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도서관, 검색결과: 539
초록보기
초록

디지털보존은 디지털콘텐츠를 관리하고 있는 대학도서관에서는 또 하나의 중요한 업무로 인지되고 있다.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디지털보존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전국 4년제 대학의 대학도서관 중 디지털콘텐츠를 구축하고 있는 102개 도서관을 대상으로 디지털보존 요건에 대한 담당자의 인식과 디지털보존 실무 현황 및 그 수준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다수의 디지털보존 담당자들은 진본성 보장을 가장 중요하게 여겼고, 정책 및 업무절차가 적합하게 수립되어야 하며 담당자는 우선적으로 디지털보존에 대한 전문지식을 갖추어야 한다고 하였다. 또 기관의지의 부재와 예산확보의 어려움이 디지털보존의 가장 큰 장애 요인이었으며 디지털보존 계획 및 정책수립에 대한 교육이 가장 필요하다고 하였다. 또한 디지털보존에 대한 인식 및 실태가 대학규모와 콘텐츠구축 규모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라 보고 규모별로 서로 비교한 결과, 규모와 상관없이 인식과 실무는 거의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의 규모와 콘텐츠 구축의 규모가 크면 클수록 디지털보존 수준에 대한 평가는 높았지만, 전체적으로 현재의 국내 대학도서관의 디지털보존 수준은 미흡하다고 보았다. 따라서 앞으로의 대학도서관은 디지털보존을 위한 정책 및 업무절차를 미래지향적으로 수립하고 디지털보존을 위한 기술적 역량을 확장시켜야 할 것이다.

Abstract

Digital preservation becomes, nowadays, one of the important business process in the academic libraries.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ibrarians’ perception on digital preservation requirements and to analyze the business practices of the digital preservation and digital preservation level in the 102 academic libraries. In results, it is found that the digital preservation specialists in academic libraries have almost same perception on basic policies and direction. Also, the study finds that the important function of digital preservation is to secure authenticity and integrity; policy and expertise are the most important key components for digital preservation; the most frequently reported barriers to preservation are the lack of willingness and funding problems; most librarians want to learn and train how to establish preservation planning and policy. In general, most librarian think that the level of digital preservation in the academic libraries is insufficiency. Therefore the academic libraries should establish the relevant digital preservation policy and business workflows and to develop capacity of digital preservation.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최근 열린 정부 데이터에 대한 다차원 척도, 모델 개발 연구가 시작되고 있으나, 도서관에서는 관련 연구가 부족하다는 점을 고려하여 도서관에 적용할 수 있는 오픈 데이터 품질측정 모델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모델개발과 모델평가 두 단계로 수행하였다. 모델개발은 델파이 기법을 적용하였으며, 모델평가는 도서관 오픈 데이터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모델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측정하였다. 모델개발은 델파이 기법을 적용하여 총 4차례 수행하여 3개 차원, 18개 요인, 133개 측정요소로 구성된 모델을 도출하였다. 모델평가는 델파이 기법으로 완성한 모델을 도서관 오픈 데이터 이용자인 국내․외 사서, 개발자, 오픈 데이터 활동가를 대상으로 적합성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모델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당초 18개 요인, 133개 측정요소는 15개 요인, 54개 측정요소가 타당성을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뢰도는 차원별, 측정요인별로 모두 기준치인 0.6 이상의 결과를 보여주고 있어 높은 신뢰도를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델평가를 통한 이용자 타당도, 신뢰도 분석으로 전문가가 구성한 평가모델은 현장에서 즉시 활용될 수 있을 정도로 정제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draws on the current momentum to diversify open government data research through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model development. It formulates a quality assessment model applicable to library open data,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paucity of such research in the field. The model was developed using the Delphi method and verified for validity and reliability on the basis of a survey administered to library open data users. The results of the fourth round exhibited an average of 4.00 for all measured elements and a minimum validity of .75, rendering the model appropriate for use in quality assessments of library open data. The convergence and stability results provided by the expert panel fell below .50, confirming that there was no need to conduct further surveys in order to establish the validity of the Delphi method. The model's reliability likewise garnered results of .60 and above in all three dimensions. This Model completed with the input of the Delphi panel was put through a verification process in which library open data users such as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brarians, developers, and open data activists reviewed the model for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model scored low on validity on account of its failure to load all measure factors and elements pertaining to the three dimensions. Reliability results, on the other hand, were at 0.6 and above for all dimensions and measured elements.

