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Identifier, 검색결과: 269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연구정보시스템의 이용성을 높이기 위해 필요한 이용자 인터페이스 설계 원칙이 무엇인지 확인하고, 연구정보시스템의 개발 및 유지, 보수에 지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휴리스틱의 개발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문헌조사와 이용자 인터페이스 분야의 전문가와 연구정보시스템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심층인터뷰와 참여 관찰을 실시하여, 연구정보시스템의 이용자 인터페이스 설계 원칙과 그러한 원칙을 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해 필요한 인터페이스 요소가 무엇인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연구정보시스템의 설계 및 평가에 활용될 수 있는 7차원의 86가지 항목으로 구성된 휴리스틱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aim of the study is to identify the design principles for user interface required to increase the usability of research information systems and to develop the heuristics for the research information systems. For this purpose, a series of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user interface design principles for the research information systems, and the in-depth interview and participant observation were performed on the users of the systems and experts in the field of user interface to investigate the design principles and the interface factors for applying such principles in the systems. Based on the results, the heuristics of 86 items in 7 different dimensions were proposed.

122
심지영(연세대학교 대학도서관발전연구소) 2023, Vol.40, No.4, pp.279-306 https://doi.org/10.3743/KOSIM.2023.40.4.27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다양한 관점의 이용요구가 혼재되어있는 독서자료의 속성을 파악하기 위해, 도서의 동시이용(동시대출, 동시구매) 데이터에 기반하여 독서자료의 선택 및 이용과 관계된 서지적 속성을 분석하였다. KDC 주제, 독자대상, 이용자 연령 관련 26개 하위 속성 단위로 구분하여 서지적 속성 용어의 동시출현행렬을 생성하고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한 결과, 독서자료의 서지적 속성의 세부 내용 및 두드러진 매개 역할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도서관 OPAC을 비롯한 독서정보 시스템의 패싯 설계에 도움이 될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bibliographic attributes related to the selection and use of reading materials based on data on books borrowed or purchased together in order to understand the properties of reading materials that have complex user needs from various perspectives. As a result of creating co-occurrence matrices of bibliographic attribute terms by dividing them into 26 sub-attribute units related to KDC main class, target reader, and user age, and performing network analyses, the details and prominent mediating role of bibliographic attributes of reading materials were identif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helpful in designing facets of reading information systems, including library OPAC, in the future.

123
김수연(연세대학교) ; 송성전(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송민(연세대학교) 2015, Vol.32, No.1, pp.135-152 https://doi.org/10.3743/KOSIM.2015.32.1.135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field of Computer and Information Science with the aid of text mining techniques by mining Computer and Information Science related conference data available in DBLP (Digital Bibliography & Library Project). Although studies based on bibliometric analysis are most prevalent in investigating dynamics of a research field, we attempt to understand dynamics of the field by utilizing 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based multinomial topic modeling. For this study, we collect 236,170 documents from 353 conferences related to Computer and Information Science in DBLP. We aim to include conferences in the field of Computer and Information Science as broad as possible. We analyze topic modeling results along with datasets collected over the period of 2000 to 2011 including top authors per topic and top conferences per topic. We identify the following four different patterns in topic trends in the field of computer and information science during this period: growing (network related topics), shrinking (AI and data mining related topics), continuing (web, text mining information retrieval and database related topics), and fluctuating pattern (HCI, information system and multimedia system related topics).

124
이수상(부산대학교) ; 이순영(부산대학교) 2009, Vol.26, No.4, pp.93-112 https://doi.org/10.3743/KOSIM.2009.26.4.093
초록보기
초록

최근 정보검색 환경은 검색 2.0으로 대표되는 차세대 검색서비스에 대한 논의들이 활발해지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정보검색의 발전과 진화에 대한 다양한 논의들을 토대로 정보검색의 발전 과정을 구분하였다. 그리고 현재 거론되고 있는 차세대 검색서비스의 등장 배경, 주요 개념, 그리고 관련 사례와 속성을 파악하였으며, 이러한 속성과 사례에 대한 데이터를 통해 차세대 검색서비스를 설명하는 핵심적인 키워드를 확인하기 위한 군집 분석을 수행하였다. 군집 분석의 결과 차세대 검색서비스를 대표하는 주요 키워드는 소셜 검색, 지능형 의미 검색, 그리고 관계기반 검색 등으로 나타났다.

