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메뉴

권호 목록

임상심리학의 새로운 조망
金重述(서울大) pp.3-6
초록보기
초록

한국의 임상심리학 교육에 있어서 어떤 기능을 중점적으로 강조할 것인가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개인중심의 정신건강 활동뿐만 아니라 공중보건 활동에서의 임상심리학자외 역할도 교육의 대상이 되어야 할 것 같고, 이런 관점에서 (1) 건강에 해로운 생 활양식 (life style) (2) 스트레스 및 (3) medical compliance 둥에 관하여 간략히 논의하고, 특히 임상심리학자의 활동에 있어서 자율성과 독립성이 반드시 확보되어야 함올 강조하였다. 그러기 위하여 독립적인 심리 진료소(psychology clinic)의 개설이 필요하며, 그곳을 일반대중올 위한 심리학적 봉사와 대학원 수준의 심리 학도를 위한 임 상교육의 장으로 삼는 것 이 바람직하다.

Abstract

A view is presented regarding what functionings should be emphasized in the education of clinical psychology in Korea. Emphasis should be placed on not only care for individual mental health but also activities related to public health care with an eye to (1) life style noxious for health, (2) stress, and (3) medical compliance. Particularly, autonomy and independence must be secured for the activities of clinical psychologists. Independent psychology clinic is proposed as necessary and desirable, which cad be used as a place for psychological services to the general public as well as clinical training of psychology students on the graduate level.

