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검색어: Korean, 검색결과: 12
11
권난주(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석사과정) ; 이지연(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2022, Vol.39, No.1, pp.351-374 https://doi.org/10.3743/KOSIM.2022.39.1.35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외국인 난민의 한국 체류와 관련된 정보상황을 이해하고, 요구되는 정보와 정보원을 파악하여, 정보행태 관점에서 외국인 난민과 한국사회에 필요한 변화, 국제사회 속에서 한국의 역할, 도서관계의 정보 전문가적 대응 방안을 제시하였다. Dervin의 의미형성이론과 Chatman의 정보빈곤 이론을 바탕으로 연구설계가 진행되었다. 한국에 합법적으로 체류 중인 외국인 난민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고, 인식, 상황, 행태를 조사하기 위한 반구조화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외국인 난민, 한국 공공 및 민간기관, 도서관계에 적용 가능한 정보서비스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는 관련된 실증적 연구를 보완할 수 있고, 실제 정보 문제 해결을 위한 정보서비스의 가치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include i) to understand the circumstances of exposure to information during foreign refugees’ stay in South Korea, ii) to investigate their information needs and the use of information sources, and iii) to propose the change needed in the Korean society, the role of South Korea in the global community, and the service direction of libraries and information professionals. To this end, legally recognized refugees who have stayed in South Korea were recruited for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and observations on their perception, situation, and active behavior. The discussions were transcribed for coding. The codes were analyzed by content analysis technics based on relevant previous studies and factors of Dervin’s Sense-making theory and Chatman’s Information Poverty theory. Based on these analyses, this study proposed strategies for foreign refugees and individuals and public organizations, including libraries and NGOs, from an information service perspective. It is expected that the proposed strategies will supplement related empirical quantitative research and add value to information services for solving information problems.

12
이지연(연세대학교) ; 안준범(연세대학교) ; 오혜영(연세대학교) ; 서혜린(연세대학교) 2018, Vol.35, No.3, pp.189-214 https://doi.org/10.3743/KOSIM.2018.35.3.18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국내 공공도서관의 어린이청소년서비스 및 프로그램의 현황을 조사하고 문제점을 파악하여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2016년 기준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의 자료와 전국 108곳의 공공도서관 어린이청소년서비스 담당사서들로부터 설문조사를 통해 어린이청소년서비스 현황을 파악하고 서비스 수준에 대한 사서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공공도서관은 인력 및 예산의 부족, 시설의 협소함, 유연하지 않은 프로그램 내용 등의 문제점이 서로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서비스 수준을 높이기 어려운 상황임을 나타냈다. 이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어린이청소년의 흥미 유발 및 참여자 간 유대감을 형성하는 프로그램 개발, 학교 및 지역 내 유관기관과의 연계활동 증진, 도서관 프로그램의 참여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방식 제안, 정보 소외계층 중점 서비스의 제공, 그리고 도서관 발전을 위해 다양한 정책적 지원 요청 등을 제안하였다. 이렇듯 본 연구는 프로그램 기획부터 정부 및 지자체의 지원방안까지 다방면의 개선방안을 제안함으로써 도서관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tatus and also to develop improvement plans for the children and youth services of the public libraries. To determine the information service status and the librarians’ perceptions on the levels of services they provided, the 2016 Korean National Library Statistics System data and the survey results from the children and youth program librarians in the 108 public libraries were analyzed. The analysis revealed the problems such as lack of human resources and budget, shortage of space, and an inflexible program curriculum, which affect the program as a whole negatively. Five suggestions were made to remedy the problems. They are: 1) development of the new programs, which can interest the children and youth and motivate the sense of association among the program participants; 2) increase the number of the programs including the schools and other related organizations nearby region; 3) incorporating the new program formats to enhance the participation; 4) starting the new services explicitly targeted for the information-poor group of people; and 5) soliciting policy-level support for the libraries. In summary, this study made a few suggestions for the libraries ranging from planning the programs to requesting assistance from the national as well as the regional governments.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