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서비스 제공자, 검색결과: 180
161
이원경(한성대학교) ; 서은경(한성대학교) 2013, Vol.30, No.1, pp.193-219 https://doi.org/10.3743/KOSIM.2013.30.1.193
초록보기
초록

장애인들의 웹서비스 이용도와 의존도가 상당히 높아진 현실을 고려한다면 공공기관이나 도서관 웹사이트의 접근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장애인의 웹 접근성을 높이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웹사이트 설계 지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웹 표준 및 웹 접근성지침, 그리고 관련 최신 연구들이 제안한 웹 접근성 요건들을 기반으로 중요도 수준이 포함된 42개의 항목의 웹 접근성 요건 체크리스트를 구축하였고 다음으로 공공도서관을 포함한 15개의 공공기관 웹사이트의 접근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중요하다고 고려된 요건들이 아직까지도 지켜지지 않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장애인의 웹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웹사이트 설계 지침을 콘텐츠구성, 소리, 색, 키보드접근, 마우스접근, 접근기능, 이미지, 텍스트처리, 코드처리 등 9개 분야별로 제안하였다. 이러한 제안은 향후 접근성 지침에 따른 웹사이트 제작의 가이드뿐만 아니라 장애인의 접근성 향상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Public institutions or libraries urgently prepare comprehensive measures to improve web accessibility of their websites as booting web dependability and web utilization of disabled peop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design guidelines for improving web accessibility of disabled people. The study, first, analyzed various web accessibility requirements based on web standards, web accessibility guidelines, and the related researches and proposed a web accessibility checklist with 42 requirement. Next, the study evaluated 15 websites of public institutions such as government departments, association of disabled people, and public libraries using the checklist. Finally, the study revealed non-adherence requirements and suggested website design guidelines in terms of contents configuration, sound, colour, keyboard handling, mouse handling, access, image processing, text processing, and code processing.

162
양명석(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강남규(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김윤정(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최광남(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김영국(충남대학교) 2012, Vol.29, No.4, pp.123-142 https://doi.org/10.3743/KOSIM.2012.29.4.123
초록보기
초록

최근 효과적인 정보검색을 제공하기 위해 시맨틱 웹을 비롯한 다양한 검색기법들을 사용하고 있다. 이중에서 효과적인 방법은 온톨로지를 이용한 검색기술을 적용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TIS)에서 구축한 국가R&D정보를 분석하여 온톨로지를 구축하고, 이용자가 관심있어 하는 주제분야(과제, 인물, 성과, 기관)를 중심으로 온톨로지의 객체관계를 표현하고 정보를 탐색하기 위한 국가R&D지식맵(knowledge map)을 구축하였다. 국가R&D지식맵은 사용자가 선택한 객체를 중심노드로 설정하여, 주제분야를 노드로 표현하고, 객체와 주제분야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관심 있어 하는 질의를 주제분야의 하위노드로 표현하였다. 사용자가 하위노드의 질의를 선택하면 시스템에서는 선택한 질의를 온톨로지로부터 추론할 수 있는 SPAQL 질의어를 생성하고 추론엔진으로부터 검색결과를 받아 사용자에게 제시하였다.

Abstract

To develop an intelligent search engine to help users retrieve information effectively, various methods, such as Semantic Web, have been used, An effective retrieval method of such methods uses ontology technology. In this paper, we built National R&D ontology after analyzing National R&D Information in NTIS and then implemented National R&D Knowledge Map to represent and retrieve inform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object and subject (project, human information, organization, research result) in R&D Ontology. In the National R&D Knowledge Map, center-node is the object selected by users, node is subject, subject's sub-node is user's favorite query in National R&D ontology after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object and subject. When a user selects sub-node, the system displays the results from inference engine after making query by SPARQL in National R&D ontology.

163
정은경(이화여자대학교) ; 정선영(이화여자대학교) 2012, Vol.29, No.4, pp.273-294 https://doi.org/10.3743/KOSIM.2012.29.4.273
초록보기
초록

세대적 특성과 정보기술의 발달은 이미지의 생산과 이용을 가속화한다. 본 연구는 이미지 이용자의 일상생활 맥락에서 정보요구를 분석하여 이미지 접근점 확장에 관한 논의를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소셜 Q&A 서비스인 네이버 지식인에서 이미지를 검색하고자 하는 질문 105건을 추출하였다. 이미지 질문은 이용 목적과 이미지 속성으로 구분한 프레임워크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로서 이용 목적은 총 8가지로, 이미지를 데이터로서 이용하고자 하는 목적이 두드러졌으며, 이중에서 ‘보고그리기’는 기존 연구결과에서 찾아볼 수 없었던 이용 목적으로 새롭게 도출되었다. 이미지 속성에서는 의미, 비시각적, 구성 측면에서 의미와 비시각적 속성이 우세하게 나타났다. 전통적으로 이미지 검색과 접근에서 의미 측면의 속성은 중요하게 인식되어 왔으나,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비시각적 측면 특히, 맥락 요소의 비중은 접근점 제공에 있어서 중요한 시사점으로 볼 수 있다.

