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informal information, 검색결과: 37
11
김홍렬(전주대학교) 2003, Vol.20, No.4, pp.1-21 https://doi.org/10.3743/KOSIM.2003.20.4.00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국내 과학기술분야 인용정보의 형태 및 출판경과시간에 따른 인용비율과 인용나이를 분석하여 과학기술문헌의 수명을 측정하고, 국내 연구자들의 국내외 정보원의 의존도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국내 과학기술분야 가운데 대표적인 영역인 기계, 건축, 화학, 전기전자분야에 대한 학술잡지 198건의 논문기사에 인용된 2,619건의 문헌을 대상으로 정보 인용형태의 차이와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술잡지, 도서, 회의자료, 연구보고서의 순서로 많이 인용되고 있었으며, 정보의 해외의존도는 화학분야가 가장 높았다. 인용문헌의 나이분석에서 국내문헌의 약 70%이상이 출판된 지 5년 이내의 문헌이었고, 전체로는 약60% 이상이 출판된 지 10년 이내의 정보원으로 나타났다. 또한 문헌의 반감기는 기계 6.50년, 건축 5.45년, 화학 9.65년, 전기전자 5.60년으로 측정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the types of cited materials. dependence ratio of foreign information of researchers. and half-life of some cited analysis. Journal articles from four science & technology fields-mechanical, architectural, chemical, electrical-are selected, and the literatures cited by those journal articles are analysed in terms of resource types. languages, publication year of cited analysis. In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order of frequency of citation is scholarly journal, monograph, proceeding, technical report. And dependence ratio of foreign information of researchers was most higher in the chemical field. Also. it was found that half-life of mechanical is 6.50, that of architectural is 5.45, that of chemical is 9.65, that of electrical is 5.60.

초록보기
초록

정보시스템의 최근 개발 경향은 이용자 중심이다. 이 연구는 이용자 중심적 PDL을 개발할 때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실험적 모형을 제시하였다. 개념적 모형에서는 다양한 정보입수를 위한 외부시스템과의 연계 및 시스템전반에 개인의 정신모형과 함께하는 관리형태를 가질 수 있는 모형을 제시하였고, 물리적 모형에서는 연구자의 개발경험을 토대로 툴의 기능을 최대한 활용하였으며, 시스템개발에 곧 바로 적용할 수 있는 과정까지를 진행하였다.

Abstract

THe most significant part of this study is in developing an experimental model of user-friendly PDL. This study proposes both theoretical(conceptual) and physical(operational) mocels. The thepretical model includes the analysis on various factors and the relationships among factors which have a serious impacts on the design, building, and managing of PDL. And the physical model shows the detailed structure and process which could be useful for both PDL designers and managers. also provided is the images of mahor user interfaces, of which a PDL would be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basis of the proposed mocel in near future.

13
유영준(나사렛대학교) 2003, Vol.20, No.3, pp.277-297 https://doi.org/10.3743/KOSIM.2003.20.3.277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색인어가 특정 주제 영역의 지식 구조를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여기에서는 문헌정보학 관련 학술지인 정보관리학회지,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한국문헌정보학회지 등에 수록된 논문을 대상으로 국회도서관이 배정한 색인어를 클러스터링하여 문헌정보학의 지식 구조를 파악하였다.그 과정에서, 색인어간의 연관도 및 동시 출현 빈도를 이용하여 색인어 군집을 생성하였고, 초출색인어와 시기 구분에 의한 시계열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문헌정보학의 발전 과정과 그 동향을 밝혔다. 또한 색인어 군집에 의해 도출된 지식 구조와 기존의 전통적인 분류체계의 지식 구조를 비교하여 두 지식 구조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upon the premise that index terms display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a specific subject field. In this study, an attempt was made to grasp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by clustering the index terms of the journals of the related academic societies at the Library of National Assembly - such a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the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and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rough the course of the study, index term clusters were generated based on the linkage of the index terms and the frequency of co-occurrence, and moreover, time periods analysis was conducted along with studies on first-appearing terms, in order to clarify the trend and development process of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is study also analysed the difference between two intellectual structure by comparing the structure generated by index term clusters with the existing structure of traditional classification systems.