Abstract

Recently in the area of the information environment, there are lively discussions about search 2.0 which is representative of the next generation search services. In this study, we divide information search model into matching and linking models according the developmental stages. Therefore, on the one hand, we analyze the background, main concepts, related attributes and cases of the next generation search services and the other, we identify the representative keywords by the group analysis of various attributes and cases of it. The result shows that the main keywords such as social search, artificial intelligence and semantic search, and relation/network based search are representative of the search 2.0.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e characteristics of citation and centrality measures in citation networks can be identified using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es.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bibliometric indices and centrality measures in an article-level co-citation network to determine whether the linear model is the best fitting model and to suggest the necessity of data transformation in the analysis. 703 highly cited articles in Physics published in 2004 were sampled, and four indicators were developed as variables in this study: citation counts, degree centrality, closeness centrality, and betweenness centrality in the co-citation network. As a result, the relationship pattern between citation counts and degree centrality in a co-citation network fits a non-linear rather than linear model.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degree and closeness centrality measures, or that between degree and betweenness centrality measures, can be better explained by non-linear models than by a linear model. It may be controversial, however, to choose non-linear models as the best-fitting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closeness and betweenness centrality measures, as this result implies that data transformation may be a necessary step for inferential statistics.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인문학분야를 대상으로 인용DB간 구축 정보를 비교하고 차이가 있는 경우 그 원인과 문제점을 분석하여 구축 정보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인용정보를 구성하는 주요 항목 중의 하나인 피인용횟수를 기준으로 네이버와 KCI에서 국내학술논문을 비교하였다. 조사결과, KCI가 네이버보다 좀 더 정확한 인용정보를 제공하고 있었지만 그 차이는 크지 않았다. 각 인용DB간 차이의 원인은 수록범위의 불완전성, 서지정보의 오류, 참고문헌 구축의 불완전성, 링크와 관련된 오류 등으로 조사되었다. 두 인용DB 모두 개선의 여지가 남아있으며, 양자를 상호보완적으로 활용한다면 인문학 분야에서 더욱 완전한 인용정보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differences between KCI and Naver Scholar as citation analysis tools. Four subcategories in the humanities category were selected as the subject of study. The recall of Naver Scholar was 64%(2,227 times) and the KCI's was 77%(2,665 times).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the results at the individual article level or the subcategory level, but the gaps were not significant. Therefore, researchers who analyze citations are urged to use both databases because neither of them are complete, but supplementary to each other.

