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비이용, 검색결과: 492
151
정연경(이화여자대학교) ; 최윤경(이화여자대학교) 2012, Vol.29, No.1, pp.45-62 https://doi.org/10.3743/KOSIM.2012.29.1.04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어린이 도서관 서비스 제공자인 사서와 어린이 이용자의 전자책 인식 및 이용을 살펴보고 서비스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5개 어린이 도서관에 근무하는 사서 55명을 대상으로 전자책에 대한 인식과 이용, 서비스 현황, 개선 사항을 파악하였다. 또한 동일한 도서관의 어린이 이용자 30명을 선정하여 전자책에 대한 인식과 이용행태를 조사하였다. 두 집단의 전자책에 대한 인식과 이용행태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어린이 도서관의 전자책 서비스 개선 방안으로 전자책 콘텐츠와 공간 및 시설의 충분한 제공, 이용자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극적인 전자책 서비스 홍보, 전자책 담당 사서의 전문성을 개발할 수 있는 프로그램 제공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use of e-books by librarians and children and to suggest important elements to improve e-book services at the children's libraries. User survey questionaries and interviews from fifty five librarians and thirty children were carried for the perceptions and the use of e-books at five children's libraries. Based upon the data analysis from two groups, three important elements for improving e-book services of the libraries were suggested as follows: providing enough e-book contents, facilities and spaces, developing e-book user education programs with proactive pubic relations, and providing professional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regarding e-books to librarians.

152
김조아(명지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 이재윤(명지대학교) 2016, Vol.33, No.2, pp.201-225 https://doi.org/10.3743/KOSIM.2016.33.2.201
초록보기
초록

학제적 분야의 연구 전선을 분석하는 새로운 기법으로 인용 이미지 구축자 프로파일링 기법을 제안하였다. 인용 이미지 구축자 프로파일링은 해당 문헌을 인용한 문헌의 표제어를 단서로 사용하여 문헌 간의 주제관계를 파악하는 방법이다. 이 연구에서는 시험적으로 국내 여성학 연구를 대상으로 인용 이미지 구축자 프로파일링 기법을 적용하여 연구 전선과 주요 연구 주제를 파악해보았다. 분석 대상은 KCI의 2015년 기준 여성학분야 인용빈도 10회 이상에 해당하는 핵심문헌 집합이다. 여성학 분야에 문헌동시인용 기법을 적용한 결과 인용 데이터 부족 때문에 어려움이 있었던 반면에, 인용 이미지 구축자 프로파일링 기법을 적용한 결과 성공적으로 2개 대분야 및 6개 소분야를 파악할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 제안한 인용 이미지 구축자 프로파일링 기법은 학제적 연구분야의 동향을 파악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 new technique for revealing the research fronts of a interdisciplinary discipline has been developed. Citation image makers profiling (CIMP) determines the relationships between research papers with the title words of the citing documents. We adapted this new technique to analyze the research fronts and hot topics in women’s studies of Korea. By Korean Citation Index (KCI) data in 2015, we selected 148 papers cited more than 9 times as the core documents of women’s studies. Analysis of intellectual structure using citation image makers profiling was performed with the 148 core documents and those citing papers. Document co-citation analysis was hindered by citation data sparsity, while CIMP method successfully revealed the structure of research fronts of Korean women’s studies including 2 divisions and 6 subdivisions. The CIMP method suggested in this study has good potential to discover the characteristics of research fronts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domains.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에서는 연구자의 연구 이력을 분석하기 위해서 White(2000)가 제안한 인용 정체성과 Hellsten 등(2007)이 제안한 자기 인용 네트워크의 두 가지 최신 기법을 비교해보았다. 국내 대표적인 정보학자인 정영미의 연구 성과물을 대상으로 실험적인 분석을 수행해본 결과 두 기법에서 구분한 연구 시기가 동일하게 나뉘었으며 주요 연구 주제도 유사하게 파악되었다. 그러나 인용 정체성 지도에서는 주제영역별로 영향받은 주요 저자를 파악할 수 있는 반면에 자기 인용 네트워크에서는 시기별 핵심 문헌과 선도 문헌이 식별되었다. 따라서 이 두 가지 기법을 상호보완적으로 사용할 때 연구자의 연구 이력에 대해서 풍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Abstract