14
이준호(숭실대학교) ; 권혁성(숭실대학교) ; 박소연() 2003, Vol.20, No.2, pp.27-41 https://doi.org/10.3743/KOSIM.2003.20.2.027
초록보기
초록

이용자와 검색 서비스 시스템의 모든 검색 과정을 기록한 질의 로그는 이용자의 실제 검색 행위를 사실적으로 반영한다. 따라서, 웹 검색 이용자들의 검색 행태를 이해하기위하여 웹 검색 서비스 시스템이 생성한 질의 로그를 분석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네이버 이용자의 웹 검색 행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기존의 질의 로그 분석 방법론을 보완하여 제시한다. 또한, 본 연구는 통합 검색, 디텍토리 검색, 웹 문서 검색과 같은 다양한 검색 유형에 대하여 일주일 동안 생성된 질의 로그를 분석함으로써 네이버 웹 검색 이용자들의 전반적인 검색 행태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보다 효과적인 웹 검색 시스템 개발과 서비스 구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Query logs are online records that capture user interactions with information retrieval systems and all the search processes. Query log analysis offers an advantage of providing reasonable and unobtrusive means of collecting search information from a large number of users. In this paper, query logs of NAVER, a major Korean Internet search service,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the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of NAVER users. The query logs were collected over one week from various collections such as comprehensive search, directory search and web document search.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oul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more effective web search systems and services.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과 정보센터에서 전통적으로 제공되어진 SDI 서비스와 함께 일부 기관에서 제공하고 있는 맞춤정보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개인화 정보 서비스 시스템의 기술요소 및 전체 시스템의 구조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개인화 정보 서비스 시스템은 이용자의 개인 프로파일정보를 바탕으로 이용자의 정보탐색행태 등을 추가 입력 값으로 해서 학습과정을 거쳐 이용자에게 가장 적절한 정보를 출력 값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개인화 정보 서비스 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학습시스템과 추천시스템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요소에 대해 살펴보았다.

Abstract

With SDI service provided in libraries and information centers traditionally, this paper studies component technologies and structure of system platform in PIS (personalization information service based on the customized information service served currently in some institutions. The PIS system should provide relevant information as an output through the learning system analyzing user information searching behavior as an input value with personal profile information. To do it, this paper studies requirements and algorithms to develop PIS, and proposes learning system and recommendation system as core components in PIS.

초록보기
초록

역문헌빈도 가중치 기법은 문헌 집단에서 출현빈도가 낮을수록 색인어의 중요도가 높다는 가정에 근거하고 있다. 그런데 이는 중간빈도어를 중요하게 여기는 여타 이론과는 일치하지 않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저빈도어보다 중간빈도어가 더 중요하다는 가정에 근거하여 역문헌빈도 가중치 공식을 수정한 피벗 역문헌빈도 가중치 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기법을 검증하기 위해서 세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검색실험을 수행한 결과. 피벗 역문헌빈도 가중치기법이 역문헌빈도 가중치 기법에 비해서 특히 검색결과 상위에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e Inverse Document Frequency (IDF) weighting method is based on the hypothesis that in the document collection the lower the frequency of a term is, the more important the term is as a subject word. This well-known hypothesis is, however, somewhat questionable because some low frequency terms turn out to be insufficient subject words. This study suggests the pivoted IDF weighting method for better retrieval effectiveness, on the assumption that medium frequency terms are more important than low frequency terms. We thoroughly evaluated this method on three test collections and it showed performance improvements especially at high ranks.

