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비이용, 검색결과: 25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wo characteristic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IS) journals in Korea through analysis of journal coupling with common authors. This study also illustrated the trend of Korean LIS research in the recent decade. The notable change is that record management and archival studies settle in LIS domain as a major research area. We introduced two indicators, Publishing Preference Index (PPI) and Researcher Attraction Index (RAI), based on the degree of common authors among journals. Both indicators revealed notable changes in author coupling, including reversal of PPIs in some journals, which can be interpreted as proof of changes in their author groups. The RAI analysis, which measured the degree of journals’ attractiveness to Korean LIS researchers and author sharing between two journals, illustrated the journals’ states in a domain; this result can help find both an isolated journal and strongly bonded journals in the specific domain. Journal coupling with common authors introduced in this study proved to be an effective investigative method for illustrating journals’ states in a specified domain as well as a multidisciplinary area.

12
박소연(덕성여자대학교) ; 조기훈(NHN Entertainment) ; 최기린(NHN Payco) 2017, Vol.34, No.3, pp.89-107 https://doi.org/10.3743/KOSIM.2017.34.3.08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표적 쇼핑 검색 사이트인 1300K 이용자들의 PC와 모바일 검색 행태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1300K에서 2016년 4월 한 달 동안 생성된 검색 로그를 수집,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모바일에서 발생한 세션 수가 PC에서 발생한 세션 수보다 약간 많았으며, PC에서는 이용자들이 질의 검색 방식보다 디렉토리 브라우징을 약간 더 많이 수행하는 반면, 모바일에서는 디렉토리 브라우징보다 질의 검색을 2배 이상 더 많이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품 정보 클릭은 PC에서 더 빈번하게 발생하는 반면, 장바구니 담기, 제품 주문하기와 같은 주요 의사 결정은 모바일에서 더 빈번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자들이 PC와 모바일에서 검색하는 인기 질의들은 다수 중복되었으며, 이용자들이 PC와 모바일에서 브라우징하는 인기 카테고리들 역시 다수 중복되었다. 또한 PC보다 모바일에서 특정 인기 질의 및 카테고리에 대한 쏠림 현상이 매우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모바일 상에서의 검색 행태가 더 단순하고 수동적이며, 집중 현상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매체별로 차별화된 검색 서비스의 개선 및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compare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of 1300K users on PC and mobile phone. Transaction logs of 1300K, a major Korean shopping search engine, were analyzed. These transaction logs were collected over 1 month period, from April 1 to April 31, 2016.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re are a little more mobile sessions than PC sessions. Users conducted slightly more browsing on PCs than mobile phones, whereas users submitted queries more than two times on mobile phones than on PCs. Users clicked more search results on PCs than mobile phones, whereas users made important decision makings such as product purchases more on mobile phones than PCs. Top queries and categories were similar between PCs and mobile phones. Queries and categories on mobile phones were more focused than queries on PCs. Overall, mobile search behavior is more simple, passive, and focused than PC search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implemented to the effective improvement and development of search services for different devices.

13
하승록(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기록관리전공) ; 임진희(서울특별시청) ; 이해영(명지대학교) 2017, Vol.34, No.1, pp.341-371 https://doi.org/10.3743/KOSIM.2017.34.1.341
초록보기
초록

웹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는 현재 문서중심에서 데이터 중심으로 변화를 겪고 있으며, 그 변화의 중심에는 Linked Open Data(LOD)가 존재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흐름에 부응하여 기록정보의 LOD 구축을 위한 구체적인 절차와 방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소규모 아카이브의 서비스 지속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LOD 구축 절차를 진행하는 범례를 제시하고자 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LOD 구축을 위한 5단계의 프레임워크를 제안했다. 그리고 일상아카이브인 ‘인간과 기억 아카이브’의 일기 기록물 컬렉션을 수집하여, 제안된 5단계 프레임워크에 따라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인 Protege와 Apache Jena Fuseki를 활용하여 POC(Proof of concept)를 진행하였다. 오픈소스를 활용하여 기록정보의 LOD를 구축한 뒤, 상호연결(Interlinking)과 SPARQL 검색을 통해서 외부 LOD와 연결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기록정보의 LOD 구축 절차 진행과정의 경험을 바탕으로 내용정보 기술의 품질 향상, 아키비스트의 역량 고도화, 기록정보의 접근성 향상을 위한 상호연결 고도화, LOD 서비스의 수준 결정, LOD 구축을 위한 도구 선정 등, 기록관 LOD 구축을 위한 필요요건을 제시했다.