This paper compares two recent methods for exploring a scientist's research history: citation identity and self-citation network. The former is proposed by White(2000), while the latter is suggested by Hellsten et al.(2007). An experimental cit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on the research output of Young Mee Chung, a renouned Korean information scientist. The result shows that the two methods divided the research period into two sub-periods in the same way. They also identified the major research themes very similarly. In the analysis of each method's performance in depth, the two methods revealed different functions to understand a researcher's history. Citation identity was useful to identify authors who have affected Chung's research in terms of research topics. whereas, self-citation network was successful to identify the core papers and leading papers of the research sub-periods. This study indicates the combination of two methods can provide rich information on a scientist's research history.

154
이두영(중앙대학교) ; 김희전(가톨릭대학교) 2003, Vol.20, No.2, pp.73-91 https://doi.org/10.3743/KOSIM.2003.20.2.073
초록보기
초록

1970년대 후반 북유럽을 중심으로 제조업 부문에서 시작된 서비스 품질 연구는 기업이 그들이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하여 보다 많은 관심을 기울이게 되면서 활발해지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은 도서관도 예외는 아니어서 도서관의 경쟁력을 높이고 이용자들에게 보다 높은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면의 모색이 어느 때보다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현실이다. 본 연구는 서비스 마케팅 분야의 대표적인 서비스 품질 평가 방법인 SERVQUAL과 SERVPERF를 적용하여 도서관의 서비스 품질을 평가하고 SERVQUAL과 SERVPERF중 어떠한 방법이 도서관 서비스 평가에 적합한 지를 평가하였다. 또한 서비스 품질과 이용자 민족간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Abstract

Research papaers on the service quality, which began with the manufacturing industry in many Northern Europe at the end of 1970, have been found since the companies became much concerned about the level of services they offered. Libraries can not be an exception to this situation. It is absolutely necessary to find a way to develop a competitive strategy to offer a high level of services to those who use libraries. The purpose of study to evaluate the quality of library services by applying "SERVQUAL" and "SERVPERF" of evaluating service quality and to determine which of these 2 methods is better in terms of measuring library services. The study also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rvice quality and user satisfaction.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대학 강의지원시스템을 이용하는 학습자의 이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필요한 이용자 인터페이스 설계 원칙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사전설문과 이용성 평가 실험으로 구성된 이용성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용성 조사로부터 얻어낸 결과를 종합하여 총 11개의 대학 강의지원시스템 이용자 인터페이스 설계 원칙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 강의지원시스템의 이용자 인터페이스 설계 원칙을 개발하기 위하여 주이용자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이용성 조사를 실시하여 실제 이용자의 의견을 시스템의 기능별로 제시하고 직접적으로 설계 원칙에 반영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Abstract

