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검색어: development, 검색결과: 15
11
전지연(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사서교육전공) ; 김기영(연세대학교) 2021, Vol.38, No.2, pp.129-152 https://doi.org/10.3743/KOSIM.2021.38.2.129
초록보기
초록

청소년의 진로 교육에서 다양한 교육적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진로성숙에 필요한 독서 방법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지적 관점에서의 독서가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 과정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제시된 독서방법을 차용하였으며 중학생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고 설문 데이터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독서방법, 자기효능감, 진로성숙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비판적 읽기는 진로 결정성, 확신성에 영향을 주며 감상적 읽기와 창의적 읽기는 진로 준비성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비판적 읽기는 자기효능감의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 과제난이도선호에 영향을 미치고 창의적 읽기는 자기조절효능감에 영향을 미쳤다. 비판적 읽기는 자기효능감을 매개하여 진로성숙에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진로독서교육에서 진로성숙과 자기효능감 발달을 위한 학습요소를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Abstract

Regardless of previous educational attempts in youth career education, there are not specific methods for reading to improve career maturity ye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reading method based on cognitive aspect which impacts career maturity and the mediation effect of self-efficacy in this process. This study tries to understand the roles of reading by applying the various reading methods suggested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and statistical analysis from a survey completed by middle school students. Findings showed that critical reading affected the decisiveness as well as the confidence of career maturity. Also, emotional reading and creative reading influenced the preparation of career maturity. Critical reading impacted all subvariables of self-efficacy - confidence, self-regulating efficacy, and task difficulty preference. Findings also showed that emotional reading affected self-regulating efficacy. Ultimately, the confidence of self-efficacy partly mediated critical reading and decisiveness. This study contributes to guiding reading instructions for practitioners and school curriculums to develop career maturity and self-efficacy.

12
이승연(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사서교육전공) ; 김기영(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2023, Vol.40, No.4, pp.375-401 https://doi.org/10.3743/KOSIM.2023.40.4.375
초록보기
초록

학교도서관은 학생들에게 미래의 불확실성에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는 장소로, 다양한 정보를 활용하여 기본 역량과 변화 대응력을 키울 수 있는 곳이다. 학교도서관의 활용은 교사의 지도가 필수적이므로 교사의 인식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는 교사의 인식을 외부환경으로 간주하여 그 중요성을 계량적인 척도로 측정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학교도서관 인식을 구체적으로 알아보고자, 사람 중심적인 접근 방법인 잠재프로파일 분석기법(Latent Profile Analysis, 이하 LPA)을 사용하여 기존 연구에서 검토하기 어려웠던 교사의 학교도서관의 역할과 중요성에 대한 복합적인 인식과 그 인식의 대표적인 유형을 확인하였다. 이를 토대로 교사의 인식유형에 따라 학교도서관의 운영과 활성화 방안을 맞춤형으로 제안하였다.

Abstract

A school library is where students develop their skills to cope with future uncertainty and can utilize various information materials to build their capability and response abilities to changes. Teachers’ perception is crucial as their guidance is essential for the student to use the school library. Most studies, however, focused on quantitative measurement of the importance of the teachers’ perception as an external environment, and there is a lack of specific categorization of different types of perceptions on the role of the school library. This study aims to examine types of perceptions about the school library 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do so, this study used Latent Profile Analysis (LPA), a person-centered approach, to identify teachers’ complex perceptions about the role and importance of the school library, which were difficult to review in previous studies, and the teachers’ most representative types of perceptions. Based on the findings from the abov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proposing customized measures to operate and promote the school library depending on teachers’ perceptions.

초록보기
초록

학교도서관이 학교에서 핵심적인 교육요소로서 제 역할을 다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학교도서관의 역할에 대한 적절한 인식이 필요하다. 그러나 지금까지 학교도서관에서 교사인식은 외부 환경 요인으로 간주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는 교사의 학교도서관 인식이 학교도서관 요인에 의해 형성되었음을 전제로 하고, 그 요소들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설문 데이터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학교도서관과 교사인식 간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교사의 학교도서관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은 비교과교육적이고, 이는 학교도서관의 활동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학교도서관이 통제 가능한 요소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는 학교 교사의 학교도서관에 대한 인식을 도서관의 관점에서 적극적으로 해석하여 그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도서관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교사인식의 개선방안을 학교도서관 활동에서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Abstract

In order for school library to fully serve as a key educational element of a school, teachers’ positive perception on the library’s role is essential. Due to the lack of the perception, however, school libraries are not closely related to class activities in practice. Since teachers’ perception on school library has been regarded as an given environmental factor in the field of school libraries, alternatives for revitalizing school libraries proposed in previous studies were not effective in practice. We developed a hypothesis that activities in school libraries have a certain impact on the teachers’ perception, and tested the hypothesis and identified library factors to the perception in this study. Through a series of statistical analyses with the data from a questionnaire survey with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we identified that the teachers perceived the library as non-curricular element, their perceptions were affected by the library. Consequently, the school library can influence the teachers’ perveption. This study has implications to explore practical alternatives to improve the teachers’ perception on school libraries by activities in school libraries.