Abstract

Recently, the web service environment has changed from document-centered to data-oriented focus, and the Linked Open Data(LOD) exists at the core of the new environment. Specific procedures and methods were examined to build the LOD of records information in accordance with this trend. With the service sustainability of small-scale archive in consideration, an exemplification on LOD building process by utilizing open source software was developed in this paper. To this end, a 5-step service framework for LOD construction was proposed and applied to a collection of diary records from ‘Human and Memory Archive’. Proof of Concept(POC) utilizing open source softwares, Protege and Apache Jena Fuseki,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proposed 5 step framework. After establishing the LOD of record information by utilizing the open source software, the connection with external LOD through interlinking and SPARQL search has been successfully performed. In addition, archives’ considerations for LOD construction, including improvement on the quality of content information, the role of the archivist, were suggested based on the understanding obtained through the LOD construction process of records information.

14
김효윤(연수청학도서관) ; 조재인(인천대학교) 2017, Vol.34, No.1, pp.51-71 https://doi.org/10.3743/KOSIM.2017.34.1.05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과 고학년, 학부모로 구성된 어린이 도서관 이용자들 200여명이 인지하는 별치 자료간 희망 인지 거리를 다차원척도법(Multi-Dimensional Scaling: MDS)과 K-means 군집분석을 활용해 비교 분석하고 이들의 인지 거리가 실제 어린이 도서관에 어떻게 투영되어 있는지 몇 가지 사례를 통하여 검토해 보았다. 다차원척도법은 분석 대상의 유사성이나 속성 등을 평가하여 공간상에 투영시키는 기법으로 마케팅에서 주로 시장 진단을 위해 활용되지만, 제품이나 시설에 대한 이용자의 인지적 거리를 분석하여 이상적인 물리적 배치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분석 결과, 별치 자료간 인지 거리에 있어 초등학교 저학년과 고학년 그리고 학부모 집단간에 각각 차이가 나타났으며, 특히 유․아동자료와 컴퓨터자료 그리고 유아자료와 아동자료간의 인지 거리에 있어 큰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Y구의 3개 어린이도서관을 대상으로 분석된 인지 거리 체계가 어떻게 투영되어 있는지 확인해 본 결과, 특정 집단의 인지 체계에 완벽히 부합하는 공간 구조를 지닌 도서관은 존재하지 않았으나, 공통적으로 유․아동자료와 컴퓨터자료, 그리고 유아자료와 아동자료가 분리 배치되어 있다는 점에서 학부모와 초등학생들의 인지 거리가 부분적으로 투영되어 있는 것으로 검토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o measure recognition distance between the materials which are located separately in a children’s library targeting 200 elementary school lower grade students, higher grade students, and school parents(adults). And compared recognition distance between the elements of materials of individual visitor group with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K-mean group analysis. Multidimensional Scaling (MDS) is a technique for projecting the cognitive state in space by evaluating the similarity or attribute of the analysis target. Even though it is mainly used for market diagnosis in marketing, It can also be applied to present an ideal physical layout plan by analyzing the distance. As a result of analysis, the main discoveries a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gnize child, baby and computer materials should be adjacent as a same group. But recognition of adults(school parents) is reflected by differing from elementary school students vastly. They cognize that computer materials should be formed as a special group separated from child and baby’s materials. Second, elementary school higher graders and adults(school parents) groups also want to separate their main reading materials from baby’s book, therefore They both want to secure silent reading space separating from baby. Third, as a result to confirming how this recognition distance system of materials is reflected in a real children’s library through three children’s libraries in Y-gu, Incheon, there is no library with structure according perfectly with a recognition system of a particular class, but a recognition system of adults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partially reflected because baby, child and computer materials, and baby and child materials are commonly separated and placed. It is difficult to insist that a recognition system of a visitor group, especially a recognition system of children is absolute consideration conditions in material placement of a children’s library. However, understanding cognition of the user groups can be an important evidentiary factors to offer differentiated service space according to visitors and effective placement of the elements of library resources.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이용자교육의 활성화를 위하여 공공도서관 어린이 이용자교육 교수학습지도안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교수학습지도안 개발을 위해 문헌조사를 통하여 초등학교 3, 4학년을 이용자교육 대상으로 선정하고 이용자교육 내용으로 오리엔테이션 교육을 도출하였다. 교수학습지도안에 적용할 학습모형으로 학습자의 자발적이고 주체적인 교육 참여와 교수자의 역할을 구체적으로 설계할 수 있는 Jonassen의 구성주의 학습환경 모형을 선정하였다. 교수학습지도안 개발을 위해 먼저 구성주의 학습환경 모형을 분석하고 이용자교육에 적용하여 이용자교육 학습환경과 교수활동을 설계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교수학습지도안을 작성하여 유용성과 적합성 평가를 진행하였으며 평가에서 제안된 사항을 반영하여 공공도서관 어린이 이용자교육 교수학습지도안을 개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lesson plan of public library user education for children for the activation of user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lesson plan, elementary school 3rd and 4th graders were selected as user education subjects through the literature survey, and orientation were derived as contents of user education. This study developed a lesson plan that applies Jonassen’s constructivist learning environments to specifically design the librarian’s role as teacher in user education with voluntary and subjective education participation of the children. Lesson plan was evaluated in terms of usefulness and appropriateness.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저작권법의 도서관 예외규정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국내 규정의 개선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 일본, 영국, 호주, 미국의 저작권법에서 도서관 예외규정을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용자를 위한 복제물 제공, 보존을 위한 복제, 상호대차를 위한 복제, 도서관자료의 디지털화를 위한 복제 등이 대표적인 예외규정이었으나 그 세부 조건은 국가마다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저작권법의 도서관 예외규정에서 미공표저작물 및 구하기 힘든 저작물과 정기간행물에 대한 이용자용 복제의 분량 재조정, 제한된 조건하에서 이용자에게 디지털 복제물을 전송, 자체 보존용 복제가 가능한 조건 마련, 상호대차 근거규정 마련, 디지털화 대상범위 제한과 이용범위 확대 등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provisions for library exceptions in copyright laws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for the revision of provision in the Copyright Act of Korea.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provisions for library exceptions in several countries’ copyright law including Korea, Japan, UK, Australia and USA. This study found that the most common issues in library exception provisions are providing reproduction for users, reproduction for preservation, reproduction for interlibrary loan and digitization of library collections but the conditions for each issue are quite different. The suggestions for the revision of the library exceptions in the Copyright Act of Korea are as follows: changing the amount of reproduction of unpublished works, of works which cannot be obtained at a fair price and of periodicals for users, the transmitting digital reproduction to the user under limited conditions, preparing conditions for reproduction for preservation in libraries, preparing the applicable provisions for reproductions for interlibrary loans and for the limitation of works to be digitized and extending their use at the same time.