Abstract

Images have been substantially searched and used due to not only the advanced internet and digital technologies but the characteristics of a younger gene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ways on expanding the access points to images by analyzing the needs of users in context of everyday lif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105 questions of image seeking in NAVER, which is one of social Q&A services in Korea, were analyzed. For the analysis, a two-dimensional framework with image uses and image attributes were utiliz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considerable use purposes on data oriented pole, such as information processing, information dissemination and learning are identified. On the other hand, image attributes from the needs of image show that non-visual aspects including contextual attributes are recognized substantially in addition to the traditional semantic attributes.

초록보기
초록

OPAC으로 대표되던 도서관 목록에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는 차세대 목록의 핵심 개념인 자원 발견 인터페이스 중의 하나인 패싯 내비게이션은 지나치게 많은 검색 결과를 이용자의 이용 편의에 맞는 하위 집합으로 세분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자원 발견 인터페이스를 도입하여 사용하고 있는 국내외 9개 도서관의 패싯 내비게이션을 분석하였다. 패싯을 구성하는 용어가 지나치게 포괄적이거나 이용자가 사용하는 개념과 달라서 이용에 어려움을 줄 수도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패싯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이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패싯에서 사용하는 용어 사용의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저자 패싯의 분석에서는 전거통제의 정확성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었다. 그리고 패싯 내비게이션을 도입할 공공도서관에서는 이용자 계층에 맞는 패싯을 포함시키는 것을 고려해야 하고, 대학도서관에서는 자원 유형을 상세하게 전개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Abstract

Faceted navigation has brought a lot of changes to traditional library catalog and is one of the resource discovery interfaces in next-gen library catalog. Faceted navigation usually divides too much retrieved results into some relevant facets for user's convenient navigation. The faceted navigation of 9 libraries adopting resource discovery interfaces was analyzed in this article. The terms are much broader or different from the users' terms so that the users can't properly use the facets. It is essential to maintain consistency with using the terms to provide users with faceted navigation service and this study has found how exactly authority work was done in analysis of the author facets. Also, public libraries introducing faceted navigation need to consider including some facets for various users and university libraries need to consider detailed division of resource types.

초록보기
초록

우리나라 대학도서관에서는 디지털 패러다임에 적합한 디지털 정보자원을 구축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디지털 보존에 힘써왔지만, 아직까지 본격적으로 연구되고 논의되지 않고 있다. 디지털 보존은 인쇄매체 보존 방법과 상이하게 다르므로 디지털 정보자원의 안정성과 기능성을 최대한 확보, 유지할 수 있도록 보존전략을 강구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대표적인 디지털 정보자원의 보존기술인 매체재생, 매체변환, 포맷변환, 정보전환, 에뮬레이션 기술의 대학도서관에서의 사용정도와 대학도서관의 디지털 정보관리 담당자들이 생각하는 각각의 보존 기술에 대한 위험가능성과 위험영향력을 조사하여 위험관리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가장 빈번히 사용하되 있는 기법은 포맷변환이고 전혀 사용하지 않고 있는 기법은 에뮬레이션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위험이 발생할 확률과 데이터 손실 영향력이 가장 낮은 방법은 매체재생인 것으로 판명되었고 가장 높은 것은 에뮬레이션 기법과 정보전환으로 나타났고 사서들은 디지털 보존활동을 전문적으로 수행할 전담 담당자가 없는 경우 위험발생 확률이 제일 높을 것으로 보았다.

Abstract

University libraries have developed digital information resources for digital services and have tried to preserve valuable digital information. Because digital preservation raises challenges of a fundamentally different nature which we added to the problems to preserving traditional format materials, it is necessary that preserving digital resources must be discussed and researched actively. This study conducts risk management for exploring preserving technologies and assessing tools. It is found that most university libraries have used format conversion frequently and do not use the emulation technology. It is also found that medium refreshing has the lowest risk probability and isk impact, but information migration and emulation technology have the highest in the risk probability and in the risk impact individually and the absence of full-time professional staff causes high risk.