KWIS 반응의 비교연구 - 정신분열증집단과 두뇌손상집단 -
廉泰鎬(慶熙大) pp.7-17
초록보기
초록

본연구는 기 능성장애의 精神分製症50명과기질성장애의 頭腦損傷 42명의 KWIS反應을 집중적으로 통계적 비교분석을 한 것이다. ① 정신분열중집단과 두뇌손상집단의 집단별 IQ수준과 통계적 유의차는 全體 IQ (110.9 : 101.7, F(1.90) =6.96, p<. 01), 言語性 IQ (116.9 : 108.2, F(1.90) =10.39, p< 01) 및 動作性 IQ (105.5 : 92.2, F(1.90) =22.33, P<.01)를 얻었고 그리고 집단간 감별진단은 유의차수준에 의해서 동작성 IQ, 언어성 IQ 및 전체 IQ의 순으로 감별력의 유효성을 확인하게 되었고, 또한 두뇌손상집단의 언어성 IQ와 동작성 IQ의 차이 (16.0)는 정신분열증집단 (9.7)보다 더 컸다. ② 言語性尺度에서 정신분열중집단과 두뇌손상집단 사이에 常識檢査(14. 2:11.5, F(l. 90)=24. 27, p< .01), 語囊檢査(15.6 : 13.3, F(l.90)=11.33, p<.01 및 理解檢査(12.3 : 10.9, F(l. 90)=6.13, p<.05)4 유효한 감별력을, 얻었으며 그리고 공통성검사, 산수검 사 및 숫자검사는 유의차는 아니어도 역시 두뇌손상집 단이 더욱 언어성능력의 저하률 반영하였다. ③ 動作性尺度에성 정신분열중집단과 두뇌손상집단 사이에 바꿔 쓰기 검사(10.5 : 7.9, F(l. 90)=25.13, p <. 01), 토막짜기검사 (12.5 : 10.1, F(l. 90)=19.45, P<. 01), 모양맞추기 검 사(11.3 : 9.0, F(l. 90)=17. 27) P<. 01), 빠진곳찾기 검사(11.8 : 10.4, F(l. 90)=7.14, P<.01) 및 차례 맞추기검사(12.1 : 10.6, F(l. 90)=6. 88, P<.05)는 모두 집단간 감별진단의 통계적 의의도를 얻었으며, 두뇌손상집단이 더욱 동작성지능감퇴와 손상이 심하다는 것을 밝혀 주었다. ④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첫째) 입원기간, 특정유 형, 급성 대 만성, 약물효과 등을 검토하고, (둘째)더욱 타당하고 표준화된 기준에서 대상을 선택하고, (셋째) 감별진단의 적중률, 가양성과 가음성의 백분률을 제시하고, (넷째) 연구대상집단간 하위진단별 집단간 비교연구가 요망되며, 그리고 (다섯째) 1개검사만의 연구도 하면서 심리검사배터리에 의한 접근과 함께 정 신의학적 및 신경학적 소유의 검사와 관련연구를 한다면, 더욱 바람직한 연구가 될 것이라고 시사점을 생각 해 보았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Korean Wechsler Intelligence Scale responses of schizophrenic and diffusely brain-damaged patients. The schizophrenic group was composed of 50 males and the brain-damaged-group 42 males. The schizophrenic group had a mean age of 26.1 years(SD=6.7) and a mean of 12.9 Years of education(SD=2.3) and the brain-damaged group had a mean age of 27.4 years(SD=7.5) and a mean of 12.4 years of education(SD=1.9). The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obtaining mean, standard deviation, and analysis of variance. The followings were the main findings: 1) The schizophrenics were measured with the Full Scale IQ, 110.9, Verbal IQ, 116.9, and Performance IQ, 105.5, and the brain-damaged patients the Full Scale IQ, 101.7, Verbal IQ, 108.2, and Performance IQ, 92.2. Schizophrenics were more better than brain-damaged patients. The resul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Full Scale IQ;F(1,90)=6.96, p<.01, Verbal IQ;F(1,90)=10.39, p<.01 and Performance IQ;F(1,90)=22.33, p<.01. 2) In Verbal Scale, 3 subtests of the two group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formation subtest; F(1,90)=24.27, p.<.01, Vocabulary subtest; F(1,90)=11.33, p<.01, and Comprehension subtest; F(1,90)=6.13, p<.05. The other subtests of the schizophrenics were more better than the brain-damaged, but they showed statistically non-significant. 3) In Performance Scale, all 5 subtests of the two groups showed very different results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Digit symbol subtest; F(1,90)=25.13, p<.01, Block design subtest; F(1,90)=19.45, p<.01, Object assembly subtest; F(1,90)=17.27, p<.01, Picture completion subtest; F(1,90)=7.14, p<.01, and Picture arrangement subtest; F(1,90)=6.88, p<.05. 4) The results of KWIS responses were highly successful in discriminating the two groups.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include; a) the use of more valid criteria for schizophrenia (i.e., DSM-III) and brain damage (i.e., CT Scan) in classifying subjects; b) evaluating all subjects using both neurological and psychopathological criteria; and c) increased comparisons among schizophrenic and brain-damaged subclassifications.

