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메뉴

고등학교 재학생들의 스트레스

The Stress of the High School Students

초록

본 연구는 고등학생들이 경험하고 있는 스트레스 사건, 이에 수반되는 기분,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방법, 및 사회적 지지여부와 대상들을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본 조사 연구의 대상은 서울 시내 소재 224개 고등학교 중 지역별, 계열별, 공사립 유형별 분포를 토대로 하여 계층적으로 무선표집한 20개 교의 178명(남:99명, 여:79명)이었다. 학생들은 연구자들이 제작한 구조화된 면접조사 양식에 따라 개별면접을 받았다. 면접 기록지에 기록된 자유반응을 내용 분석하여 13개의 영역으로 범주화하여 전산처리하였다. 173명이 보고한 스트레스 경험 739개를 13개 영역으로 분류한 결과 전체의 10%이상을 차지하는 영역은 공부문제(27.21%), 대인관계 문제(21.2%), 가정문제(19.2%), 및 학교생활과 관련된 문제(13.5%)였다. 고등학생들이 스트레스를 경험했을때 사용하는 대처방법을 확인한 결과 적극적인 대처방법을 사용하기 보다는 소극적인 대처방법을 더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스트레스에 대한 적절한 대처방법이 결여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스트레스를 경험했을 때 도움을 준 사람으로서 친구를 가장 많이 꼽고 있으며 의외로 부모나 학교 교사에게 도움을 받은 경우는 적었다. 이는 학생들에게 친구가 가장 강력한 지지세력이란 점과 부모 형제나 교사의 지지기능이 상대적으로 미약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조사결과를 토대로 학생들이 경험하고 있는 적응문제의 예방과 치료에 대한 대책이 논의되었다.

keywords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tressful life event, mood, coping strategy and social support of a high school student group. The information was gathered through structured interviews with a sample of 178 students from 20 high schools in Seoul area by stratified random sampling. The findings are summed up as follows. Free responses of stressful life events were categorized into 13 areas. Among these, highly stressful areas, each of which contributed to more than 10% of the total stressful life events, were as follows: difficulties arising within their academic achievement(27.2%), conflicts with their peer(21.2%), problems that occur within the family system(19.2%) and problems with the school activity (13.5%). Coping strategies the students used when they experienced stress were mostly passive ones such as seeking emotional support and avoidant behavior. Whereas active coping strategies such as problem solving activity and information gathering were manifested less frequently. And this finding suggests that the students generally had inappropriate coping strategies. It is surprising that they tended to prefer their friends as a supporter to their parents or school teachers when they distressed. This means that the supporting function of their parents or school teachers is relatively weak. The results were discussed with respect to adjustment problems of the high school students. On this basis, directions and implications for prevention and educational program were discussed and suggested.

keyword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