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검색어: collection, 검색결과: 27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이용자의 인지적 특성 중 하나인 성격 유형과 OPAC 탐색 과정에서 나타나는 이용자의 정보 탐색 성향 및 만족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대상자들을 대상으로 KEPTI 에니어그램 검사를 통해 성격 유형을 파악하였고, 데이터는 실험-전 질문지, 태스크A 질문지, 태스크B 질문지, 그리고 실험-후 질문지로 수집되었다. 분석결과, 에니어그램의 힘의 중심에 의한 집단 간에는 탐색의 용이성, 탐색시간, 탐색시간의 충분성, 탐색결과의 유용성, 탐색과정의 쉬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호니비언 집단 간에는 질의에 대한 친숙성과 흥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 between personality types and users' searching trait and satisfaction when interacting with OPAC system. In this study, personality type was measured by the KEPTI Enneagram tools. Data was collected through four questionnaires, pre-test, TaskA, TaskB, and post-test surve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ions on the expected ease of search, completion time, adequacy of search time, usefulness of search results, and performed ease of search within the Three Triads of Enneagram. Als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on familiarity and interest in the selected queries within the Hornivian group.

초록보기
초록

의견 검색은 사용자의 정보 요구에 주제적으로 연관되면서도 의견이 포함되어 있는 정보를 검색하는 태스크이다. 본 연구는 효과적인 의견 검색을 위해 사용자 정보 요구를 표현하는 방법과 이 요구를 만족시킬만한 여러 의견 자질들을 효과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실험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추론 네트워크 모델을 기본 검색 모델로 사용하였고, Blogs06 컬렉션과 100개의 TREC 토픽에 대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가상의 ‘의견’ 개념을 설정하여 효과적으로 의견 검색의 정보 요구를 표현할 수 있었으며, 극히 소량의 일반 의견 단어집만을 사용했는데도 동일한 환경에서 기존 모델과 견줄 만한 의견 검색 성능을 달성할 수 있었다.

Abstract

Opinion retrieval is to retrieve items which are relevant to the user information need topically and include opinion about the topic. This paper aims to find a method to represent user information need for effective opinion retrieval and to analyze the combination methods for opinion features through various experiments. The experiments are carried out in the inference network framework using the Blogs06 collection and 100 TREC test topics. The results show that our suggested representation method based on hidden ‘opinion’ concept is effective, and the compact model with very small opinion lexicon shows the comparable performance to the previous model on the same test data set.

133
김용(전북대학교) ; 김은정(KT 혁신 기획실) 2009, Vol.26, No.2, pp.27-41 https://doi.org/10.3743/KOSIM.2009.26.2.027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With explosive growth in the area of the Internet and IT services, various types of digital contents are generated and circulated, for instance, as converted into digital-typed, secure electronic records or reports, which have high commercial value, e-tickets and so on. However, because those digital contents have commercial value, high-level security should be required for delivery between a consumer and a provider with non face-to-face method in online environment. As a digital contents, an e-ticket is a sort of electronic certificate to assure ticket-holder’s proprietary rights of a real ticket. This paper focuses on e-ticket as a typical digital contents which has real commercial value. For secure delivery and use of digital contents in on/off environment, this paper proposes that 1) how to generate e-tickets in a remote e-ticket server, 2) how to authenticate a user and a smart card holding e-tickets for delivery in online environment, 3) how to save an e-ticket transferred through network into a smart card, 4) how to issue and authenticate e-tickets in offline, and 5) how to collect and discard outdated or used e-tickets.

134
오상훈(명지대학교) ; 최영선(한국디지털콘텐츠산업협회) 2008, Vol.25, No.4, pp.5-23 https://doi.org/10.3743/KOSIM.2008.25.4.005
초록보기
초록

국립중앙도서관에서 인쇄 출판물을 대상으로 운영 중인 납본체계와는 달리 웹 아카이빙인 OASIS (Online Archiving & Searching Internet Sources)는 웹 사이트, 웹 자원 등의 온라인 디지털 자원을 대상으로 자원 수집, 관리 및 보존하기 위한 과정이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웹 아카이빙을 위한 디지털 자원 납본 프로세스를 개발하기 위해 디지털 자원 납본 주체와 대상을 정의하였고, 납본 프로세스를 위한 단계별 정의와 기능을 명시하였다. 또한 디지털 납본 시스템 구성을 위한 업무 흐름도와 단위 업무에 따른 기능 정의와 정보 흐름을 위한 구조를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is administering a legal deposit system for the printed- publications. Whereas, OASIS(Online Archiving & Searching Internet Sources) has to design a system to collect, manage and preserve web sites and web resources for Web Archiv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digital deposit process for digital resources. As a result, this study defines the subjects and objects for digital deposits, and describes the definitions and the functions according to digital deposit steps. Also, this study designs the data flow diagram and proposes the function definitions on unit works and the structure for the flow of information.