비행청소년에 있어서 공격성과 불안의 감소에 미치는 주장훈련의 효과
洪京子(全南大) ; 盧安寧(全南大) pp.19-31
초록보기
초록

45명의 비행청소년들을 주장훈련집단(n=15), 토의집단(n=15), 통제집단(n=15)에 배정하여 불안과 공격성에 미치는 주장훈련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주장훈련집단은 강의, 역할연습 흑은 행동시연, 피이드백, 본보기, 과제물 주기 등으로 구성된 주장훈련 프로그램에 따라 2명의 훈련자에 의해 6주 동안(주 2시간씩) 훈련을 받았으며 토의집단은 6주 동안 2명의 훈련자와 함께 6개의 주제에 관해 토의하였다. 통제집단은 같은 기간동안 아무런 처치도 받지 않았다. 6주간의 처치 후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이나 토의집단 보다 공격성과 적의성의 감소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6주간의 처치 후 실험집단은 통제집단 보다 유의미하게 상태불안과 특성불안이 감소되었다. 그러나 실험집단은 6주간의 처치 후에도 불안감소에 있어서 토의집단보다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토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6주간의 처치후 상태불안과 특성불안이 다소 감소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아니었다. 차후의 연구에서는 자기보고형 측정 이외에도 행동적 측정이 더욱 첨가될 것과 피험자의 성격특성에 따라 주장훈련 프로그램의 구성을 각각 달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제언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assertive training on the reduction of aggression and anxiety in juvenile delinquents. Subjects were 45 male juvenile delinquents, with an age range from 16 to 19 years.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n=15), discussion(n=15), and control(n=15) groups, and assessed before and after treatment on self reported aggression and anxiety scales. The Spielberger' (1970)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was used to measure anxiety, and the Buss-Durkee' (1957) Aggression and Hostility Inventory was used to measure aggression of the subjects. The experimental group was given an assertive training program which consisted of instruction, role playing or behavior rehearsal, feedback, modeling, and homework assignments. The group was trained by two leaders for 6 weeks. The discussion group had spent 6 weeks dealing with 6 different topics led by the leaders. The control group had no treatment during the period. The three groups were compared using the pretest scores as the covariate. The results of analyses of covariance for different scores and t tests for adjusted means indicated that experimental group was more effective on the reduction of aggression and hostility than the discussion and control groups. The discussion group seemed, although statistically nonsignificant, to have somewhat significant effect on the reduction of state anxiety and trait anxiety, but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reduction of aggression and hostility. It was found in the further analysis that assault, indirect aggression among the subscales of aggression and suspicion among the subscales of hostility were reduced significantly, but negativism, irritability, verbal aggression and resentment were not reduced significantly. In discussion it was indicated that behavioral measure is needed, in addition to those used in the present study, and a study on the relative effectiveness of program components is recommended in future researches.

정서적 심상화 : 두 종류의 恐怖心傷化에 따른 심장박동과 자기보고의 變化
孫明子(啓明大) pp.33-42
초록보기
초록

Anderson의 문항분석체계에 따라 발표공포증에 관한 16개의 장면에 대해 자극명제 각본과 반응명제 각본을 만들었다. 8명씩의 두 집단이 심상 훈련과 근육 이완 훈련을 받고 난 뒤 심상지시를 받았다. 한 집단에게는 자극명제로 구성된 지시가 주어졌으며, 다른 집단에게는 반응명제로 구성된 지시가 주어졌다. 심장박동이 계속 측정되었고, 불안과 심상의 질에 대해 자기보고가 측정되었다. 심장박동에 있어서 집단간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지각적 불안과 심상의 생생함에 있어서는 집단간 차이가 없었다. 결과에 대한 해석은 비동시성 이론과 자기보고식 추정방법의 측면에서 논의되었다.

Abstract

Stimulus and response imagery scripts of 16 scenes for public speaking anxiety were made by Anderson's content analysis system. Two groups of 8 subjects were instructed, following training and relaxation. For one group the instructions structured of stimulus propositions were given, for the other instructions of response propositions. Heart rate was recorded throughout and self-report measure of fear and imaginal quality were obtained. For heart rate, group differences were apparent, but for perceptual anxiety and vividness of image were not.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recent theory of desynchrony and self-report as a assessment method.