17
박서현(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 김기영(연세대학교) 2017, Vol.34, No.2, pp.115-135 https://doi.org/10.3743/KOSIM.2017.34.2.115
초록보기
초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많은 영리 및 비영리 기관들에게 서비스 제공자와 수혜자 간의 관계는 해당 기관에 대한 인식으로도 이어지기 때문에 중요성을 가진다. 이러한 관계를 통해 수혜자에게 인식되는 혜택을 관계 혜택이라고 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 이용자가 관계 혜택을 인식하는지, 관계 혜택 인식이 도서관 신뢰 및 도서관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지 설문조사를 통해 파악하고자 한다. 그 결과 공공도서관 이용자들은 관계 혜택에 대해 인식하고 있었고, 관계 혜택은 도서관 신뢰와 도서관 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본 연구는 도서관 사서와 이용자 간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으며, 앞으로 이용자들이 사서와의 관계 형성을 통해 도서관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Many for-profit and not-for-profit organizations’ service provider can affect customers’ perceptions of the organization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stomers and the organization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relational benefits in libraries,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ional benefits and library trust and perception using a questionnaire. As a result, public library customers realize relational benefits with librarians. And these relational benefits affect library trust and percep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focuses on the relationships in libraries for the first time, which can contribute to the positive perceptions of customer-librarian relations.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하여 만화도서관을 방문하는 이용자들의 행동의도를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주관적 규범, 태도, 행동통제의 계획행동이론 기본변수에 만화에 대한 호감도, 서비스품질 등의 확장변수를 추가하여 변수의 영향을 증명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만화도서관을 재이용하고자 하는 이용자의 행동의도에 태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나머지 요인들은 주관적 규범, 서비스품질, 지각된 행동통제의 순서대로 나타났다. 의외로 만화호감도의 경우 행동의도에 직접적 영향이 없었지만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를 매개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만화호감도와 서비스품질의 경우 기존변수인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에 대해 설명력을 보이고 있어 확장변수로써 행동의도에 대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omics library user’s behavioral intention using the extended theory of planned behavior.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s of variables, such extended variables as comics likeability and service factor were added to such basic variables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s subjective norm, attitude and behavioral control.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user’s attitude had the biggest effects on their behavioral intention of reuse of Comics Library, and it was followed by subjective norm, service quality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in order. Comics likeability exceptionally had no direct effects on behavioral intention, but it had indirect effects via the mediation of attitude,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second, comics likeability and service quality had power of explanation for such basic variables as attitude,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respectively, thus verifying their effects on behavioral intention as extended variables.