166
김태영(전북대학교) ; 양동민(전북대학교) ; 최상기(전북대학교) ; 오효정(전북대학교) 2019, Vol.36, No.2, pp.79-104 https://doi.org/10.3743/KOSIM.2019.36.2.079
초록보기
초록

최근 공공기관에서 국민과 소통하는 방법의 하나로 소셜미디어를 활발하게 활용함에 따라 기록관리 영역에서도 이를 수집하고 보존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들이 논의되고 있다. 미국에서는 정부 차원에서 소셜미디어를 수집․보존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일고 있고, 영국 국립기록관에서는 이미 공공기관의 트위터와 유튜브를 대상으로 아카이브를 구축하여 이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셜미디어 아카이빙의 수집 및 보존 측면에서의 사례조사 결과를 토대로 소셜미디어의 유형별 특징과 그에 따른 수집 방안과 보존 모형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제안방안의 실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경상남도 도청의 소셜미디어를 대상으로 시범 적용하였다. 본 연구는 실제 수집한 결과를 통해 수집 및 보존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으며, 차후 소셜미디어 아카이빙을 위한 모델 수립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Recently, various methods of collecting and preserving social media have been discussed in the field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as social media is actively used as a way of communicating with the public in the government. In the United States, there is a move to acquire and preserve social media at the government level, and the National Archives (UK) already provides social media archives to users through Twitter and YouTube. In this study, we proposed the features, acquisition methods of social media by type and the preservation model based on case study results in terms of acquisition and preservation of social media archiving.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s, this study was applied to the social media of Gyeongsangnamdo provincial govern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ed acquisition and preservation methods through actual collected results and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useful for establishing the models for future social media archiving.

167
윤희윤(대구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오선경(중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2021, Vol.38, No.1, pp.143-168 https://doi.org/10.3743/KOSIM.2021.38.1.143
초록보기
초록

대다수 국가에서 공공도서관은 지역사회를 위한 지식정보 허브, 복합문화공간, 만남과 소통을 위한 제3의 장소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를 위한 공공도서관 업무 중에서 요체는 체계적인 장서개발이고, 구축된 장서는 모든 지식정보서비스에 필수적이다. 특히 지역대표도서관은 광역자치단체를 위한 종합지식정보센터로서의 법정 업무를 수행해야 하며 다른 공공도서관이 수행하기 어려운 특화장서를 개발․제공․보존해야 한다. 이에 외국의 대규모 공공도서관과 국내 지역대표도서관의 특화장서 개발 사례를 조사하고 경북지역 공공도서관 직원을 대상으로 특화장서 등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하였으며, 경북의 문화지형을 분석하였다. 이들을 배경정보로 삼아 ‘경북지식문화유산’으로 명명한 경북도서관의 특화장서 개발방안 및 구축전략을 제안하였다.

Abstract

In most countries, public libraries play a role as a knowledge and information hub for local communities, a complex cultural space, and a third place for meetings and communication. Among the work of public libraries for this purpose, the key point is systematic collection development, and the established collection is essential for all knowledge and information services. In particular, local representative libraries must perform legal duties as a comprehensive knowledge information center for metropolitan governments, and develop, preserve, and service specialized collections that are difficult for other public libraries. Therefore, we analyzed the development cases of specialized collections of public libraries in large cities in foreign countries and local representative libraries in Korea, surveyed the degree of awareness of specialized collections for employees of public libraries and the cultural to geography in Gyeongbuk region. Based on the background information, this study proposed the development plan and establishment strategy of the Gyeongbuk Library specialized collection, which was named “Gyeongbuk Knowledge and Cultural Heritage.”

초록보기
초록

최근 문화콘텐츠 관련 기관들은 분산 네트워크를 통해 이용자에게 문화콘텐츠의 접근을 점차 확대시키고 있다. 그러나 문화콘텐츠의 특성상 일반 콘텐츠와 달라서 많은 문화콘텐츠 객체는 정보의 조직과 검색에 사용할 수 있는 단어를 거의 포함하고 있지 못하다. 이러한 문화콘텐츠 시스템이 서비스 될 경우, 효율적으로 자원을 식별하고 검색할 수 없게 될 뿐 아니라 다양한 문화콘텐츠 메타데이터 요소간의 명칭, 표현, 의미가 상이하여 시스템간 연동이나 정보공유가 어렵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문화콘텐츠의 속성에 적합한 표준화된 메타데이터의 조직과 관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문화콘텐츠 분야에서 다야하게 접근되고 있는 메타데이터 포맷인 Dublin Core, EAD, VRA, CDWA, CIMI. Object ID를 중심으로 각 포맷의 데이터 요소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상이한 메타데이터 포맷의 상호운용성 확보를 통하여 문화콘텐츠 통합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Abstract