The study goal is to develop the user interface design principles to improve the usability of university course management systems. To achieve the goal, a usability study was conducted using a survey questionnaire and usability test. Eleven user interface design principles for university course management system were developed based on the usability study.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student opinions were incorporated directly into the user interface design principles of university course management system.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웹정보원의 지적 구조를 동시링크분석을 이용하여 시기별 변화와 검색엔진별 차이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지적 구조의 시기별 변화를 분석한 결과, 이차원 지도상에 나타난 웹정보원의 군집과 위치는 6년간의 시간흐름에 따른 지적 구조의 변화를 나타냈다. AltaVista와 MSN Search 검색엔진을 대상으로 지적구조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웹정보원 지도에 나타난 전체적인 지적 구조는 유사한 양상을 나타냈지만, 몇몇 웹정보원의 경우 소속 군집이 달라지는 경우가 발생했다. 인쇄 정보원에 적용되던 동시인용기법이 웹정보원에 대한 통시적 분석에도 응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This research analyzed changes of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web information by examining time changes and search engines using the co-links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co-links web information clusters on the two maps appeared to contain changes in the intellectual structure over the two time periods.The intellectual structure that appeared in the information map for AltaVista and MSN Search engines was relatively similar. However, there were also cases where the clusters of some web information was different. The results of the research revealed that the cocitation analysis could be applied simultaneously to diachronous analysis in the web information.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국내에서 서비스되는 대체자료 장서 수준을 진단하고 향후 대체자료 장서개발의 방향성과 목표지향점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국가대체자료종합목록과 국내 인기도서 및 신간도서 목록을 장서기반 평가방법을 활용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10년간 인기도서 목록 기준 대체자료 장서 비율은 90.1%이다. ‘언어’, ‘예술’, ‘기술과학’ 주제의 대체자료 장서 비율이 낮은 편이며, 제작 매체별은 ‘텍스트 데이지자료’의 비율이 높았다. 둘째, 국가대체자료종합목록을 기준으로 주제별, 매체별, 제작기관별 공통장서 확보율과 장서고유성 지수를 분석한 결과 대체자료의 소장 장서량이 많은 도서관에서 공통장서와 고유장서의 편향성이 높게 나타났다. 공통장서 확보율이 높은 주제는 문학과 사회과학 순이며, 장서고유성 지수가 높은 주제는 종교, 예술, 언어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최근 3년간 신간도서의 대체자료 장서 비율은 5.09%이며 같은 기간 동안 공공도서관의 평균 도서구입율은 8.83%이다. 신간도서 대비 대체자료 장서 비율의 적정 기준은 존재하지 않으며 시각장애인의 정보격차 해소를 위해 신간도서 대비 대체자료 장서 비율을 공공도서관 도서구입율 수준으로 높일 것을 제언하고자 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the current status of alternative materials in Korea and to suggest directions and goals for the development of alternative materials. The comprehensive list of national alternative materials and the list of popular and new books were analyzed using the collection evaluation method. Results first the percentage of alternative material collections based on the popular book list for 10 years is 90.1%. The production rate of alternative materials is low in the subjects of ‘Language’, ‘Art’ and ‘Technology and Science’. Most of the service formats were ‘text only daisy’. Second, the CCHR(Common Collection Holding Ratio) and CUI(Collection Uniqueness index) of alternative materials were analyzed using the union catalog. Libraries with a large volume of books have a high proportion of CCHR and CUI. Topics with the highest CCHR are ‘Literature’ and ‘Social Science’. The subjects with the highest collection uniqueness index are ‘religion’, ‘art’, and ‘language’. Third, the replacement ratio of new books for 3 years is 5.09%. During the same period, the average book purchase rate of public libraries was 8.83%. The average book purchase rate in public libraries is 8.83%, and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collection rate of alternative materials based on this ratio.

158
양명석(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강남규(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김윤정(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최광남(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김영국(충남대학교) 2012, Vol.29, No.4, pp.123-142 https://doi.org/10.3743/KOSIM.2012.29.4.123
초록보기
초록

최근 효과적인 정보검색을 제공하기 위해 시맨틱 웹을 비롯한 다양한 검색기법들을 사용하고 있다. 이중에서 효과적인 방법은 온톨로지를 이용한 검색기술을 적용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TIS)에서 구축한 국가R&D정보를 분석하여 온톨로지를 구축하고, 이용자가 관심있어 하는 주제분야(과제, 인물, 성과, 기관)를 중심으로 온톨로지의 객체관계를 표현하고 정보를 탐색하기 위한 국가R&D지식맵(knowledge map)을 구축하였다. 국가R&D지식맵은 사용자가 선택한 객체를 중심노드로 설정하여, 주제분야를 노드로 표현하고, 객체와 주제분야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관심 있어 하는 질의를 주제분야의 하위노드로 표현하였다. 사용자가 하위노드의 질의를 선택하면 시스템에서는 선택한 질의를 온톨로지로부터 추론할 수 있는 SPAQL 질의어를 생성하고 추론엔진으로부터 검색결과를 받아 사용자에게 제시하였다.