143
김윤실(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2, Vol.19, No.3, pp.161-188 https://doi.org/10.3743/KOSIM.2002.19.3.161
초록보기
초록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보편화되기 시작한 정보화의 물결은 도서관의 서비스 형태에도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그러나 도서관 이용자의 입장에서는 어떤 형태의 서비스가 제공되더라도 기본적으로 이용자가 제공받는 서비스일 뿐, 도서관 이용에 대한 느낌이나 감정 등을 포함하는 서비스의 만족도는 제공받은 서비스의 품질에 의해서 좌우될 수밖에 없다는 특성을 갖는다. 본 연구는 도서관의 서비스 제공이 갖는 이러한 기본적인 특성에 착안하여 이용자들의 관점에서 서비스의 품질 수준을 평가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요인들을 파악하여, 향후 더욱 높은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모형으로는 서비스 품질을 측정할 때 이용되는 서브퀄(SERVQUAL) 모형을 채택하여, 전문도서관에서 이용자들이 느끼는 서비스 품질에 대한 기대와 지각을 측정하였다.

Abstract

The rapid change in almost every area of science at the turn of the 21st century have also affected libraries and information centers. Whatever the change, from the library users' perspective, the functions provided by the library, is perceived as “service” and the satisfaction of the users can only be measured by the quality of the service. The study adopted the SERVQUAL model and five factors of SERVQUAL, Tangibles, Reliability, Responsiveness, Assurance, and Empathy are used as parameter values. In measuring the parameter variable, both the users' expectations and their perceived service level were measur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pectations and the perceived level was used as users' assessment of service quality. According to the results, all but re-investment dependence level among the five SERVQUAL levels, were linked in one way or another.

144
이혜영(동덕여자대학교) ; 박현영(협성대학교) 2016, Vol.33, No.3, pp.219-238 https://doi.org/10.3743/KOSIM.2016.33.3.21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 정보서비스 연구동향을 살펴보고자 함이 목적이며 이를 수행하기 위하여 2006년부터 2015년까지 문헌정보학 주요 4개 학회지에 발표된 대학도서관 정보서비스 논문을 대상으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항목으로는 대학도서관 정보서비스 연구 건수, 정보서비스 기능별 하위 주제, 연구방법, 자료수집방법, 연구 이용자 대상 그리고 이론 연구 vs. 실제 서비스 연구이다. 연구결과, 대학도서관 대상의 정보서비스 연구는 다른 분야에 비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정보서비스 기능에서는 정보제공 기능이, 하위 주제별로는 전자정보서비스, 정보활용교육, 정보(참고)봉사 일반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었다. 연구방법으로는 조사연구, 사례연구가 주로 사용되었으며 자료수집방법으로는 질문지와 웹사이트 방법이 많이 사용되었다. 학부생 대상의 이용자 연구가 많았으며 실제 서비스 연구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Abstract

With the purpose of looking into the information service study tendency, targeted at university library, this performed a content analysis of the articles in print from 2006 to 2015 on major four academic journal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vestigation items were study number of information services, subsidiary themes classified with information service functions, study method, collection method, user object, and theory study vs. service study in reality. As a result, information service studies were performed more than other areas. Information service functions targeted at the study were that of information supply. Major subsidiary themes were electronic information service,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and information (reference) services general. Major study methods were survey research method,, case study, and major material collection methods were questionnaire and web-based research methods. Major user studies were targeted at undergraduates, and service study in reality took a great share.

145
강보라(경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김희섭(경북대학교) 2017, Vol.34, No.3, pp.49-66 https://doi.org/10.3743/KOSIM.2017.34.3.04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디지털 도서관 관련된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 문헌정보학 분야 대표 학술지 4종으로부터 최근 10년(2007년-2016년) 동안 발표된 디지털 도서관 관련 논문 272편을 대상으로 해당 논문의 저자가 직접 부여한 영문키워드 578개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NetMiner V.4를 사용하여 연결중심성과 매개중심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첫째, 연구 주제의 양적인 측면에서는 ‘Academic Library’, ‘Reference Service’, ‘Public Library’, ‘E Resource’, ‘E Book’ 순으로 나타났고, 둘째, 연구 주제의 영향력 측면에서는, ‘Academic Library’, ‘Reference Service’, ‘Information Behavior’, ‘E Resource’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 주제의 확장성 측면에서는, ‘Academic Library’, ‘Metadata’, ‘Information Behavior’, ‘E Resource’, ‘Librarian’ 등의 순으로 파악되었다.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n the digital libraries in Korea. To achieve this objective, a total of 578 author-assigned English keywords were collected from the 272 major LIS journal articles published in Korea during last ten years-period, i.e., 2007-2016.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NetMiner V.4 to discover their ‘degree centrality’ and ‘betweenness centrality’. As the results, ‘Academic Library’, ‘Reference Service’, ‘Public Library’, ‘E Resource’, and ‘E Book’ showed the most frequently conducted research topics, and ‘Academic Library’, ‘Reference Service’, ‘Information Behavior’, and ‘E Resource’ were the most influencing research topics. Finally, ‘Academic Library’, ‘Metadata’, ‘Information Behavior’, ‘E Resource’, and ‘Librarian’ seemed the most widely intervening research topics in this research.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certain librarian’s perceptions on their users’ library access and its patterns. Interviews with seven library staff reveal physical accessibility issues including spatial relationships between libraries and other facilities such as shopping malls and schools, travel distance, transportation mode, and temporal perspectives of library access. The results from the interviews corroborate the findings from secondary analysis using household travel data. However, interviewees do not have a clear picture of how much their users travel and spend to access their libraries. This is true, even though these factors are critical to analyze physical accessibility.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makes recommendations to improve the accessibility of public libraries. Suggestions include the concept of sponsorships with other facilities, the placing of material drop-boxes on the main route, and providing library programs during lunch time.