Recently, the organizations related to cultural contens are gradually expanding access to cultural contents for general public through the distributed network. However, since cultural contents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than general contents, the objects of cultural contents seldom contain the words generally used for organization and seach of information. If the cultural contents system is created without any consideration of such differences, we cannot effectively identify and search resources. Moreover, because the names, expressions and meanings are different between matadata elements of various cultural contents, it is very difficult to interconnect or share information between different system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proper organization and management of metadata is vital. In this study, we have comparatively analyzed the data elements of each format based on Dublin Core, EAD, VRA, CDWA, CIMI, and Object ID, the metadata formats approached from various aspects in the cultural contents area. Through this study, we tried to provide the basic materials for integration of cultural contents by securing interoperability of different meta formats.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복합적인 주제 영역인 이민정책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조직하고 최적의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분류표를 개발하기 위해 관련 문헌 연구와 다양한 문헌분류표를 조사하였다. 먼저, 문헌 연구를 통해 이민정책의 학문적 개념과 범주를 정의하고, 이를 바탕으로 핵심 주제 영역을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듀이십진분류표, 미의회도서관분류표, 한국십진분류표, 국제십진분류표에서 이민정책 분야의 구조와 전개 항목,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들 분류표 중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정기적으로 개정되고 있는 DDC 23판을 바탕으로 이민정책 분야를 수정 전개하기 위한 설계 원칙과 본표, 보조표를 제안하였다. 수정 전개된 듀이십진분류표는 이민정책을 다루는 주요 분야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민 정책 관련 전문 연구기관이나 도서관에서 소장 자료를 효과적으로 분류하고 조직하며 이민정책 전문 정보를 통합 관리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various library classification systems and related literature in order to suggest some modifications and expansion of the Dewey Decimal Classification, the 23rd edition (DDC 23) in the area of immigration policy - an interdis- ciplinary subject - for the best information organization and services. First of all, definitions and scopes of the immigration policy were dealt with and then primary subject areas of it were selected. And then, DDC, Library of Congress Classification,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and Universal Decimal Classification were compar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structures, headings and characteristics. Finally, modified classification schedules in immigration policy of the DDC 23 - the most frequently used one with an regular revision was proposed with their principles and main schedules with an auxiliary table. It can be used for an effective information organization in immigration policy area and it will be useful for many libraries and research institutes on immigration policy.

170
이다정(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석사과정) ; 이용정(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2019, Vol.36, No.4, pp.161-181 https://doi.org/10.3743/KOSIM.2019.36.4.161
초록보기
초록

사람들은 청소년기에 성적 지향이나 성 정체성에 대해 인식하기 시작하며, 청소년들은 성에 관한 민감한 건강정보 탐색을 위해 접근이 편하고 익명성이 보장된 지식검색 커뮤니티를 자주 이용한다. 본 연구는 지식검색 커뮤니티에 나타난 청소년들의 성 정체성에 관련된 질문과 답변을 바탕으로 그들의 정보탐색 행태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먼저, 그들의 정보 요구를 파악하고 그들이 공유한 질문에 제공된 답변들 가운데 채택된 답변과 비 채택된 답변의 특성을 비교하여 청소년들이 어떠한 답변을 선호하는지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의 대표적인 지식검색 커뮤니티인 네이버 지식iN에서 2016년 1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3년간 채택된 답변과 비 채택된 답변으로 구성된 총 358세트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성 정체성에 관한 고민을 가진 청소년들은 성 정체성에 대한 정의나 혼란에 관한 정보 요구가 많았다. 이용자들이 채택한 답변에는 공감 및 긍정적인 느낌을 주는 요인들이 채택되지 않은 답변에 비해 많았으며, 반면에 채택되지 않은 답변에는 부정적인 요인들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성 정체성이 확립되지 않은 청소년들이 가진 정보 요구와 정보탐색 행태를 분석하여 정보탐색 분야의 논의를 확장하고 건강정보 이용자의 정보 평가에 이용되는 인지적 및 감정적 모델을 검증했다는 데 학문적 의의가 있다. 또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소셜 미디어가 청소년에게 제공해야 할 성 정체성에 관한 효과적인 정보서비스에 대한 실질적인 함의를 제안한다.

Abstract

People begin to recognize sexual orientation or gender identity in adolescence, and adolescents frequently use an accessible and anonymous anonymity knowledge retrieval community to explore sensitive health information about gender. This study attempted to observe their information search behavior based on questions and answers about adolescents’ gender identity in the knowledge retrieval community. First, we wanted to examine their information needs and to investigate what factors they preferred to answer by compa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answers adopted with the non-adopted answers among the answers provided in the questions they shared. To this end, Naver, Korea’s representative knowledge search community. In Knowledge-iN, a total of 358 sets of data were analyzed, consisting of responses adopted over three years from January 2016 to December 2018. As a result, adolescents with concerns about gender identity demanded information about definition or confusion about gender identity. In the responses adopted by the users, the factors that gave empathy and positive feelings were higher than those that were not adopted, whereas the negative responses were higher in the unaccepted answer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s the information needs and information search behaviors of adolescents with no established gender identity, expands the discussion in the information search field, and confirms cognitive and emotional models for information evaluation of health information users. Also,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we propose practical implications for effective information services on gender identity that social media should provide to young people.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