상담자의 면접행동에 대한 내담자의 접근ㆍ공격ㆍ회피반응
尹官炫(亞洲大) ; 이장호(서울大) pp.43-53
초록보기
초록

피험자의 특성ㆍ상태불안에 따른 상담자지 공감, 해석, 조언, 질문 등의 면접행동에 대한 선호도(選好度)를 파악하기 위해서 비데오테이프에 나타난 상담자의 반응을 보고, 접근ㆍ공격ㆍ회피반응을 평정하게 했다. 연구의 결과, 공감에 대한 접근반응에서 불안에 따른 차이가 없었는데 공격ㆍ회피반응은 불안이 높은 집단이 더 많았다. 해석에 대한 접근반응은 불안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공격ㆍ회피반응은 불안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더 높았다. 또한 불안이 낮은 집단의 해석에 대한 접근반응은 공격ㆍ회피반응보다 높았으나 불안이 높은 집단의 접근ㆍ공격ㆍ회피반응 사이에는 차이가 없었다. 조언에 대한 접근반응도 불안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공격ㆍ회피반응은 불안이 높은 집단이 더 높았다. 질문에 대한 접근반응은 불안이 낮은 집단이 높은 집단보다 더 높았으며 공격ㆍ회피반응은 불안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훨씬 많았다. 불안이 낮은 집단의 질문에 대한 접근반응은 공격ㆍ회피반응보다 높았으나, 불안이 높은 집단에서는 접근ㆍ공격ㆍ회피반응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empathy, interpretation, advice-giving and probing by examining student reactions of two anxiety levels who viewed videotaped, roleplayed counseling situations. After measuring 3 trait-state anxiety of 300 undergraduates, 18 subjects with high trait-state and 18 subjects with low trait-state anxiety were selected for this experiment. Through the use of videotapes, each subject was asked to evaluate the degree of the approach, attachment and withdrawl reactions on the 11-point rating scale. The result was that anxious subject showed approach reaction to empathy and advice-giving more than interpretation and probing. In the case of approach reaction to interpretation, the anxious subjects did not show higher approach reaction than non-anxious subjects. But the anxious subjects shoved more attack, withdrawl reactions than non-anxious subjects. And the anxious subjects showed lower approach reaction than non-anxious subjects to probing, but the anxious subjects showed higher attack, withdrawl reactions than non-anxious subjects. The non-anxious subjects showed more approach reaction to interpretation and probing than attack and withdrawl, reactions, but the anxious subjects showed no difference in the approach, attack, and withdrawl reactions.

인지양식과 총체적 외형이 국소요소지각에 미치는 영향
李珉圭(서울大) ; 元鎬澤(서울大) pp.55-6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모호한 정삼각형의 방향을 판단할 때 나타나는 외형의 효과가 개인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고, 외형효과의 개인차가 장ㆍ의존성-독립성과 관련되는 것을 검증하였다. 여자대학생들에게 GEFT와 HFT를 실시하여 검사 점수 분포의 상위 극단에 속하는 장독립적인 집단과 하위 극단에 속하는 장의존적 집단으로 분류하여 피험자들을 선발하였다. 양 집단의 피험자들이게 세 방향을 가리킬 수 있어서 방향이 모호한 정삼각형의 지각되는 방향을 판단하도록 하였다. 장의존적인 피험자들은 장독립적인 피험자들에 비해 표적 삼각형과 주변 삼각형들이 구성하는 전체적 외형이 시사하는 방향으로 편중되는 반응을 더 많이 하였다. 집단별로 각 외형조건과 단독조건에서의 편중반응을 비교한 결과, 장의존적인 집단은 방향성이 모호한 외형조건을 포함한 모든 외형조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외형효과를 드러냈다. 그러나 장독립적인 집단은 외형이 시사하는 방향성이 가장 뚜렷한 밑변 정렬조건에서만 유의미한 외형 효과를 드러내고, 기타 조건에서는 단독 삼각조건과 비교할 때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 결과들은 모호한 지각상황에서 부분의 지각은 외형에 의해 강한 영향을 받고, 외형 효과에서의 개인차는 장의존성과 밀접하게 관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모호한 자극을 지각할 때 외형효과에서의 개인차와 심리적 특성과의 관계는 모호한 자극으로 구성된 Rorschach검사의 반응 분류체계 및 해석방법에 새로운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라는 점에서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ndividual difference of configuration effects on perceived pointing of ambiguous triangles, and relation between individual difference of configuration effects and cognitive style. Subjects far the study were 40 female undergraduates who were selected from a group of 121 who had received the Group Embedded Figure Test and the Hidden Figure Test.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20 subjects groups as field dependent and field independent groups. Palmer's paradigm was used to identify the configuration effects on perception of local element. The GEFT and HFT were used to identify the field dependent-independent cognitive style.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research hypothesis in the study is formulated as follows: The field dependent subjects will demonstrate a greater configuration effects in perceived pointing of triangle than the field independent subjects. Statistical methods applied for the present study were a 3-way analysis of variance.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howed that the research hypothesis is generally accepted at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As predicted, there is a individual difference of configuration effects by the cognitive style. Implications of this result suggested that individual difference of configuration effects on ambiguous visual stimuli may be applied to Rorschach test.

