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User studies, 검색결과: 368
161
한희정(전북대학교) ; 김태영(전북대학교) ; 두효철(전북대학교) ; 오효정(전북대학교) 2017, Vol.34, No.4, pp.81-99 https://doi.org/10.3743/KOSIM.2017.34.4.081
초록보기
초록

기술문서는 지식정보사회에서 생성되는 중요 연구 성과물로, 이를 제대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정보 요약 및 정보추출과 같은 개선된 정보 처리 방법을 토대로 기술문서 활용의 편의성을 높여줄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술문서의 핵심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방안으로, 기술문서의 구조와 정의문 패턴을 기반으로 전문용어 및 정의문을 자동 추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전문용어사전을 구축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나아가 전문용어사전을 지식메모리로서 보다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전문용어사전에 기반한 개인화서비스 제공방안을 제안하였다. 이처럼 전문용어 및 정의문 자동추출을 기반으로 전문용어사전을 구축하게 되면 새롭게 등장하는 전문용어를 빠르게 수용할 수 있어 이용자들이 최신정보를 보다 손쉽게 찾을 수 있다. 더불어 개인화된 전문용어사전을 이용자에게 제공한다면 전문용어사전의 가치와 활용성, 검색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Abstract

Technical documents are important research outputs generated by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In order to properly use the technical documents properly, it is necessary to utilize advanced information processing techniques, such as summarization and information extraction. In this paper, to extract core information, we automatically extracted the terminologies and their definition based on definitional sentences patterns and the structure of technical documents. Based on this, we proposed the system to build a specialized terminology dictionary. And further we suggested the personalized services so that users can utilize the terminology dictionary in various ways as an knowledge memory.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allow users to find up-to-date information faster and easier. In addition, providing a personalized terminology dictionary to users can maximize the value, usability, and retrieval efficiency of the dictionary.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인쇄형 해외학술지 원문제공서비스(DDS)의 경제성을 분석하기 위해 이용자 기반의 경제적 가치 평가 방법론 및 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K기관의 구독중인 해외학술지 원문제공서비스의 데이터 중 일부가 분석을 위해 사용되었고 K기관 원문제공서비스 이용자를 대상으로 웹 서베이를 실시하였다. 해외학술지 원문제공서비스의 경제적 가치는 사용가치, 비사용가치, 그리고 기대가치가 고려되었고 사용가치 산출을 위해서는 소득접근법과 시장접근법을 제안하였다. 이용자에 의한 가치 산출을 위해, 본 연구는 조건부가치평가법을 적용하였고 이를 위해 가상 시나리오를 설정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s to develope a user-based economic valuation methodology and model for the economic analysis on the DDS of foreign journals. For this study, the sampling data on the annual subscribed journals by K institution was used and the online questionnaire was used to collect data. There are three aspects of the economic value of DDS journals was classified as use value, non-use value, and expectancy value. We suggested the income and market approach to measure its economic use value. To estimate the its value by individual users, this study applied a contingent valuation method and designed the imaginary scenarios.

163
서은경(한성대학교) ; 손주영(한성대학교) 2012, Vol.29, No.1, pp.351-374 https://doi.org/10.3743/KOSIM.2012.29.1.351
초록보기
초록

최근 디지털 기록관리 패러다임 속에서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는 대학기록관 웹사이트는 대학기록을 찾고 활용하는 이용자들에게 더욱 더 중요하게 간주되고 있다. 본 연구는 대학기록관 웹사이트가 질적 향상을 이루기 위해서는 다각적 평가와 분석이 필요하다고 보고 국내 9개의 대학기록관을 선정한 후, 이들에 대하여 웹사이트 구성 내용분석, 웹사이트가 지닌 기능적 유용성, 사용성 및 정보품질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 그리고 웹표준 준수여부 등 다섯 가지의 각도에서 메타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제시된 대학기록관 웹사이트의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록정보의 이용을 보다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대학기록관의 소개 및 대학기록 활용성에 대한 홍보와 웹사이트에서의 이용자간의 커뮤니케이션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둘째, 웹사이트의 콘텐츠 빈약함은 이용자의 이용도를 떨어뜨리므로 체계적인 대학기록의 수집과 함께 디지털화하는 작업에 집중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가장 불만족스럽게 나타난 ‘검색 기능’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이용자 중심의 검색인터페이스를 개발이 필요하다. 넷째, 이용자의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웹사이트에 대한 ‘호감도’이므로 이 점을 고려하여 대학기록관 웹사이트를 디자인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웹사이트는 웹표준을 준수하여 보편적 웹접근성을 높여야 할 것이다.

