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사용성, 검색결과: 305
초록보기
초록

네트워크 분석이 확산되면서 매개중심성이나 연결정도중심성과 같은 다양한 중심성 지수가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으나, 가중 네트워크에서 지역중심성을 측정할 수 있는 지수로는 최근접이웃중심성 이외에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이 연구에서는 가중 네트워크를 위한 일반화된 지역중심성 지수인 이웃중심성 지수를 새롭게 제안한다. 이웃중심성 지수는 파라미터 α를 사용하여 이진 네트워크를 위한 연결정도중심성 지수와 가중 네트워크를 위한 최근접이웃중심성 지수를 일반화한 것이다. 6가지 실제 네트워크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여 제안된 지수의 특징과 적정 파라미터 값을 살펴보는 실험을 수행하고 결과를 보고하였다.

Abstract

While there are several measures for node centralities, such as betweenness and degree, few centrality measures for local centralities in weighted networks have been suggested. This study developed a generalized centrality measure for calculating local centralities in weighted networks. Neighbor centrality, which was suggested in this study, is the generalization of the degree centrality for binary networks and the nearest neighbor centrality for weighted networks with the parameter α. The characteristics of suggested measure and the proper value of parameter α are investigated with 6 real network datasets and the results are reported.

152
정유경(연세대학교 근대한국학연구소 HK연구교수) ; 반재유(연세대학교 근대한국학연구소 HK연구교수) 2019, Vol.36, No.4, pp.7-19 https://doi.org/10.3743/KOSIM.2019.36.4.00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국한문 혼용 텍스트를 대상으로 한글 형태소 분석 기법과 한문 어조사를 반영한 색인어 추출기법을 제안하였다. 국한문 혼용체로 작성된 시사총보 논설을 대상으로 해당 시기에 사용된 고유명사 및 한자어 사전을 보완하였으며 한자어 불용어 리스트를 고려하여 색인어를 추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국한문 색인 시스템은 수작업 색인 결과를 기준으로, 중국어형태소 분석기에 비해 재현율과 정확률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성능을 보였으며, 어문법이 확립되지 않은 근현대 시기의 국한문 혼용체를 대상으로 한 첫 번째 색인어 추출기법을 제안하였다는 데에서 연구의 차별점이 있다.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echnique for keyword extraction in Korean-Chinese text in the modern period. We considered a Korean morphological analyzer and a particle in classical Chinese as a possible method for this study. We applied our method to the journal “Sisachongbo,” employing proper-noun dictionaries and a list of stop words to extract index terms. The results show that our system achieved better performance than a Chinese morphological analyzer in terms of recall and precision. This study is the first research to develop an automatic indexing system in the traditional Korean-Chinese mixed text.

153
박용재(한국전자통신연구원) ; 곽승진(충남대학교) ; 이상환(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07, Vol.24, No.4, pp.173-189 https://doi.org/10.3743/KOSIM.2007.24.4.173
초록보기
초록

정보시스템을 사용하는 이용자들의 만족지수를 측정함으로써 시스템 투자 대비 효과를 정성적으로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향후 시스템의 효율성 및 시스템 개선노력을 위한 방안도 도출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시스템의 이용자만족지수 모델을 제안하고 대표적인 정보시스템들의 이용자만족지수를 측정함으로써 이들 시스템 운영자 및 관리자들에게 시스템 만족도 제고 및 효율성 향상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수행을 위해 대표적인 정보시스템들을 대상으로 웹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만족지수를 산출하고 Matrix 분석을 통해 시스템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Abstract

By measuring satisfaction index of the users of Information System, it is possible not only to estimate ROI(Return on Investment) but also to draw the device for the efficiency and improvement of the System. This study tries to give User Satisfaction Index Model for the System, and present operators and managers of the system with the method for improving satisfaction and efficiency by measuring the User Satisfaction Index of representative information systems. For this, the survey was carried out for the representative information systems.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Satisfaction Index was drawn and through Matrix Analysis, the strategy for system improvement was derived.

