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2733-4538
노인들이 느끼는 주관적 행복감은 인구학적 변인들에 의해서보다는 생물학적 기초를 갖는 성격특성과 더욱 많이 관련되어 있다. Costa와 McCrae의 NEO모델에 따르자면, E는 사회성, 템포, 활기, 사회적 개입 등과 같은 기질적인 특질들과 관련되기 때문에 정적인 정서 및 행복감과 높은 상관을 보이고, 반면 N은 불안, 적의, 충동성 및 정신신체적 질병 등과 같은 기질적인 특질들과 관련되기 때문에 부적인 정서 및 불행감과 높은 상관을 보인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Costa와 McCrae의 모델을 기초로 하여 성격차원(E,N)과 행복감과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55세 이상의 남녀피험자 71명(남자 : 31명, 여자 : 40명)을 대상으로 성격차원 검사, 노인생활적응도 질문서, 절망감척도, 행복감 평정척도를 실시하여 얻은 결과에서 Costa와 McCrae의 모델이 지지됨에 따라 성격차원(E,N)이 노인들이 느끼는 주관적 행복감에 좀더 중요한 변인임을 입증하였다.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s biological factors contribute to subjective well-being of the elder much more than demographic variables do. According to Costa &. McCrae's model, extraversion which made up of traits of sociability, tempo, vigor and social involvement, is associated with positive affect and higher levels of happiness, whereas neuroticism which made up of traits of anxiety, anger, impulsivity, psychosomatic complaints, is associated with negative affect and lower levels of happiness.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dimension(E,N) and subjective well being of the elder based on the Costa & McCrae's model. The EPQ, the Hopeless scale, the MUNSH and the Happiness scale were administrated to 71 subjects aged over 55(31 males and 40 females). The results supported experimental hypotheses and it is obviously concluded that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re suggested as more important variables than any other demographic variables to account for subjective well-being.
시간적 기능에 따라 변화하는 중다차원적 부활성 수준을 비교하기 위해 100명의 대학생들에게 Thayer(1978 b)의 "부활성-불활성 형용사 체크리스트"(Activation-Deactivation Adjective Check List, AD ACL) 간편형을 오전과 오후 2회 실시하였다. 차원 A 부활성은 순환적 리듬으로 변화하는 에너지각성 차원이었으며, 차원 B 부활성은 정서적 및 스트레스 반응에 기초가 되는 긴장각성 차원이었다. 결과는 차원 A 부활성 수준은 오후에 유의미하게 감소되었고, 감소 정도에 성차가 있음을 보여 주었다. 차원 B 부활성 수준도 오후에 약간 감소했으나 유의미한 차는 아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피험자들을 적정에너지 소모상태에서, 시간적 기능에 따라 "에너지-평온함"에서 "피로-평온함"으로 변해 갔음을 확인하였다.
In order to find out activation level change on a day, 100 college students(50 males and 50 females) were asked to complete short form of the Activation-Deactivation Adjective Check List(AD ACL: Thayer, 1978 b) twice a day(morning and afternoon). Dimension A activation which varies with circadian rhythm is the energetic arousal dimension and Dimension B activation which underlies emotional and stress reactions is tense arousal dimension. Results were found that the level of dimension A activation reduced in the afternoon more than in the morning significantly and the degree of this reduction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ex. The level of Dimension B activation also reduced in the afternoon more than in the morning but not significantly. From these results it would be concluded that the subjects' activation levels varied from energy-calmness to tiredness-calmness under the situation of moderate levels of energy expenditure.
본연구는 장기 알콜중독 집단의 약호화처리전략 사용이 정상집단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범주단어가 기억과제로 사용되었고 단서지시, 단서비지시조건에 따라 제시되었다. 알콜중독 집단과 정상집단간 회상율 차이는 있었으나 단서지시조건에 따른 회상율 차이는 없었다.
This study was purported to compare the Alocholic's encoding strategy with that of control group. Sixteen randomly ordered categorical items were presented with encoding cue or no encoding cue. A two-way analysis of variance revealed the significant effect of patient population.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s of encoding cue condition.