Abstract

Recently, the website of university archives is becoming greatly significant to users who retrieve and utilize university archives and records. This study aims to meta-analyze university archives in Korea in terms of usefulness, usability, information quality, and web accessibility in order to improve the functionality and usefulness of university archives websites. The result of the study suggests that university archives should increase the number of the digital records and to develop communication chanels, such as blog, chatting room, digital reference services for activating use of university records. Secondly, university archives make efforts to develop systematic collecting and managing procedures and to build relevant digital collections. Thirdly, the websites of university archives develops more user-friendly interfaces and web design to improve user satisfaction. Finally, the websties of university archives should follow the standards on web accessibility.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시각화 정보검색시스템이 실제 정보검색환경에서 이용자에게 원활하게 수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경험적인 분석을 제공하고자, 상용 학술데이터베이스의 텍스트 기반 검색과 비주얼검색의 사용성을 비교․평가하고, 실험순서에 따라 사용성 평가에 있어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검색소요시간과 처리동작횟수에 있어서 텍스트 기반 검색이 비주얼검색보다 더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용성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도 텍스트 기반 검색이 비주얼 검색보다 전체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usability of text-based search and visual search of a large multidisciplinary library database to provide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acceptability of visual systems in the information retrieval environment. It also examined if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usability assessment based on experimental order.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text-based search supported users' search behaviors more efficiently than the visual search. Also the text-based search was rated higher than the visual search in terms of user perceptions of four usability factors.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정규 과목으로서 정보이용교육을 수강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컴퓨터활용능력과 도서관 관련 지식이 이용빈도와 정보활용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고, 이용빈도와 정보활용능력은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여 보다 나은 정보이용교육의 수업 방향을 제시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서울경기지역 소재 7개 대학의 8개 수업 수강생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가설검증을 통해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정보이용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대학당국의 인식과 더불어 향후의 정보이용교육은 도서관자료를 이용한 학술정보활용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임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how undergraduate students' computer literacy and library knowledge can affect their frequency of library material use and information literacy, and analyze the correlations between frequency of library material use and information literacy. Data were collected by distributing questionnaires to students of 7 universities in 8 credit-given user education courses, and correlations with variables were analyzed through hypothesis testing. It was suggested that with strong support of university administration, user education should be taught by using more of scholarly library material.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e success of social networking sites (SNSs) may depend on many factors. Continuance use of SNSs is one of these. Especially, in the Web environment where users can leave one service with a single mouse click, maintaining existing members cost much time and efforts. Without continuance use of SNSs, SNS-based service would not create any value. This study focused on identifying factors influencing users’ continuance intention in SNSs. Based on relevant literature review, six influencing factors were initially identified. They were reputation, relational capital, knowledge quality, compatibility, personalization, and satisfaction. Web-based ques- 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nd a total of 325 usable responses were collected. Reliability test and two round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es resulted in identifying five factor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and the continuance intention was tested by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he analyses revealed that satisfaction w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Knowledge quality and relational capital also had significant effects while reputation and personalization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 on continuance intention. Instead, reputation and personalization showed significance in influencing satisfaction.

167
노영희(건국대학교) ; 강정아(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정대근(전남대학교) 2016, Vol.33, No.4, pp.27-57 https://doi.org/10.3743/KOSIM.2016.33.4.02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근대문학 주제가이드에 대한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용자 및 작가들을 대상으로 주제가이드 서비스에 대한 인지도 조사를 실시하고, 전문가 의견조사 및 수렴과정을 통해 한국근대문학 주제가이드에 대한 홍보방안 및 개선방향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활성화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홍보매체를 활용한 적극적인 홍보를 해야 한다. 둘째, 주제가이드의 유용성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해 이용자 교육을 제공하여야 한다. 셋째, 한국근대문학 주제가이드 서비스를 위한 별도의 사이트 구축이 필요하다. 넷째, 주제가이드 품질 향상 및 개선을 통한 효율적 주제서지정보서비스 방안으로 원문제공, 지속적 콘텐츠 추가, 유관기관과의 연계 등이 요구된다. 다섯째, 본 연구에서 분석된 성별, 연령별, 직업별, 학력별 요구도 차이를 기반으로 이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주제가이드의 활성화를 위해 상호협력체계 모색, 구체적인 홍보전략을 제시하는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한국근대문학 주제가이드의 평가지표가 체계적으로 개발될 필요가 있다.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trategies to promote the use of the subject guide for Korean modern literature. To meet this objective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users’ awareness of the subject guide service and sought out experts’ opinions to identify the strategies to promote and improve the subject guide for Korean modern literature. The study proposes the following strategies: 1) Conduct promotional activities utilizing a variety of social media; 2) provide education for the user to enhance understanding of the utility of the subject guide; 3) build a website dedicated to the subject guide service for Korean modern literature; 4) provide an efficient subject-specific bibliography service by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subject guide, by offering full texts, ongoing content updates, and coordination with other institutions and agencies; and 5) tailor the service to user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age, occupation, and education level. Suggestions for future directions include research on the collaborative system, additional specific promotional strategies to promote the use of the subject guide, and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of the subject guide for Korean modern literature.