135
오경묵(숙명여자대학교) ; 노영진(서울시 남산도서관) 2003, Vol.20, No.3, pp.261-276 https://doi.org/10.3743/KOSIM.2003.20.3.261
초록보기
초록

시민의 정보화 수준 향상을 위해 현재 서울특별시립의 공공도서관에서는 디지털 자료실을 개실하여 인터넷과 DVD 위성방송 등 다양한 전자정보원과 정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향후 더 많은 컨텐츠들로 서비스 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서울특별시립 공공도서관 디지털 자료실의 활성화를 위해, S 도서관 전자정보실을 대상으로 마케팅 전략을 적용하여 디지털 자료실의 운영을 보다 체계화하여 정보서비스를 활성화하며, 궁극적으로 보다 많은 이용자를 확보하여, 이용률을 높이고 공공도서관의 정보서비스 경쟁력을 높이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Abstract

Seoul City has been operating 17 public libraries to bridge the digital gap in the information society. Digital collection that has used recently, is providing various information services and information sources such as Internet. DVDs, satellite broadcasts and plan to offer service with more contents in the near future. In an attempt to facilitate the use of digital archives in public libraries in Seoul, this study thus applies marketing strategy to Electronic Information Center in the S Library and techniques can contribute a dynamic approach to total strategy development for library professionals that will ensure effective management and the achievement for their goals.

136
백지원(이화여자대학교) ; 정연경(이화여자대학교) 2006, Vol.23, No.1, pp.63-81 https://doi.org/10.3743/KOSIM.2006.23.1.06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모든 지식조직체계의 근간인 용어관계가 동일성, 계층성, 연관성이라는 세 가지 포괄적인 기준에 의해 정의되어 사용됨으로써 정보의 정확성이 중시되는 오늘날의 정보 환경에서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있으므로, 그 해결 방안의 하나로 용어관계의 분류 모형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기존의 여러 지식조직체계에 나타나는 각종 용어관계의 사례와 용어관계에 대한 이론적 연구들을 광범위하게 수집하여 다양한 용어관계의 유형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용어관계를 명확하게 정의하고 범주화할 수 있는 용어관계 분류의 근거를 세우고 용어관계의 분류 모형을 개발하였다. 더 나아가 이 분류 모형을 정보검색을 비롯한 다양한 방면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향후 용어관계 분류 연구에 대한 제언을 했다.용어관계의 분류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limitation of terminological relationships in the current information environment and to propose a solution to result the richer and refined terminological resources. For this, various kinds of terminological relationships in knowledge organization systems and theoretical research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ased upon the analysis, a methodology for classification of terminological relationships was suggested and classification models were presented. Additionally, four suggestions were made for the practical uses of the classification models.

137
장혜란(상명대학교) ; 김정아(가톨릭대학교) 2013, Vol.30, No.3, pp.249-271 https://doi.org/10.3743/KOSIM.2013.30.3.249
초록보기
초록

우리나라 의학도서관의 인쇄본 학술지 공동보존체제를 구축하기 위하여, 선행 연구와 사례를 통해 공동보존의 유형과 발전현황을 고찰하고, 한국의학도서관협의회 회원도서관들을 대상으로 인쇄본 학술지 폐기 실태와 공간현황 및 공동보존 요구도와 참여의지 및 선호방식 등을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기존의 MEDLIS 인프라를 활용한 집중형과 분산형으로 구성된 하이브리드 모형을 제안하였으며, 기본사항과 세부내용, 단계별 시행추진 전략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성공적인 구현을 위한 한국의학도서관협의회의 노력을 제언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ollaborative print journal preservation model for the medical libraries in Korea. After reviewing previous studies and advanced preservation practices,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the members of the Korean Medical Library Association to collect data about the present states of journal weeding and storage space as well as their needs and preferences for collaborative preservation. Based on the analysis, a hybrid model, consisting of centralized and distributed archives, is proposed with MEDLIS as infra structure. Detailed characteristics and three phases of implement strategies are described. Finally, recommendations for the Korean Medical Library Association to the successful substantiation are suggested.

