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정신분열증환자의 부활성수준과 그 시간적 리듬

Levels of Activation and It's Diurnal Rhythms in Schizophrenics

초록

개체의 전체 반응성이나 흥분성을 결정해주는 부활성은 신경계의 특성을 반영하는 성격특질로 표현될 수 있다. 그리고 한 개체의 부활성도 주어진 시간과 자극상황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피질각성과 자율부활성을 중심으로 정신분열증환자의 부활성수준 및 그 시간적 리듬의 특징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기보고식 방법으로 특질적 및 상태적 부활성을 평가하였다. 피험자는 모두 남자들로서 9명의 만성 정신분열증환자와 14명의 정상인들로 구성되었다. 자기보고식 부활성 평가도구로는 한국판 「성격차원검사」(EPQ)와 간편형 「부활성-탈부활성 형용사 체크리스트」(AD-ACL)가 사용되었다. 「EPQ」로는 특질적 피질각성과 자율부활성을 그리고 「AD-ACL」로는 상태적 피질각성과 자율부활성을 각각 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단기간의 종단적 연구로서 정신분열증환자에게는 1일 5회씩 1주간, 그리고 정상인에게는 2주간 「AD-ACL」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상인에 비해 정신분열증환자의 특질적 피질각성수준은 높았으나 상태적 피질각성수준은 낮았다. 특질적 자율부활성수준에선 정신분열증환자가 정상인보다 높았다. 그리고 정상인의 상태적 피질각성수준은 시간에 따라 전도된 U형 커브로 변화하는데 비해, 정신분열증환자의 것은 시간변화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낮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이같은 결과에 의해, 정신분열증환자의 특질적 피질각성수준의 정상인보다 높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상태적 피질각성수준은 정상인보다 낮아졌고, 이는 다시 긴장각성차원인 상태적 자율부활성수준을 높혀 놓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또한 Eysenck와 Thayer의 주장이 수정되어야 한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즉, Eysenck와 Thayer는 특질적 및 상태적 피질각성과 자율부활성을 근본적으로 같은 특성으로 보았으나 본 연구결과에서 볼 때 두 부활성은 서로 다른 특성이라고 할 수 있다. 첫째로, 피질각성은 Strelau가 주장하는 '반응성-활동성'의 개념으로 설명할 수 있는데 특질적 피질각성은 일차적 기질특성인 반응성으로 그리고 상태적 피질각성은 반응성에 의해 통정되는 이차적 특성인 활동성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둘째로, 특질적 자율부활성은 신경증환자집단의 특성으로 볼 수 있으나 상태적 자율부활성은 모든 이상집단의 공통적인 특성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keywords

Abstract

Individual differences of activation, which determine levels of the responsiveness or excitation of individuals to the stimuli, can be considere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reflecting the properties of nervous system. And activation level in man is presumed to vary diurnally in a circadian rhythm due to time variation and environmental influences. Present research aim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activation levels and it's diurnal rhythms in schizophrenics. For this purpose, two-dimensional activation of cortical arousal and autonomic activation in both trait and state was emphasized in this research. 9 chonic schizophrenics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14 normals as the control group were asked to complete the Korean version Eysenck Personality Questionnaire(EPQ) and the short-form Activation-Deactivation Adjective Check List (AD-ACL). EPQ is a questionnaire which was devised so as to assess trait activation, and AD-ACL is also a instrument based upon self-report for assessing activation states. In this research diurnal variation of state activation depending on endogenous rhythm as well as semipermanent trait of activation was emphasized. Results were as follows : (a) schizophrenics were higher than normals on trait cortical arousal but lower than normals on state cortical arousal. (b) On a trait autonomic activation level,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chizophrenics and normals but schizophrenics were higher than normals on a state autonomic activation level. (c) In diurnal rhythm of state cortical arousal, inverted U-shaped curve normals but flattened curve in schizophrenics were found. For these results, it would be concluded that schizophrenics with higher trait cortical arousal levels presented lower state cortical arousal levels than normals, and that this elevated state autonomic activation in schizophrenics. Moreover, these results suggested various possible modifications of Eysenck and Thayers' two-dimensional activation theory as following; a)In connection with Strelau's 'reactivity-activity' model, trait cortical arousal would be regarded as reactivity that is a temperamental trait, compared with state cortical arousal would be regarded as activity that is an energetic characteristic of behavior being regulated by reactivity. b)Trait autonomic activation would be regarded as an abnormal trait that is a characteristic factor in neurotics, while state autonomic activation would be regarded as an abnormal state that is a common factor shared by all abnormal groups.

keyword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