Abstract

To develop an intelligent search engine to help users retrieve information effectively, various methods, such as Semantic Web, have been used, An effective retrieval method of such methods uses ontology technology. In this paper, we built National R&D ontology after analyzing National R&D Information in NTIS and then implemented National R&D Knowledge Map to represent and retrieve inform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object and subject (project, human information, organization, research result) in R&D Ontology. In the National R&D Knowledge Map, center-node is the object selected by users, node is subject, subject's sub-node is user's favorite query in National R&D ontology after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object and subject. When a user selects sub-node, the system displays the results from inference engine after making query by SPARQL in National R&D ontology.

159
원종삼(대법원 법원도서관 사서) ; 이지연(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2020, Vol.37, No.1, pp.127-151 https://doi.org/10.3743/KOSIM.2020.37.1.127
초록보기
초록

법률에 대한 최종 해석 권한은 법원에 있다. 법원은 개인과 개인의 분쟁, 개인과 국가 사이의 법률적 다툼에 대하여 최종적인 판단을 내린다. 사건의 당사자나 대리인들은 쟁점사항에 대하여 같은 법조문을 놓고 다른 법률해석을 주장하더라도, 궁극적으로 서로 다른 법률해석은 통일된 방향으로 변화되어야 한다. 주석서의 견해에 대하여 법률가들이 다양한 의견을 나누고 새로운 법령, 판례, 법이론 등을 확인하는 과정을 통해 법률해석에 통일을 이룰 수 있다. 법률가가 재판업무 및 법학연구를 위하여 주석서를 활용하는 과정에서 최신의 법령과 판례, 법이론의 현재와 법률가의 다양한 의견을 추가하여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court has the responsibility to determine the final interpretation of the law. The court hands down final decisions on personal disputes and conflicts between individuals and the state. Legal commentaries will stay true to their intention of providing diverse legal theories and enabling a unified legal interpretation only when law practitioners are allowed to discuss in depth laws, cases, and legal theories within the boundaries set by commentary authors. If law practitioners include the latest laws, cases, and legal theories as well as their opinions to existing commentaries in their judicial roles and legal studies, they will be able to obtain a unified legal interpretation without referring to other legal literature.

160
이지원(대구가톨릭대학교) ; 이재윤(명지대학교) 2018, Vol.35, No.1, pp.205-229 https://doi.org/10.3743/KOSIM.2018.35.1.20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국내 대학도서관 서양서 장서 개발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2003년과 2013년에 출판된 서양서 소장 실태를 KERIS 종합목록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새로운 장서 지표로 소장 h-지수, 장서 고유성 지수, 그리고 공통장서 확보율을 제안하고 기본 지표인 종수 및 책수, 그리고 종당 책수와 함께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2003년에 비해서 2013년에 출판된 서양서의 전체 소장 종수는 16.1% 감소하고 소장 책수는 42.2% 감소하여 소장 책수가 더 크게 감소하였다. 여러 도서관이 공통적으로 소장하는 공통 장서, 또는 기본 장서의 규모를 나타내는 공통장서 확보율은 줄어들었고, 장서고유성은 증가하였다. DDC 주류 중에서는 컴퓨터 관련 도서가 급감한 0XX(총류) 분야의 감소율이 가장 컸다. 도서관별 장서량 측면에서는 2003년에 비해서 2013년 출판도서의 경우에 상위 도서관이 더욱 과점하는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심화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Korean university libraries’ holdings of Western language books published in 2003 and 2013 using the KERIS union catalog with a view to investigating the changes in collection development of Western language books in the libraries. To do that, new collection indexes - holding h-index, CUI (Collection Uniqueness Index), and CCHR (Common Collection Holding Ratio) - were suggested, and they were used with basic indexes such as the number of titles, the number of books, and the number of books per title. The analysis reveals that compared to those published in 2003, the number of titles was decreased by 16.1% with those published in 2013, and the number of books dropped more sharply, by 42.2%. Also, in 2013, CCHR was decreased while CUI was increased. In terms of subject, among DDC main classes, 0XX (Generalities) showed the greatest decrease rate in both the number of titles and books because of the radical reduction of computer-related books. In terms of each library’s holdings, the number of Western language books held by top libraries has been increased with those published in 2013.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