부모의 자녀행동 통제양식의 지각과 자아정체수준과의 관계
金順花(서울大) ; 朴性洙(서울大) pp.65-74
초록보기
초록

父母의 子女行動 統制樣式에 따라 子女들의 能力과 社會性 등이 차이를 나타낸다는 Baumrind의 理論과 Marcia의 自我正體 水準을 근거로 하여 父母의 子女 行動 統制樣式에 따라 自我正體 水準이 달라질 것이라는 假說을 세우고 검증하고자 하였다. 가설 검증 결과 自我正體 成就, 猶豫, 閉鎖, 放任, 混迷 등의 자아정체 수준은 父母의 子女行動 統制樣式의 4次元 -統制, 成熟要求, 對話의 明瞭性, 養育- 에서 모두 p=.05 수준에서 의미있는 차이를 나타냈다. p=0.5 수준에서 각 차원에 대한 男·女別 自我正體水準간 평균의 개별비교 결과를 등호와 부등호로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統制) 男 : 成就水準>閉鎖水準=猶豫水準>旅任水準=混迷水準 女 : 閉鎖水準>成就水準>猶豫水準>放任水準=混迷水準, (成熟要求) 男 : 成就水準>閉鎖水準=猶豫水準>旅任水準>混迷水準 女 : 閉鎖水準=成就水準>猶豫水準>混迷水準>旅任水準, (對話) 男 : 成就水準=閉鎖水準>猶豫水準=旅任水準=混迷水準 女 : 閉鎖水準=成就水準>猶豫水準>旅任水準>混迷水準, (養育) 男 : 成就水準=閉鎖水準>猶豫水準>旅任水準=混迷水準 女 : 閉鎖水準=成就水準>猶豫水準>旅任水準>混迷水準. 辨別分析의 결과에 의하면 自我正體 水準을 가장 잘 변별해 주는 次元은 男子의 경우는 양육과 통제 차원이며, 女子는 양육차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統制, 成熟要求, 對話의 明瞭性, 養育 등의 변인으로 자아정체 수준을 豫言할 수 있는 정확성은 男子는 52%, 女子는 56%로 각각 나타났다.

Abstract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relation between college student's identity statuses and parent's child behavior control patterns perceived by students. Baumrinds' studies on parents' child behavior control and Marcia's investigations on identity statuses have been theoretical foundations for the study. In this study, Marcias categories of the identity statuses is reclassified; identity achievement, moratorium, foreclosure, diffusion and indifference. Parents' patterns of child behavior control suggested by Baumrind are control, maturity demand, communication and nurturance.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howed that the research hypothesis is generally accepted at statisitially significant level. Based on the results and previous studies, it would be concluded that parents' control patterns of child behavior are closely associated with the college student's identity statuses. There were slight differences of the identity statuses and the behavior control patterns between college male students and female students.

주의 재배치가 학습된 무력감 완화에 미치는 영향
金南載(空土) pp.75-82
초록보기
초록

本 硏究는 學習된 無力感 실험에서 전형적으로 사용되는 非有關性의 경험後에 나타나는 遂行障碍가 注意再配置 절차를 통해 완화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려고 設計되었다. 학습된 무력감 연구에서 관찰되는 수행장애는 不安 유발에 의한 주의 분산 때문일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예민한 피험자들은 統制不可能性을 경험하게 되면 과제와 관계없는 負的 自己 注意를 하게 되어 수행장애를 보이게 된다. 예언한 바와 같이 주의 재배치 절차는 통제불가능성 경험 후의 수행장애를 완화하였다. 그리고 상상 절차는 통제불가능성 경험후의 불안정서를 완화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학습된 무력감 연구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認知的一注意的으로 해석할 수 있음을 제안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연구의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an attention redeployment exercise in alleviating the delilitating effects of noncontingency experiences of the type typically employed in learned helplessness studies. It was assumed that cognitive interference associated with anxiety is the source of the performance deficits observed in learned helplessness studies. For susceptible subjects, uncontrollability experiences elicit a task-irrelevant, negative focus on self. Subjects were assigned randomly to one of four conditions, and the experiment was conduced individually. Subjects received contingent or noncontingent reinforcements in the discrimination task; and practiced attentional redeployment in the form of imagination exercise or delayed shortly. After treatment phase, subjects performed the block-counting task. Additionally, subjects were asked to rate their mood on the MAACL before and after treatment phase. As predicted, the attentional redeployment alleviated the impairment of performance that typically follows a helplessness induction. And it was also found that the imagination exercise alleviated the anxious affect that follows uncontrollability experiences. The results are discussed in terms of a cognitive-attentional interpretation of learned helplessness studies. In addition, some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억압-민감화 척도상에 나타난 방어양상과 자극의 정서성이 지각에 미치는 효과와의 관계
李明善() pp.83-93
초록보기
초록