본 연구는 고등학생들이 경험하고 있는 스트레스 사건, 이에 수반되는 기분,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방법, 및 사회적 지지여부와 대상들을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본 조사 연구의 대상은 서울 시내 소재 224개 고등학교 중 지역별, 계열별, 공사립 유형별 분포를 토대로 하여 계층적으로 무선표집한 20개 교의 178명(남:99명, 여:79명)이었다. 학생들은 연구자들이 제작한 구조화된 면접조사 양식에 따라 개별면접을 받았다. 면접 기록지에 기록된 자유반응을 내용 분석하여 13개의 영역으로 범주화하여 전산처리하였다. 173명이 보고한 스트레스 경험 739개를 13개 영역으로 분류한 결과 전체의 10%이상을 차지하는 영역은 공부문제(27.21%), 대인관계 문제(21.2%), 가정문제(19.2%), 및 학교생활과 관련된 문제(13.5%)였다. 고등학생들이 스트레스를 경험했을때 사용하는 대처방법을 확인한 결과 적극적인 대처방법을 사용하기 보다는 소극적인 대처방법을 더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스트레스에 대한 적절한 대처방법이 결여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스트레스를 경험했을 때 도움을 준 사람으로서 친구를 가장 많이 꼽고 있으며 의외로 부모나 학교 교사에게 도움을 받은 경우는 적었다. 이는 학생들에게 친구가 가장 강력한 지지세력이란 점과 부모 형제나 교사의 지지기능이 상대적으로 미약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조사결과를 토대로 학생들이 경험하고 있는 적응문제의 예방과 치료에 대한 대책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tressful life event, mood, coping strategy and social support of a high school student group. The information was gathered through structured interviews with a sample of 178 students from 20 high schools in Seoul area by stratified random sampling. The findings are summed up as follows. Free responses of stressful life events were categorized into 13 areas. Among these, highly stressful areas, each of which contributed to more than 10% of the total stressful life events, were as follows: difficulties arising within their academic achievement(27.2%), conflicts with their peer(21.2%), problems that occur within the family system(19.2%) and problems with the school activity (13.5%). Coping strategies the students used when they experienced stress were mostly passive ones such as seeking emotional support and avoidant behavior. Whereas active coping strategies such as problem solving activity and information gathering were manifested less frequently. And this finding suggests that the students generally had inappropriate coping strategies. It is surprising that they tended to prefer their friends as a supporter to their parents or school teachers when they distressed. This means that the supporting function of their parents or school teachers is relatively weak. The results were discussed with respect to adjustment problems of the high school students. On this basis, directions and implications for prevention and educational program were discussed and suggested.
본 연구는 Leyton Obsessional Inventory(Cooper, 1970)를 한국판 집단용 지필검사로 표준화하기위한 예비연구이다. 본 연구에 참여한 피험자는 중학생 140명(남;57명, 여;69명), 고등학생 126명(남;57명, 여;69명), 및 대학생 160명(남;72명, 여;88명)으로서 총 426명이었다. LOI원판 문항을 우리말로 번안한 후 지필검사 양식으로 제작하여 이를 피험자들에게 집단으로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로 신뢰도, 타당도 및 요인구조를 알아보기 위해 이를 전산처리하였다.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Cronbach-α 계수와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산출하였으며 타당도 검증을 위해서는 준거 타당도를 산출하였다. 검사 내용의 요인구조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주성분 분석을 한 후 이를 Varimax회전시켰다. 전체 인원에 대한 증상 점수와 특질 점수를 합친 총점의 α 계수는 .86으로 나타났으며 검사-재검사신뢰도는 r=.84였다. 타당도 검증을 위해 100명의 학생들에게 LOI와 SCL-90-R강박척도 점수간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두 검사 점수들 간의 상관 계수는 .22(P<.01)로 나타났다. LOI 69개 문항을 주성분 요인분석한 결과 24개의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eigen값이 1.00이상인 요인은 8개였다. 이 요인들은 포함된 문항 내용을 고려하여, 정리와 정돈, 완벽성, 불결과 오염, 반복, 확인, 청결성, 불길한 예상, 소심증 요인이라고 명명하였다. 끝으로 전국 규모의 규준 작성과 단축형 및 아동용 검사 개발의 필요성이 논의되었다.
The Leyton Obsessional Inventory(Cooper, 1970) was modified into a paper-and-pencil form to facilitate its group administration. Verification of reliability, validity and factor structure was carried out on the modified version replies of 426 students(middle school students ; 140, high school students ; 126, college students ; 160). Cronbach's alpha-coefficient was used to calculate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inventory, and turned out to be .86. The same consistency index was calculated for each of the four subscales. In this case, the alpha coefficients were .84(symptom), .61(trait), .84(resistance), and .86(interference). For the test-retest results with one week interval, the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80(symptom), .83(trait), .86(resistance), .86(interference), and .84(total). Validity was evaluated using scores of the LOI measures and scores of SCL-90-R. Correlations of the LOI measures and SCL-90-R measure were .25(symptom), .12(trait), .32(resistance), .33(interference), and .22(total). Subjects' responses to the inventory were studied by factor analysis. The principal-component method was used, with repetitions followed by Varimax rotation. Eight factors were identified, explaining 63.4% of the variance. These factors may be described as follows ; I : Order and tidiness, II : Perfectionism, III : Dirt and contamination, IV : Repetition, V : Checking, VI : Cleanliness, VII : Unpleasant anticipation, VIII : Cautiousness. The requirement of further study for the standardization and development of LOI short-form and child version were emphasized.