17
이두영(중앙대학교) ; 윤대진(부천만화정보센터) 2003, Vol.20, No.3, pp.177-197 https://doi.org/10.3743/KOSIM.2003.20.3.177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subject and standards of evaluation on integrated IR interface. For this study, we studied the preceding research about major IR interface models. We took the survey for interface elements which were verified by experts. These interface elements are divided twe viewpoints. One is the cognitive viewpoints which are the page design, content design, site design, output form, usability and aesthelic facet. The other is the objective viewpoints which are page design, dontent design, site design, output for and usability. We found that these evaluation elements have a crediblilty. [ 더 많은 내용 보기 ]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ISA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해서 국가별 즉, 한국과 일본의 문헌정보학 연구자들의 연구동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세계적인 데이터뱅크인 DIALOG에서 운영하는 문헌정보학분야의 대표적인 데이터베이스인, ISA 데이터베이스에 수록된 논문을 대상으로 다각적인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또한 ISA 데이터베이스에 수록된 문헌에서 인용한 문헌을 형태별 / 연도별 및 국내외별로 분석함으로써 한국과 일본의 문헌정보학 연구자들의 인용형태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문헌정보학의 국제화 및 우리 학문의 연구방향을 제시 할 것으로 본다.

Abstract

This study is to examine into the research pattern of the each country then, Korea and Japan's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researchers through the ISA database, to analyze the thesis in various aspects which is included in ISA database. It analyzed such as leading authors production, subjects, journals etc. In addition, the study is to analyze the form of citation of Korea and Japan's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researchers by studying the citation written in the thesis of the internationalization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nd indicate the direction of our study in the future.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웹기반 정보검색시스템을 사용함에 있어 이용자 편의성을 최적화할 수 있는 검색 인터페이스 표준 용어를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국립중앙도서관을 비롯하여 주요 전문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기관의 웹페이지를 조사.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에 근거하여 웹기반 정보검색시스템에서 사용자 오류와 혼란을 최소화하고 검색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표준 용어를 제안하였다. 제안의 기준은 해당 용어의 사용빈도와 의미를 활용하였다. 분석은 검색관련 기본 모듈을 비롯하여 검색범위설정 모듈, 이용자 지원 모듈에서 사용된 용어 가운대 최소 50%이상의 기관에서 제공하는 기능에 존재하는 용어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웹 기반 검색화면 설계 및 구축 전문가에게 검색 관련 용어선정을 위한 표준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Abstract

This research suggesrs the method of standardizing terms for raising the dffectiveness of information retrival. Especiallly for web search, I propose the proper terms which they will use in retriveal by surveying and analysing the related terms abour information retrieval interface. The proper terms will solve the eqyivocaiton for user and increase the retrieval effectiveness. And I think the proposed terms will be used to standard data for designers who are construct the user interface systems.

초록보기
초록

우리나라 대학도서관에서는 디지털 패러다임에 적합한 디지털 정보자원을 구축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디지털 보존에 힘써왔지만, 아직까지 본격적으로 연구되고 논의되지 않고 있다. 디지털 보존은 인쇄매체 보존 방법과 상이하게 다르므로 디지털 정보자원의 안정성과 기능성을 최대한 확보, 유지할 수 있도록 보존전략을 강구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대표적인 디지털 정보자원의 보존기술인 매체재생, 매체변환, 포맷변환, 정보전환, 에뮬레이션 기술의 대학도서관에서의 사용정도와 대학도서관의 디지털 정보관리 담당자들이 생각하는 각각의 보존 기술에 대한 위험가능성과 위험영향력을 조사하여 위험관리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가장 빈번히 사용하되 있는 기법은 포맷변환이고 전혀 사용하지 않고 있는 기법은 에뮬레이션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위험이 발생할 확률과 데이터 손실 영향력이 가장 낮은 방법은 매체재생인 것으로 판명되었고 가장 높은 것은 에뮬레이션 기법과 정보전환으로 나타났고 사서들은 디지털 보존활동을 전문적으로 수행할 전담 담당자가 없는 경우 위험발생 확률이 제일 높을 것으로 보았다.

Abstract

University libraries have developed digital information resources for digital services and have tried to preserve valuable digital information. Because digital preservation raises challenges of a fundamentally different nature which we added to the problems to preserving traditional format materials, it is necessary that preserving digital resources must be discussed and researched actively. This study conducts risk management for exploring preserving technologies and assessing tools. It is found that most university libraries have used format conversion frequently and do not use the emulation technology. It is also found that medium refreshing has the lowest risk probability and isk impact, but information migration and emulation technology have the highest in the risk probability and in the risk impact individually and the absence of full-time professional staff causes high risk.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