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메뉴

자기보고의 중다차원적 부활성 수준의 시간적 변화

The Diurnal Variations of the Self-Reported Multidimensional Activation Levels

초록

시간적 기능에 따라 변화하는 중다차원적 부활성 수준을 비교하기 위해 100명의 대학생들에게 Thayer(1978 b)의 "부활성-불활성 형용사 체크리스트"(Activation-Deactivation Adjective Check List, AD ACL) 간편형을 오전과 오후 2회 실시하였다. 차원 A 부활성은 순환적 리듬으로 변화하는 에너지각성 차원이었으며, 차원 B 부활성은 정서적 및 스트레스 반응에 기초가 되는 긴장각성 차원이었다. 결과는 차원 A 부활성 수준은 오후에 유의미하게 감소되었고, 감소 정도에 성차가 있음을 보여 주었다. 차원 B 부활성 수준도 오후에 약간 감소했으나 유의미한 차는 아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피험자들을 적정에너지 소모상태에서, 시간적 기능에 따라 "에너지-평온함"에서 "피로-평온함"으로 변해 갔음을 확인하였다.

keywords

Abstract

In order to find out activation level change on a day, 100 college students(50 males and 50 females) were asked to complete short form of the Activation-Deactivation Adjective Check List(AD ACL: Thayer, 1978 b) twice a day(morning and afternoon). Dimension A activation which varies with circadian rhythm is the energetic arousal dimension and Dimension B activation which underlies emotional and stress reactions is tense arousal dimension. Results were found that the level of dimension A activation reduced in the afternoon more than in the morning significantly and the degree of this reduction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ex. The level of Dimension B activation also reduced in the afternoon more than in the morning but not significantly. From these results it would be concluded that the subjects' activation levels varied from energy-calmness to tiredness-calmness under the situation of moderate levels of energy expenditure.

keyword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