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최근 열린 정부 데이터에 대한 다차원 척도, 모델 개발 연구가 시작되고 있으나, 도서관에서는 관련 연구가 부족하다는 점을 고려하여 도서관에 적용할 수 있는 오픈 데이터 품질측정 모델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모델개발과 모델평가 두 단계로 수행하였다. 모델개발은 델파이 기법을 적용하였으며, 모델평가는 도서관 오픈 데이터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모델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측정하였다. 모델개발은 델파이 기법을 적용하여 총 4차례 수행하여 3개 차원, 18개 요인, 133개 측정요소로 구성된 모델을 도출하였다. 모델평가는 델파이 기법으로 완성한 모델을 도서관 오픈 데이터 이용자인 국내․외 사서, 개발자, 오픈 데이터 활동가를 대상으로 적합성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모델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당초 18개 요인, 133개 측정요소는 15개 요인, 54개 측정요소가 타당성을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뢰도는 차원별, 측정요인별로 모두 기준치인 0.6 이상의 결과를 보여주고 있어 높은 신뢰도를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델평가를 통한 이용자 타당도, 신뢰도 분석으로 전문가가 구성한 평가모델은 현장에서 즉시 활용될 수 있을 정도로 정제되었다.
This study draws on the current momentum to diversify open government data research through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model development. It formulates a quality assessment model applicable to library open data,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paucity of such research in the field. The model was developed using the Delphi method and verified for validity and reliability on the basis of a survey administered to library open data users. The results of the fourth round exhibited an average of 4.00 for all measured elements and a minimum validity of .75, rendering the model appropriate for use in quality assessments of library open data. The convergence and stability results provided by the expert panel fell below .50, confirming that there was no need to conduct further surveys in order to establish the validity of the Delphi method. The model's reliability likewise garnered results of .60 and above in all three dimensions. This Model completed with the input of the Delphi panel was put through a verification process in which library open data users such as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brarians, developers, and open data activists reviewed the model for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model scored low on validity on account of its failure to load all measure factors and elements pertaining to the three dimensions. Reliability results, on the other hand, were at 0.6 and above for all dimensions and measured elements.
강병서. (2009). (SPSS 17. 0)사회과학 통계분석:한나래.
강용주. (2008). 델파이 기법의 이해와 적용사례(수시 08-20).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김선애. (2006). KOLIS-NET 종합목록 DB의 품질평가.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0(1), 95-117.
노승용. (2006). 델파이 기법(Delphi Technique) : 전문적 통찰로 미래예측하기. 국토. 국토, , 53-62.
노지현. (2015). 주제명 데이터를 통해 본 현행 목록의 품질과 과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6(4), 379-402. http://dx.doi.org/10.16981/kliss.46.4.201512.379.
박미영. (2008).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품질 평가 모듈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9(4), 305-329. http://dx.doi.org/10.16981/kliss.39.4.200812.305.
박치동. (2010). 델파이와 AHP 기법을 활용한 이러닝 기반 교원연수 프로그램 평가 모형 개발 연구.
백지원. (2014). 국립중앙도서관 주제명표목표 검색 시스템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1(1), 31-51. http://dx.doi.org/10.3743/KOSIM.2014.31.1.031.
송지준. (2008).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AMOS통계분석방법:21세기사.
유인호. (2012). 델파이 설문조사를 통한 토마토 재배시설 평가지표 개발. 시설원예‧식물공장, 21(4), 466-477.
윤정옥. (2003). 연속간행물 종합목록 데이터베이스의 레코드 품질 평가.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7(1), 27-42.
이유정. (2006). 공동목록시스템(UNICAT) 품질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7(3), 289-307.
이응봉. (1996). 전문데이터베이스의 탐색특성에 관한 연구- 주제전문가와 탐색전문가-.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0(2), 51-86.
이응봉. (2001). 과학기술분야 데이터베이스의 품질향상을 위한 품질평가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5(2), 109-132.
이제환. (1997). 과학기술분야 서지 DB의 품질관리 및 평가 방안: KORDIC의 KRISTAL DB를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1(3), 109-134.
