궁을가」를 통해 당대 불안했던 대내외적 상황을 극복하는 한편, 『정감록』 등의 예언서에 따라 길지를 찾아 떠나는 것을 부정하고 있다. 특히 도통군자가 또 난다는 구절은 민중들의 고난을 덜어줄 구세주의 출현을 갈망하고 있었음을 드러내고 있다. 대순사상의 관점에서 사람들이 살아가야 할 방도는 천지공사로 마련된 것으로, 피난하는 길과 보신(保身)할 수 있는 길이 새롭게 열린 것이라 할 수 있다. 곧 대순사상에 있어 궁을(弓乙)은 도참서의 피난처나, 영부(靈符)를 통한 형태를 넘어서 태극의 도 아래에서 증산의 천지공사를 직접 이어받은 정산의 가르침을 따르고 행하라는 뜻이 풀이해 볼 수 있다.

keywords
대순사상, 「궁을가」, 참동학, 궁을(弓乙), 사명당(四明堂)

Abstract

This article aims to discuss three things: first, to find the compiled collection of songs that is most similar to The Song of Gung-eul, which is mentioned in The Canonical Scripture among the existing materials. Second, to examine the content and meaning of that version. And third, to explore how Daesoon Jinrihoe approaches The Song of Gung-eul from a certain perspective. In the early 18th century, The Song of Gung-eul was widely spread by the Eastern Learning followers, and it seems that its various versions (異本) were created during the process of transcription and transmission. The Canonical Scripture mentions that The Song of Gung-eul twice, first as part of the Reordering Works of heaven and earth, related to Samyeongdang (四明堂), and second as referring to Jeungsan, the teacher who replaces Suwun, in relation to the Eastern Learning and the sage who achieves Dao-unification. From these passages, it can be inferred that The Song of Gung-eul, which was widely spread among people, was a mysterious and prophetic song that mentioned Jeungsan’s descending and Reordering Works of heaven and earth. This article infers that the Korean Literature of Song’s collection of The Song of Gung-eul (UCI: G001+KR08- 4850000101016.D0.V00004289) is the version most similar to the one mentioned in The Canonical Scripture. The overall content of this material denies the idea of leaving for a propitious court based on prophecies such as The Prophecy of Jeong Gam, while overcoming the uncertain internal and external situation at the time through The Song of Gung-eul. Especially, the passage that mentions the reappearance of a sage who achieves Dao-unification reveals the people’s desire for the emergence of a savior who can alleviate their suffering. From the perspective of Daesoon Thought, the way people should live is provided through the Reordering Works of heaven and earth, and new ways for refuge and self-protection have been opened. In other words, in Daesoon Thought, Gung-eul (弓乙) can be interpreted as meaning to follow and practice Jeongsan’s teaching of the Reordering Works of heaven and earth directly under the principle of the Great Ultimate (Taiji), beyond the form of a refuge mentioned in fortune-telling books or through auspicious talismans (靈符).

keywords
Daesoon Thought, The Song of Gung-eul, True Eastern Learning, Gung-eul (弓乙), Samyeongdang (四明堂)


상단으로 이동

대순종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