본 실험에서는 억압-민감화 척도상에 나타난 방어양상과 자극의 정서성이 지각에 미치는 효과를 정보처리이론의 프라임-프로브(prime-probe) 방법을 사용하여 알아보고자하였다. 피험자들은 관련 혹은 비관련 기림 프라임(prime)후에 제시되는 단어 혹은 비단어 프로브에 대해 어휘판단을 하였다. 정보처리이론에서는 프라임과 프로브가 語意的 혹은 연상적으로 관련되어 있을 경우가 관련되어 있지 않을 때보다 프로브의 처리속도가 빨라짐을 보여주고 있다. 프라임과 프로브의 자극 개시 불일치(Stimulus Onset Asynchrony)는 300msec였다. 그림 프라임은 60∼70% 확인 수준 동안 제시되었다. 본 실험은 다음의 두가지 예언을 하였다. 예언 I. 불안 자극의 경우, 抑壓者는 연상적 지연효과를 보일 것이고, 敏感者는 연상적 촉진효과를 보일 것이다. 예언 II. 중립자극의 경우, 억압자와 민감자 모두 연상적 촉진효과를 보일 것이다. 실험 결과 예언 I은 지지되었다. 따라서 억압과 민감화의 방어양상은 자극의 60~70% 확인수준에서 불안자극에 대해 선택적 注意와 선택적 非注意가 이 현상의 설명개념으로 제시되었다. 그러나 예언 II는 기각되었는 바, 앞으로 이에 대한 설명적 연구가 필요하리라고 생각된다.

Abstract

In this experiment, the relationship between defense mode manifested in R-S scale and the effect of emotionality of stimulus to perception was explored by the prime-probe method of the theory of information processing. Subjects were to make lexical decision to word or nonword probe, which followed the related or the nonrelated picture prime. SOA of prime-probe was 300 msec and picture prime was delayed in range of 60~70% identification (Blum, 1979). It is resumed by 2 hypotheses. I) To anxious stimulus, repressors will show associative delay effect and sensitizers will show associative facilitation effect. II) To neutral stimulus, repressors and sensitizers will show associative facilitation effect. Hypothesis I was accepted.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defense mode of repression and sensitization operate selectively to anxious stimulus in range of 60~70% identification. Selective attention and selective inattention was proposed as describing these phenomena. But hypothesis II was rejected. The implication of this result need more investigation.

개인적 구성개념 이론내에서의 인지 복잡성
孫正洛(全北大) pp.95-108
초록보기
초록

본 논문에서는 認知 複雜性(cognitive complexity)의 주요한 測定方法들과 이 분야의 경험적인 연구들을 살펴보려고 하였다. Bieri(1955)의 최초의 연구이래 많은 방법이 고안되어 왔으나, 이 방법들은 서로 관련이 없는 것들이 많았다. 또한, 이 槪念을 조작화하는 데도 연구자들에 따라서 서로 달랐다. 본인의 이전 연구들(孫, 1977, 1982)처럼 分化測定만을 다루었거나 統合測定만을 다루어서 이 분야를 연구하는 데는 方法論的인 한계가 있음이 발견되었다. Kelley(1955)의 個人的 構成槪念 理論(personal construct theory)內에서 分化와 統合을 함께 고려할 수 있는 하나의 기본 가정과 11개의 推論(corollary)에 근거하는 方法論의 고안이 필요하다. 따라서 Leitner와 Barr(1975)의 서열화(ordination) 측정방법은 하나의 새로운 시도이며, Landfield(1971)의 FIC측정과 함께 사용하여 認知 複雜性 분야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認知 複雜性 분야에서 分化(differentiation)와 統合(integration)을 함께 고려하여 특히 연구할 주제는 갈등과 精神病理學에 관한 것일 것이다. 왜냐하면 Bannister(1963)의 "이완된 構成槪念"은 統合이 없는 分化이기 때문이다.