154
이주현(충남대학교) ; 이응봉(충남대학교) 2005, Vol.22, No.2, pp.103-124 https://doi.org/10.3743/KOSIM.2005.22.2.10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웹 스타일 가이드를 구축하고 있는 해외 5개 대학 도서관 웹사이트의 스타일 가이드를 분석한 후 국내 10개 지역거점대학 도서관의 웹사이트의 구성요소를 추출하여, 공통항목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도서관 웹사이트에 있어서의 사용성(usability)과 접근성(accessibility)에 관한 연구결과들을 적용하여 대학도서관 웹사이트의 전반적인 디자인 흐름에 대한 통일성과 규칙성을 발견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웹사이트에 일관된 시각적 아이덴티티(identity)를 부여하기 위한 요소인 대학도서관 웹 스타일 가이드 요소들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web style guide of five foreign university library web sites and extracted the web site components of main university libraries in ten domestic areas and then drew the common factors from the components. This study also found out the unity and rule in the general design trends of university library web sites. In order to do this, the results for the usability and accessibility of university library web sites were applied to this study. And being based on it, this study presents the web style guide components of the university libraries which are the factors to endow the web site with the consistently visual identity.

155
정연경(이화여자대학교) ; 장윤미(이화여자대학교) 2012, Vol.29, No.3, pp.79-97 https://doi.org/10.3743/KOSIM.2012.29.3.07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2개 국가도서관과 9개 지역대표도서관, 서울시립정독도서관을 대상으로 담당 사서들의 도서기호에 대한 인식 및 문제점을 조사하고 각 도서관에서 사용하고 있는 도서기호의 현황을 분석하여 도서기호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도서기호의 가장 큰 문제점은 도서기호의 중복으로 인해 길어지는 도서기호의 길이로 나타났으며 도서기호 현황 분석을 통해 도서기호의 중복과 함께 직관성 부족이라는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이용자 친화적이면서 간단하게 부여할 수 있는 저자명순과 연대순 방식을 조합한 새로운 도서기호법의 구성 요소를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assigning book numbers and the perceptions of librarians who assign the book numbers at two National Libraries, nine Regional Central Libraries and Jeongdok Public Library in Korea. Based upon the analysis, a better method to assign book numbers for the libraries was suggested. The most serious problem was the length of the book numbers due to the duplication of book numbers and lack of intuitivenes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a user-oriented way of assigning book numbers based upon combining the name of the author and the year of the publication.

156
방기영(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 김건(전북대학교) ; 황창주(동남보건대학교) ; 김용(전북대학교) 2016, Vol.33, No.3, pp.31-61 https://doi.org/10.3743/KOSIM.2016.33.3.03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공개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지역 축제기록을 보존․활용할 수 있는 전자기록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 사용한 공개 소프트웨어를 비교하여 축제 기록에 적합한 공개 소프트웨어를 평가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적용 대상 축제로 춘향제를 선정하였으며, 현재 춘향제 기록관리의 문제점을 제기하여 그 중 축제기록을 보존할 시스템이 없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이후, 기록관리용 공개 소프트웨어인 AtoM(Access to Memory)와 OMEKA를 활용하여 축제기록관리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구축된 각각의 시스템을 지역 축제기록의 특성에 따라 비교한 결과, AtoM 기반 축제기록관리시스템이 지역 축제기록의 보존․활용에 더욱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mplement the electronic record management systems that can preserve and utilize local festival records and archives. To accomplish the goal, this study used open source software for Namwon chunhyang festival as a case. This paper revealed the fact that there is no constructive system for preserving local festival records.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implemented electonic records management system based on Open Source Softwares, which are called AtoM(Access to Memory) and OMEKA. Also, both OSSs were compared and evaluated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Local festival records. As a result, ERMS for Festival based on AtoM was appropriate comparatively.

157
배영활(계명대학교) ; 오동근(계명대학교) 2002, Vol.19, No.4, pp.53-76 https://doi.org/10.3743/KOSIM.2002.19.4.053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특정 주제 분야를 사회학적 관련 이론 및 기법을 적용하여 고찰하고 있는 문헌의 분류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국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한국십진분류법(KDC)과 듀이십진분류법(DDC)의 특수사회학 분류항목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특히 특수사회학 관련 분류항목들을 종교, 예체능, 과학, 언어, 사회, 지역 등 6개 분야로 구분하여 분속한 결과 분류항목 설정이 상이함으로 인한 문제점과 분류항목이 설정되지 않음으로 인한 문제점이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이 연구에서는 특정 주제의 이론 및 기법 적용에 일관성을 기하도록 하고 분류번호 부여를 위한 추가의 항목 전개 등 분류 실무자의 판단을 도와주는 한편 나아가 KDC의 제5판 개정에 일조하는데 그 의의를 두었다.