127
권혜진(동아일보) ; 정동열(이화여자대학교) 2010, Vol.27, No.4, pp.109-130 https://doi.org/10.3743/KOSIM.2010.27.4.10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기자직의 웹 행동 분석을 통해 웹 정보탐색행위 패턴의 특성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기자직 23명을 대상으로 트랜잭션로그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데이터 수집을 위하여 분석 대상의 컴퓨터에 웹 트래킹 소프트웨어를 설치하였으며, 2주 동안 총 39,860개의 웹 로그가 수집되었다. 세션의 시작과 종료 패턴, 단계별 이행 패턴, 순차규칙 모형이 분석되었으며, 기자직과 일반인의 웹 이용 패턴을 비교하였다. 이를 토대로 기자직의 웹 정보탐색행위 패턴을 사실확인형 탐색, 사실확인형 검색, 조사형 탐색, 조사형 검색 등 4가지 형태로 유형화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 patterns in the news reporters’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by observing their web activities. For this purpose, transaction logs collected from 23 news reporters were analyzed. Web tracking software was installed to collect the data from their PCs, and a total of 39,860 web logs were collected in two weeks. Start and end pattern of sessions, transitional pattern by step, sequence rule model was analyzed and the pattern of Internet use was compared with the general public. the analysis of pattern derived a web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modes that consists of four types of behaviors: fact-checking browsing, fact-checking search, investigative browsing and investigative search.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회색문헌에 대한 정확한 정의와 회색문헌이 학술적으로 어느 정도의 가치를 갖고 있는지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 선행 연구결과를 재해석하여 회색문헌의 표준적 정의를 도출하였다. 또한 회색문헌의 가치를 측정하기 위해 선행 연구의 이용자 설문을 재해석하였으며, 정보관리담당자를 대상으로 회색문헌 활성화를 위한 집중관리기관 설립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아직도 국내에서는 이용자와 정보관리담당자들은 회색문헌의 경계와 인식이 명확하지 않았다. 또한 회색문헌의 활용도는 이용자의 인지여부와 정보관리 담당자의 인지여부에 크게 좌우되었다. 회색문헌의 수집과 관리, 배포를 위해서는 회색문헌집중관리기관이 필요하다.

Abstract

Despite of the importances, grey literatures are often overlooked as a resource in libraries because they have always had the reputation of being obscure and difficult to locate. Thus, an information system and network for the management of grey literature is essential to the improvement of Korean R&D in science and technology.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 Declare the clear definitions and types of grey literatures- Suggest the utilizing methods of grey literatures- Identify the major functions or requirements of National Information Center on Grey Literature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정보기술의 발전과 사용자 중심의 개발환경으로 인해 변화된 정보환경 속에서 정보센터의 새로운 방향 설정을 위해 정보센터의 관리 특성요인과 사용자의 만족도를 중심으로 그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가설의 검증을 위해 서로 다른 정보센터를 활용하고 있는 41명의 사용자로부터 설문을 받아 활용하였다. 조직의 정보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 향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된 정보센터와 관련된 활동들을 살펴봄으로써 최근의 사용자 중심의 정보환경 속에서 새롭게 고려되어야 할 사항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시스템측면에서 새롭게 변한 정보센터가 사용자들에 대한 서비스활동의 강화를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한 식견을 제공할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new roles and services of information center that is affected by changing information technology and end-user computing environment. A user satisfaction model has been used and hypotheses are developed to find relationships information center service evaluation factors. The hypotheses have been tested with 41 user surveys. This study pres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certain information center management variables and the end-user satisfaction applying organization-wide information service. The result of this research can give an insight of the evaluation of information center service activities.

초록보기
초록

야후 앤서(Yahoo! Answers)와 네이버 지식인과 같은 지식 검색 커뮤니티가 활성화되면서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이 제공하는 정보에 대한 신뢰성이 끊임없이 제기되어 왔지만 일반인 답변자들의 신뢰성 있는 정보 제공 노력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야후 앤서에서 활동하는 44명의 일반인 답변자들과의 이메일, 채팅, 전화 인터뷰를 통해 그들이 이용하는 정보원, 신뢰성 있는 정보 제공을 위한 전략, 그리고 자칭 전문성(self-claimed expertise)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일반인을 효과적인 정보제공자로 교육시키는 이용자 교육 측면에서 활용될 수 있다.

Abstract

The popularity of question answering communities such as Yahoo! Answers and Naver Knowledge-iN and increasing doubts about the competence of lay information providers prompted this study to explore answerers' strategies to provide a credible answer in a question answering community. Forty-four active answerers in Yahoo! Answer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through email, chat, and over the telephone. This study identified a set of information sources the answerers used, an array of important strategies to provide a credible answer, and their perception of self-claimed expertise. Implications of results were discussed in the context of user instruction.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