초록보기
초록

현재와 장래에 이용될 신뢰할 수 있는 디지털 정보를 유지하고, 가치를 부여하는 디지털 큐레이션은 전문도서관에서의 중요한 업무로 인지되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디지털정보 환경 하에서 전문도서관이 수행하고 있는 디지털 큐레이션 업무에 대한 전반적인 실태조사와 현재 전문도서관에서 수행되는 큐레이션 업무 수준 및 전문도서관 사서가 인지하는 큐레이션 업무의 중요도 정도를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먼저 디지털 큐레이션 프로세스를 대표할 수 있는 활동범주와 이에 해당되는 세부업무를 도출한 후, 이에 대한 전문도서관의 수행정도와 중요정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첫째, 전문도서관의 디지털 큐레이션 활동은 전반적으로 미흡하였고 이에 대한 중요도 인식도 그다지 높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전문도서관 사서들이 기관으로부터 지원을 받지 못하는 어려움을 겪고 있고 내부적으로는 장기적인 정책 및 업무절차를 수립하지 못하여 체계적인 디지털 큐레이션을 못하고 있으며, 셋째, 사서들은 여전히 도서관의 전통적인 업무 사이클인 정보조직-소장-이용을 중요시 여기고 이 업무들을 중심으로 하여 디지털 큐레이션 활동을 수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새로운 개념으로 새로운 실무와 기술을 익혀야 수행할 수 있는 디지털 보존에 대한 중요도 인지와 이와 관련된 기술적 역량을 확장시키는 노력이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Digital curation which maintains digital information over time and adds value becomes, nowadays, one of the important business process in the special libraries.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business practice level of the digital curation in the special libraries and the librarians’ perception on the importancy of digital curation. In results, it is found that most librarian, in general, think that the level of digital curation practice in the special libraries is insufficiency. Also, the study finds that the librarians of special libraries have difficulties in terms of the lack of willingness and funding problems as well as the lack of long-term policies and suitable business procedures; they only focus the cycle of information organization-information storage-information use among the 8 processes of digital curation; they nee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digital preservation as one of the essential process of digital curation and make effort to extend technological capacity of digital preservation.

20
김지현(이화여자대학교) ; 정은경(이화여자대학교) ; 윤정원(University of South Florida) ; 이재윤(명지대학교) 2017, Vol.34, No.1, pp.7-29 https://doi.org/10.3743/KOSIM.2017.34.1.007
초록보기
초록

학술 커뮤니티 내에서 논문의 인용은 보편적인 규범으로 자리 잡은 데 비해 데이터의 인용은 아직 초보적인 단계에 머물러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제기되고 있는 데이터 인용의 필요성 및 원칙과 가이드라인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또한 데이터 인용체계 구축 사례에서는 데이터 인용 요소들을 정의하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DataCite, Dataverse Network, Data Citation Index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한국종합사회조사 데이터 인용 분석을 통해 국내 데이터세트 인용/이용 정보 제공 실태를 조사하였다.

Abstract

Data citation remains in its infancy, although providing the citation to a journal article is a typical norm in an academic community. This study examines the need for data citation, its principles and guidelines for improving the issue. In addition, the study investigates cases that established data citation mechanism, including DataCite, Dataverse Network and Data Citation Index that define elements of data citation and provide relevant services. At the end, it explores the current state of data citation in Korea through the analysis of citations to dataset from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