Abstract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classes in the major special areas in the sociology, called "branch sociology" included in the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4th edition and Dewey Decimal Classification 21st edition. Especially it analyzes the related classes of specified areas(branch sociology) of sociology including those of arts and sports, sciences, languages, society, region, etc. class by class. In this analysis two systems show many differences in the classes included and in the locations of same classes. This analysis can be useful for the future revision of KDC.

158
이신원(중원대학교) ; 안동언(전북대학교) ; 정성종(전북대학교) 2004, Vol.21, No.4, pp.173-185 https://doi.org/10.3743/KOSIM.2004.21.4.173
초록보기
초록

정보통신의 기술이 발달하면서 정보의 양이 많아지고 사용자의 질의에 대한 검색 결과 리스트도 많이 추출되므로 빠르고 고품질의 문서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많은 논문들이 계층적 클러스터링 방법을 이용하여 좋은 성능을 보이지만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반면 K-means 알고리즘은 시간 복잡도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계층적 클러스터링 시스템인 콘도르(Condor) 시스템에서 간단하고 고품질이며 효율적으로 정보 검색 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이 시스템은 K-Means Algorithm을 이용하였으며 클러스터 계층 깊이와 초기값을 조절하여 88%의 정확율을 보였다.

Abstract

Fast and high-quality document clustering algorithms play an important role in providing data exploration by organizing large amounts of information into a small number of meaningful clusters. Many papers have shown that the hierarchical clustering method takes good-performance, but is limited because of its quadratic time complexity. In contrast, with a large number of variables, K-means has a time complexity that is linear in the number of documents, but is thought to produce inferior clusters. In this paper, Condor system using K-Means algorithm Compares with regular method that the initial centroids have been established in advance, our method performance has been improved a lot.

초록보기
초록

현재 유니코드 CJK 한자코드는 부수 기준 배열방식을 따르고 있어 한자의 한글음가를 기준으로 하는 우리의 문자생활 방식과 차이가 있으며, 우리나라 고유한자나 동형이음어, 이두문자, 그리고 이체자 관계 등을 모두 수록하고 있지 않아 정보시스템에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따라서 유니코드 기반 정보시스템의 정확한 한자표현 및 한자검색을 위해서는 한자를 포함하는 자료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여러 가지 지원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역사분야 정보검색시스템에서는 한글음가 및 한국에서만 사용되는 동형이음어 처리를 위한 한자-한글음가 사전, 본래 한자의 음가와 다르게 읽히는 한자를 위한 특수용어사전, 이형자와 이체자를 위한 이체자사전, 그리고 유니코드 CJK 통합한자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한자를 위한 신출한자목록을 지원하고 있다.

Abstract

Unicode Han ideograph character set differed from the our principle of the phonetic value ordering in that it followed the principle of KangXi radical-stroke ordering of the characters. Therefore, information system should support ideograph search on precise analysis of materials which consist of korean character (hangul) and ideograph character (hanja). History Information system has been maintaining Hanja(Chinese Character) to Hangul Dictionary, Terminology Dictionary for composition, borrowing, non-ideographic principles, Variant Forms Dictionary, and Recently discovered Chinese Characters List.

160
백지원(이화여자대학교) ; 정연경(이화여자대학교) 2006, Vol.23, No.1, pp.63-81 https://doi.org/10.3743/KOSIM.2006.23.1.06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모든 지식조직체계의 근간인 용어관계가 동일성, 계층성, 연관성이라는 세 가지 포괄적인 기준에 의해 정의되어 사용됨으로써 정보의 정확성이 중시되는 오늘날의 정보 환경에서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있으므로, 그 해결 방안의 하나로 용어관계의 분류 모형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기존의 여러 지식조직체계에 나타나는 각종 용어관계의 사례와 용어관계에 대한 이론적 연구들을 광범위하게 수집하여 다양한 용어관계의 유형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용어관계를 명확하게 정의하고 범주화할 수 있는 용어관계 분류의 근거를 세우고 용어관계의 분류 모형을 개발하였다. 더 나아가 이 분류 모형을 정보검색을 비롯한 다양한 방면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향후 용어관계 분류 연구에 대한 제언을 했다.용어관계의 분류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limitation of terminological relationships in the current information environment and to propose a solution to result the richer and refined terminological resources. For this, various kinds of terminological relationships in knowledge organization systems and theoretical research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ased upon the analysis, a methodology for classification of terminological relationships was suggested and classification models were presented. Additionally, four suggestions were made for the practical uses of the classification models.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