14
박자현(연세대학교) ; 김기영(연세대학교) 2014, Vol.31, No.1, pp.251-275 https://doi.org/10.3743/KOSIM.2014.31.1.25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 사서의 조직몰입을 입체적으로 이해하고 이러한 조직몰입을 도서관 조직 차원에서 관리하는 방안을 검토하기 위하여 심층면담을 통해 사서의 조직몰입에 대한 원인을 살펴보고 조직몰입과 목표인식과의 관계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수의 연구참여자는 근무하는 도서관에 대한 조직몰입에 대해 현재의 도서관 상황에서는 조직몰입하기 어렵다고 응답하였다. 그 원인으로 물리적 보상, 조직분위기, 조직 내의 관계, 근무조건 등 위생요인의 불만족과 직무, 성취감, 책임감, 승진 등 동기유발요인이 만족되지 않음을 언급하였다. 따라서 조직몰입은 다양한 동기요인 및 근무환경의 복합적인 결과로 판단된다. 둘째, 조직목표에 대한 인식에 대해서, 긍정적인 목표인식은 직무만족, 성취감 등 동기요인 뿐만 아니라 물리적 보상에 대한 불만해소, 조직분위기, 동료관계에 대한 변화 등 위생요인과도 긍정적인 관계를 보였다. 이에 따라 사서의 도서관목표에 대한 인식은 조직몰입의 동기요인과 위생요인 충족과 관련이 있으며, 목표인식 개선을 통하여 사서의 조직몰입이 조직적으로 관리될 여지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향후,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목표인식과 조직몰입의 관계에 대한 확증적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conducted qualitative research to investigate the librarian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relations between the commitment and their goal recognition in the university library context with several open-ended, deep interviews with university librarians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lations from diverse perspectives. As a result, many participants showed low level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because of their hygiene factors, such as payment, incentives, relations with colleagues, and job conditions as well as motivators including characteristics of the work, sense of accomplishment, responsibility, promotion, and self-improvement. The two factors are considered to have direct impacts on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Also, the research revealed that positive goal perception was related to motivators and, at the same time, hygiene factors. Accordingly, we concluded that librarians’ perception of goals are closely related to both hygiene factors and motivators. We also identify that a need of a statistical study with a questionnaire survey to confirm the relations betwee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goal perception for developing managerial measures for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further, for better library performance.

15
육지혜(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김기영(연세대학교) 2016, Vol.33, No.1, pp.111-137 https://doi.org/10.3743/KOSIM.2016.33.1.111
초록보기
초록

오늘날 공공도서관은 정보제공뿐만 아니라 문화생활 기능 제공 등 그 역할이 변화하고 있으며, 도서관 공간 역시 도서관의 서비스를 반영해 변화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도서관 공간에 대한 탐색적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도서관 공간과 이용자의 도서관 인식 간 상관관계를 탐색하고, 도서관의 물리적 특성을 기반으로 도서관 공간 유형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관찰조사 및 설문조사를 수행했다. 관찰조사 결과, 도서관의 공간 유형은 ‘분리형’, ‘부분통합형’, ‘완전통합형’ 세 가지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공간 유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통계 분석을 수행한 결과, 공간 유형에 따라 이용자의 도서관 인식과 이용 목적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도서관의 공간 구성에 따라 도서관 공간을 유형화할 수 있으며, 공간 유형이 이용자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이제까지 고려되지 않았던 도서관 공간과 도서관 인식 간의 관계를 탐색하고, 공공도서관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형성하는데 적합한 도서관 공간 구성을 제안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Abstract

The roles of public libraries have been diverse not only provision of information but also provision of cultural programs. According to this trend, the spatial composition of public libraries have been also changed to reflect the diverse roles. This study is conducted to explor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in public libraries with two objectives: 1) to suggest spatial types in public libraries based on their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2)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patial types and users’ perception. To accomplish these objectives, we adopted observation and questionnaire survey as research methods. Consequently, three spatial types of public libraries are identified based on an investigation of several public libraries: divided, partially integrated, and integrated. Then, several statistical analyses, including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are conducted with the questionnaire survey data. The results from the statical analyses show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users’ perceptions and behaviors between the spatial types. That is, the spatial type influences user’s percept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erms of its first attempt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spatial factors in libraries and users’ perceptions. Based on this, it is suggested that libraries should consider their spatial structures for developing user’s positive perception on the libraries.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