ECT가 기억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 정신분열증과 정신분열증양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BGT와 KWIS의 상식 소검사를 실시하였다. 실시절차는 1)ECT받기 일주일 전 2)6ECT받은 후 6시간이내 3)마지막 ECT받은 후 14일 뒤 간격으로 3번 반복측정하였다. BGT의 결과는 ECT받은 집단이 받지않은 집단과 비교해 2번째 측정에서 의미있는 손상을 보였고, 또한 14일 후에 거의 원수준으로 회복된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KWIS에 대해서 ECT처치집단과 ECT비처치집단간에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
We investingated the effects of bilateral ECT on the memory in schizophrenic or schizophreniform patients by using BGT and information subscale of KWIS. Patients were tested three times ; 1) 1 week prior to ECT 2) within 6 hours of the 6 ECT 3) two weeks after final EGT. Results on BGT showed a significant impairement on second testing followed by full recovery 2 weeks later for ECT group compared with mached controls. But, on the results of information the difference between ECT group and no ECT group was not significant.
이 연구에서는 스트레스 자극에 대한 태도의 차원구조가 그 자극으로부터 발생하는 스트레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히려 하였다. 여기서 태도의 차원구조는 태도의 두 차원 즉, 평가차원과 기술차원이 분화된 정도로서, 이 지표를 이용하여 두가지 실험을 하였다. 실험 I에서는 태도의 차원구조에서의 분화수준이 낮을수록 주어진 스트레스 자극을 판단할 때, 개인의 감정이 많이 개입할 것이라는 가정을 검토하였다. 예언대로 미분화된 차원구조에서는 갈등처리에서 감정적 처리가 우세한 반면에 분화된 차원구조에서는 인지적 처리가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II에서는 앞 실험에서의 그같은 결과가 갈등처리에서 발생하는 스트레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분화된 차원구조에서는 주어진 갈등에 대하여 의사결정을 한 후의 스트레인의 크기가 현격하게 떨어져 의사결정 전에 가졌던 스트레인이 후에 까지 지속되지 않는 반면에 미분화된 차원구조에서는 이것이 지속되고 있음이 나타났다. 갈등자극에 대한 감정적 처리와 인지적 처리양식의 차이를 중심으로 이 결과를 논의하였다.
On the assumption that the structure of attitude is differentiated in to descriptive and evaluative dimensions, this study investigated that the degree of dimensional differentiation is mediated by the stress buffering effects. In experiment I, it was revealed that the lower the level of dimensional differentiation is, the more subject's affect is involved in conflict processing. In experiment II, it was found that the more differentiated the structure of attitude, the less persisted the post divisional strain in conflict processing. It was interpreted that the degree of dimensional differentiation influenced to the stressful stimuli more after decision making than did before.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focusing on the difference between affective and cognitive modes of conflict processing.
우울에 관한 인지적 모형과 학습된 무력 모형은 많은 경험적 연구들을 유발시켰다. 이 연구들은 우울한 사람의 인지 과정의 특성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본 논문에서는 우울집단의 인지과정을 밝히려는 연구들 중에서 우울한 사람들의 정보처리과정에 관한 연구들을 중점적으로 개관하였다. 선행연구들이 일괄된 결과를 보이지 않았지만, 임상적 우울집단은 대체로 부정적 인지의 특성을 보였다. 부정적 인지가 우울의 원인적 역할을 하는가에 대해서는 결론을 내리기가 어려우며, 우울과 부정적 인지 사이가 순환석 관계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시사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에 바탕하여 앞으로의 연구문제들이 논의되었다.
Many researches examined the role of cognition in depression. These researches tested the Beck`s cognitive model of depression or the learned helplessness model of depression. Three broad areas of cognitive functioning in depression are examined : Judgment of contingency or performance expectations, attributional processes, and information processing. In this paper, researches examining the information processing in depression are reviewed mainly. The available empirical evidences are suggestive of negative cognitive tendencies in severely depressed individuals. The hypothesis that negative cognition is the cause of depression is not consistently supported. The empirical literature suggests that the depressive recycling processes between negative cognition and depression are likely to contribute to the maintenance of depressive reaction. Additionally, some issues to be considered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