168
유수연(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 최희윤(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06, Vol.23, No.2, pp.81-96 https://doi.org/10.3743/KOSIM.2006.23.2.081
초록보기
초록

웹기반 학술정보 커뮤니케이션이 보편화되고 정보공급자 및 이용자와의 직접적인 커뮤니케이션이 확산되는 등 원문서비스 환경의 변화는 원문서비스 기관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웹을 통하여 이용자에게 원문을 제공하는 전자원문서비스의 등장은 전자형태 정보의 신속하고 용이한 복제 및 배포로 인하여 그 운영에 있어서 저작권과의 마찰을 피할 수 없다. 이 연구에서는 원문서비스 환경의 주요 변화와 동향을 검토하고, 해외 전자원문서비스 사례를 파악함으로써 국내 웹기반 원문서비스인 e-DDS가 국내 저작권법에서 이슈가 되는 부분 및 향후 해결해 나가야 할 부분들을 검토하고자 한다.

Abstract

Changes in document delivery service environment such as spread of web-based research information communication and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users and information providers have considerable effects on document delivery service institutes. Swift advances in information technology have allowed users to receive information on their desktops via web. Web-based document delivery makes the massive scale of reproduction and distribution possible so it need to protect the copyright holders' rights. This study identifies the current trends and issues of document delivery service environment and reviews electronic document delivery services of foreign countries. Also this study introduces the domestic electronic document delivery service, e-DDS, and evaluates the copyright issues for the service.

169
한승희(일본 Keio University) ; 정영미(연세대학교) 2004, Vol.21, No.3, pp.251-267 https://doi.org/10.3743/KOSIM.2004.21.3.251
초록보기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enerate the local level knowledge structure of a single document, similar to end-of-the-book indexes and table of contents of printed material, through the use of term clustering and cluster representative term selection. Furthermore, it aims to analyze the functionalities of the knowledge structure, and to confirm the applicability of these methods in user-friendly information services. The results of the term clustering experiment showed that the performance of the Ward's method was superior to that of the fuzzy K-means clustering method. In the cluster representative term selection experiment, using the highest passage frequency term as the representative yielded the best performance. Finally, the result of user task-based functionality tests illustrate that the automatically generated knowledge structure in this study functions similarly to the local level knowledge structure presented in printed material.攀*** 본 연구는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의 일부를 요약한 것임.*** 日本 慶應義塾大學(Keio University) 圖書館情報學科 訪問硏究員(libinfo@yonsei.ac.kr)****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ymchung@yonsei.ac.kr) 논문접수일자 : 2004년 8월 17일 게재확정일자 : 2004년 9월 10일攀攀

Abstract

170
유병희(덕성여자대학교) ; 박소연(덕성여자대학교) 2016, Vol.33, No.4, pp.159-174 https://doi.org/10.3743/KOSIM.2016.33.4.15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관계 마케팅 분야의 핵심 개념인 전환비용을 도서관 분야에 적용하기 위하여, 문헌 조사 및 면접 조사에 근거하여 대학 도서관 이용자들이 지각하는 전환비용을 정의한 후, 전환비용에 관한 척도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210명의 대학 도서관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수행된 설문 조사를 통하여 이들이 지각하는 전환비용이 도서관에 대한 태도적, 행동적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도서관 이용자들이 지각하는 전환 비용은 이용자가 사용 중인 도서관에서 다른 도서관으로 전환하는 경우 발생하는 절차적, 관계적 비용으로 정의되었다. 조사 결과, 절차적 전환비용 및 관계적 전환비용은 이용자 만족도와 함께 정서적 몰입을 통해 행동적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Abstract

In order to apply the concept of switching costs to the library contex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library users’ perceived switching costs, develop and validate a measurement scale for switching costs. A survey involving 210 university students was performed in order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witching costs on the affective commitment and behavioral commitment. Library users’ perceived switching costs refer to the procedural and relational costs involved in switching from one library to anot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wo types of switching costs as well as library service satisfaction have positive influences on affective commitment, which in turn affects behavioral commitment.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