148
김원만(연세대학교) ; 이지연(연세대학교) 2010, Vol.27, No.1, pp.165-183 https://doi.org/10.3743/KOSIM.2010.27.1.16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법학전문도서관이 제 역할과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평가 내용을 다루어 법학전문도서관의 역할과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특히 법학전문도서관 사서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평가항목을 도출하였고, 법학전문도서관의 주 이용계층인 법학전문대학원 학생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요구를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특히 독립적이고, 전문적으로 법학전문도서관을 위한 평가를 지향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으며, 법학전문도서관의 건물과 시설 그리고 소장자료의 양과 함께 소장자료의 질, 법학도서관 사서의 기능과 역할 그리고 이용자의 만족도를 증진시키며, 외적인 면과 함께 법학전문도서관의 내실을 갖추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factors and issues for law school library evaluation. Also, this study suggested the roles and guidelines for law school libraries to perform its own role and function. To carry out the research, surveys were conducted with the law librarians. Then survey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law school students' demands and behaviors. Especially this study evaluated law libraries which were not carried out independently and professionally until now and meaningful as it thoroughly investigated users' demands and behavior with law school libraries and function and roles of law librarians. To facilitate law school library services and functions, quality of the collections, librarians' role, and users' needs should be considered as well as buildings and physical facilities. Particularly, users' needs assessment and librarians' opinion survey will be imperative in implementing evaluation.

초록보기
초록

대학에서 연구가 중요한 활동으로 주목을 받게 되면서 대학도서관에서도 연구지원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북미 및 국내 60개 대학의 디지털도서관 홈페이지에서 온라인상으로 연구지원 가이드를 제공하는 현황을 조사하여 13개의 주요 내용유형을 분석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대학도서관이 연구지원 가이드 내용을 구성하는데 고려해야 할 5개의 주요 영역을 제시하였다. 또한 연구지원 가이드가 온라인상으로 제공되는 방식과 가이드를 통해 사서와 이용자가 소통하는 방식을 분석하였다. 연구지원 가이드를 제작, 제공하는 주체는 사서이며 대학도서관의 사서 역할은 향후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에서 이용자를 위한 정보를 생산하는 역할로 확장될 것으로 예측된다.

Abstract

Research has taken priority of many activities in universities and it has eventually brought the heat on research support services of libraries to meet high expectation of university researchers. To identify the major content areas and service methods of research guides serviced through digital libraries of universities, this study investigated research guides of 60 university libraries in North America and Korea. As a result, 13 categories for research guide contents were identified and 5 crucial areas for the contents development were suggested. It also analyzed providing methods of online research guides and communicating methods between librarians and users. Librarians were identified as the prime human resource to develope and manage research guides, which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expanding diversity of librarians' roles in the future.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어린이도서관 온라인목록의 인터페이스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진단하고, 기존시스템의 개선과 새로운 시스템의 설계 시에 고려해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먼저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에 2011년 12월 현재 등록되어 있는 공공어린이도서관 77개관의 홈페이지에 접근하여 온라인 검색 기능이 제공되고 있는 시스템을 분석하고, 추가로 확인 가능한 어린이도서관 온라인목록을 분석하였다. 인터페이스의 특성을 약간 달리하더라도 동일한 유형의 시스템을 사용하는 어린이도서관의 수를 확인하여 많은 수의 도서관이 사용하는 시스템 유형을 우선적으로 분석의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소수의 도서관이 사용하는 시스템이라도 그 특성을 달리하는 시스템을 분석 대상에 포함시켰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선정된 분석 대상 온라인목록의 유형은 총 7가지이다. 7가지 유형에 대하여 각각 검색방식, 검색결과의 제시화면, 용어 사용상의 문제, 제공하는 기능의 측면에서 분석하여 문제점을 진단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catalogs’ interface of children’s libraries, and to propose how to design user-friendly interfaces. The online catalogs of 77 children’s libraries which are registered on the National Library Statistics System as of December 2011 were analyzed. They are categorized into 7 types based on interface’s characteristics. Such topics as the features of search methods, the record display formats, the terminology usage, and the special features of the 7 types were examined and discussed. Some shortcomings were examined and how to improve them was suggested.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