이제환. (2002). 공동목록 DB의 품질평가와 품질관리:KERIS의 종합목록 DB를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6(1), 61-89.
이종성. (2001). 연구방법 21 : 델파이 방법:교육과학사.
이춘열. (2004). 데이터베이스 품질 평가에 관한 사례 연구.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anagement, 11(4), 209-225.
임은애. (2012).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한 원예치료 평가지표 구성요소 개발. 원예과학기술지, 30(3), 308-324.
임재필. (2014). 델파이기법을 활용한 한국취항 외국항공사의기업영업전략 요인 도출에 관한 연구. 관광레저연구, 26(6), 379-396.
임정주. (2015). 도서관목록의 주제 접근성 향상을 위한 주제명 데이터의 품질 비교 (193-202). 정보학회 하계 학술발표회. 한국도서관.
최윤경. (2014). 국립중앙도서관 주제명표목표의 고품질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8(1), 75-95. http://dx.doi.org/10.4275/KSLIS.2014.48.1.075.
최인숙. (2004). 디지털자료실지원센터 종합목록 데이터 품질평가 및 관리 방안.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8(3), 119-139.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센터. (2000). 데이터베이스 품질평가 항목.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센터.
홍석수. (2013).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절충교역 기술가치평가 분석지표 개발. 기술혁신학회지, 16(1), 252-278.
홍현진. (2005). 웹 기반 데이터베이스의 품질평가 기준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9(2), 211-235.
황재영. (2010). 디지털도서관의 서비스 품질 측정모형 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
Armstrong, C. J.. (1995). Database information quality. Library & Information Briefings, (62), -.
Brodie, M. L.. (1980). Data quality in information systems. Information & Management, 3(6), 245-258.
Roger Debreceny. (2010). Does it add up? Early evidence on the data quality of XBRL filings to the SEC. Journal of Accounting and Public Policy, 29(3), 296-306. http://dx.doi.org/10.1016/j.jaccpubpol.2010.04.001.
Christopher Fox. (1994). The notion of data and its quality dimensions. Information Processing & Management, 30(1), 9-19. http://dx.doi.org/10.1016/0306-4573(94)90020-5.
Granick, L.. (1991). Assuring the quality of information dissemination: Responsibilities of database producers. Information Services & Use, 11(3), 117-136.
Howard, P.. (2004). Data Quality Products : an evaluation and comparison:Bloor Research.
Jacso, P.. (1995). Eletronic Information Delivery:Ensuring Quality and Value:Grower.
Jacso, P.. (1997). Content evaluation of databases. Annual Review of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32, 231-267.
Marijn Janssen. (2012). Benefits, Adoption Barriers and Myths of Open Data and Open Government. Information Systems Management, 29(4), 258-268. http://dx.doi.org/10.1080/10580530.2012.716740.
C. H. LAWSHE. (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28(4), 563-575. http://dx.doi.org/10.1111/j.1744-6570.1975.tb01393.x.
Sanghoon Lee. (2009). Understanding Post-adoption Usage of Mobile Data Services: The Role of Supplier-side Variables.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ystems, 10(12), 860-888. http://dx.doi.org/10.17705/1jais.00217.
Lee, Y. W.. (2009). Journey to data quality:The MIT Press.
Holmes Miller. (1996). THE MULTIPLE DIMENSIONS OF INFORMATION QUALITY. Information Systems Management, 13(2), 79-82. http://dx.doi.org/10.1080/10580539608906992.
R. RYAN NELSON. (2014). Antecedents of Information and System Quality: An Empirical Examination Within the Context of Data Warehousing. Journal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21(4), 199-235. http://dx.doi.org/10.1080/07421222.2005.11045823.
Palmer, M.. (2006). Data is the new oil. http://ana.blogs.com/maestros/2006/11/data_is_the_new.html.
Piattini, M.. (2000). Advanced database technology and design:Artech House, Inc.
Antonio Vetrò. (2016). Open data quality measurement framework: Definition and application to Open Government Data. Government Information Quarterly, 33(2), 325-337. http://dx.doi.org/10.1016/j.giq.2016.0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