Abstract

This study is primarily concerned with analyzing the most commonly used measures and its empirical findings of cognitive complexity. The first of these measures was used by Bieri(1955), in which he called "cognitive complexity." Bieri`s measure was obtained from responses to the Role Construct Repertory Test (RCRT) or Rep Grid devised by G. A. Kelley(1955). Unfortunately, due to both methodological limitations and the current lack of an underlying theoretical framework in which to place the data, research in this field is filled with contradictions. With respect to my own research (Son, 1977, 1982), I felt that the method was not tapping completely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conceptual organization, It is necessary to measure both cognitive differentiation and cognitive integration. By considering the Personal Construct Theory of G.A. Kelley(1955), the most commonly used measures and the empirical findings of cognitive complexity was analyzed. A dual use of measures of both Differentiation and Integration is required.

한국 정신과 입원환자의 MMPI 해석법 연구
金重述(서울大) pp.109-12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가장 빈도수가 많은 MMPI Code type을 확인하고, Gilberstadt와 Duker가 개발한 Check-list를 사용하여 각 Code type에 해당하는 증상 및 배경정보를 수집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피험자는 서울지역에 있는 두 개의 의과대학 부속병원 정신과와 한 개의 정신과 개인병원에 입원한 106명(남자 40, 여자 66)의 환자였으며, chi-square를 사용하여 그것들의 통계적 유의도를 검증하였다. 그 곁과 가장 빈도가 높은 code type으로는 1-3(3-1), 1-8(8-1), 6-8(8-6), 6-9(9-6), 7-8(8-7) 및 9 type이었으며, 그에 해당하는 진단 및 주된 증상을 검토하여 보았다.

Abstract

A study was made to find out most frequent MMPI code types and behavioral correlates for each of them utilizing Gilberstadt and Duker's check-list form. Subjects were 106 psychiatric inpatients(40 males and 66 females) hospitalized in psychiatric units of two general hospitals attached to medical school and one private psychiatric clinic in Seoul area from June of 1977 to August of 1983. Chi-square was used to confirm statistical significance of checked items in the check-list compared with the base rate of the total patients. 1. The most frequent MMPI code types were found to be 1-3(3-1), 1-8(8-1), 6-8(8-6), 6-9(9-6), 7-8(8-7) and 9 types. 2. 1-3(3-1) type: Diagnosis: Hysterical neurosis; depression Clinical features: headache, neckpain & throat complaints, dizziness, epigastric complants, numbness, anorexia, nausea, vomiting, back pain, dyspnea, respiratory complaints; mother physically ill. ; religious, with religious conflict. 3. 1-8(8-1) type: Diagnosis: Not definite Clinical features; suicidal preoccupation, suicidal attempt; immature. 4. 6-8(8-6) type: Diagnosis: Schizophrenia Clinical features: paranoid trend, suspicious, speech difficulty; disturbed by relatives. 5. 6-9(9-6) type: Diagnosis: Schizophrenia Clinical features: elated mood, talkative, assaultive, grandiose delusion, hypertension; father religious, mother strict. 6. 7-8(8-7) type: Diagnosis: Personality disorder; schizophrenia Clinical features: unworthiness feeling; conflict with parent 7. 9 type: Diagnosis: Personality disorder; schizophrenia Clinical features: hostile, emotional instability, evasive, defensive, hyperactive, heavy drinking, poor work adjustment, visual hallucination; father deserted. 8. Since there are many points that do not agree with the results from other authors in terms of clinical features and diagnosis, further replication studies is highly needed.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