138
한지윤(숙명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이혜은(숙명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2023, Vol.40, No.1, pp.149-173 https://doi.org/10.3743/KOSIM.2023.40.1.14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의 이메일 기록관리 행태와 대학 이메일 정책에 관한 인식을 파악한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317명을 대상으로 이메일 기록관리의 필수요소인 이메일 공통사항, 작성, 관리, 보존, 인식, 총 5가지 항목으로 구성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대학의 이메일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라 구글을 이용하는 대학, 마이크로소프트를 이용하는 대학, 자체 웹메일을 이용하는 대학, 총 3가지 유형으로 나눠 6명을 심층 면담하였다. 조사 결과 대학생은 이메일을 주소록, 클라우드 스토리지, 파일 저장, 협업 도구로 사용하고 있었고 기록생애주기에 따라 이메일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데에는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또한 모바일 서비스 및 첨부파일 보존에 한계가 있는 대학 자체 웹메일보다 부가기능의 사용이 가능한 외부 이메일 플랫폼 이용을 선호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러한 대학생의 이메일 기록관리를 지원하기 위해 졸업생 이메일 계정 유지, 충분한 이메일 저장 공간 제공, 대학생 대상 이메일 기록관리 교육 및 가이드라인 제공 등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email records management patterns of undergraduate students and their perceptions of university email policy. The research collected data from 317 undergraduate students using a survey based on the five essential elements of email records management: common elements, email creation, email management, email preservation, and perception. Also,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6 undergraduate students, according to the method of university email service: Google, Microsoft, and in-house webmail. As a result, undergraduate students used email as an address book, cloud storage, file storage, and collaboration tool, and they had difficulties in systematically managing the email records according to the records lifecycle. Also, there was a tendency to prefer using an external email platform that can use additional functions to in-house webmail that has limitations in mobile service and preservation of attachments. Thus, this study suggests ways to help undergraduate students manage their email records, including maintaining graduates’ email accounts, providing sufficient email storage, and providing email records management training and guidelines for undergraduate students.

139
사공복희(전남대학교) 2003, Vol.20, No.3, pp.81-110 https://doi.org/10.3743/KOSIM.2003.20.3.081
초록보기
초록

웹기반 온라인목록의 이용자 인터페이스는 이용자에게 더욱 친근하게 개선되었는가. 웹기반 온라인목록이 제공하는 탐색관련 기능은 어떠한가. 이용자들은 웹기반 온라인목록을 이용하는 데 어려움은 없는가. 이용자들은 웹기반 온라인목록에 대하여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는가. 이런 문제에 대한 답을 통하여 웹기반 온라인목록의 검색도구로서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실험연구를 수행하였으며, 30명의 탐색자가 실험에 참여하였다. 탐색자가 웹기반 온라인목록을 실제로 탐색하는 과정중에 보이는 행태를 분석하여 데이터를 입수하였고, 탐색 후 질문지를 통하여 시스템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였다.

Abstract

The primary questions addressed by this research are the followings : Has the interface of a Web-based OPAC been improved more user-friendly; How about its searching abilities; What difficulties have Web-based OPAC searchers experienced in using a Web OPAC; How do they perceive the system after use of it. Finding the answers of those questions the problems of a Web OPAC as a searching tool have been grasped and recommendations have been suggested in order to improve the system. An experiment was conducted and 30 university students performed 8 searching tasks. The searching behavior of Web OPAC searchers has been analyzed thoroughly. The data of their perceptions about the system was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after completing the tasks.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를 위하여 공공도서관의 경영과 서비스에 영향을 미치는 대학 입시제도의 변화와 국내 사교육시장의 실태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우리나라에서는 미국, 유럽 등 선진국에서는 사례를 찾아보기 어려운 다양한 경쟁적 요소가 도서관서비스 시장에 존재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이들은 도서관 입장에서 보면, 소속된 지역과 업무현장에서 자연스럽게 경쟁관계가 성립되어 상호 조직의 발전이 제한될 수 밖에 없으며, 결국 도서관 마케팅 측면에서 새로운 관계 정립이 필요하다. 도서관의 ‘영어도서관프로그램’을 새로운 서비스 확장 사업으로써, 마케팅레버리지(marketing leverage)로 활용하여 도서관이 공공기관으로서의 단단한 입지와 도서관서비스 품질에 대한 만족도를 한층 더 높일 수 있도록 도서관 2곳을 선택하여 장서개발과 프로그램 운영 경험을 통해 모형을 고안,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changes of university entrance system which is affecting public library management and services, and current situation of private education market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It was revealed that we have several competitive forces that determine library service justification in Korean service environment(market) which has not experienced in the developed countries. The elements of private education may drive competition in the book reading service industry. Such elements effectuate serious problems and discourage library service marketing to the user. For a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 English language collection and reading program model was developed for library marketing strategies(as applying leverage).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