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knowledge-base, 검색결과: 91
초록보기
초록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학술 정보의 양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였고 방대한 양의 텍스트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자동화된 텍스트 처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생의학 문헌에서 생물학적 의미와 치료 효과 등에 대한 정보를 발견해내는 바이오 텍스트 마이닝은 문헌 내의 각 개념들 간의 유의미한 연관성을 발견하여 의학 영역에서 상당한 시간과 비용을 줄여준다. 문헌 기반 발견 연구로 새로운 생의학적 가설들이 발견되었지만 기존의 연구들은 반자동화된 기법으로 전문가의 개입이 필수적이며 원인과 결과의 한가지의 관계만을 밝히는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간 개념인 B를 다수준으로 확장하여 다양한 관계성을 동시출현 개체와 동사 추출을 통해 확인한다. 그래프 기반의 경로 추론을 통해 각 노드 사이의 관계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규명할 수 있었으며 새로운 방법론적 시도를 통해 기존에 밝혀지지 않았던 새로운 가설 제시의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다.

Abstract

Due to the recent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the amount of research publications has increased exponentially. In response to this rapid growth, the demand of automated text processing methods has risen to deal with massive amount of text data. Biomedical text mining discovering hidden biological meanings and treatments from biomedical literatures becomes a pivotal methodology and it helps medical disciplines reduce the time and cost. Many researchers have conducted literature-based discovery studies to generate new hypotheses. However, existing approaches either require intensive manual process of during the procedures or a semi-automatic procedure to find and select biomedical entities. In addition, they had limitations of showing one dimension that is, the cause-and-effect relationship between two concepts. Thus, this study proposed a novel approach to discover various relationships among source and target concepts and their intermediate concepts by expanding intermediate concepts to multi-levels. This study provided distinct perspectives for literature-based discovery by not only discovering the meaningful relationship among concepts in biomedical literature through graph-based path interference but also being able to generate feasible new hypotheses.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기록이 지식경영의 주요 자원임을 밝히고 기록관리의 기법이 통합적 KMS 구축에 활용될 수 있음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며, 또한 이러한 분석을 근거로 기록관리를 반영한 지식관리시스템 구축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지식자원으로서 기록의 가치를 파악하기 위해 우선 기록의 개념과 구조를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Upward(1996)의 기록관리 개념을 지식관리 개념으로 치환하여 지식으로서의 기록의 가치를 적극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기록의 계층성을 분석하여 기록이 지식으로 전이될 때 고려해야 할 핵심적 측면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기록관리에 기반한 지식관리시스템을 구축할 때 고려해야 할 원칙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records' as core resources for knowledge management and to suggests the directions for developing integrated knowledge management systems based records management. This present paper begins with analyzing concept and structure of records in light of knowledge management, and identify the importance of records management in developing knowledge management systems by substituting evidence axis in Upward's “Records Continuum Model" for knowledge management. And this study tries to identify critical aspects regarding transfer of records to knowledge system by analyzing the level of records. Based on these analyses, it suggests a directions for developing records based-knowledge management systems.

13
이현실(원광대학교) ; 이두영(중앙대학교) 2003, Vol.20, No.1, pp.341-371 https://doi.org/10.3743/KOSIM.2003.20.1.341
초록보기
초록

본연구는 한의학 처방 지식관리시스템 설계에 요구되는 사항들이 온톨로지의 추상적 개념구조를 기반으로 용어의 개념, 속성, 관계의 명확한 정의를 통해 더욱 합리적이고 효과적으로 실현된다는 것을 전제로 하였다. 이에 따라 실세계 개념 모델링 방식으로 한의학 처방지식 온톨로지를 개발하여 peotege-2000을 기반으로 온톨로지 시스템을 구축하였고, 시스템을 응용할 수 있는 마크업 언어의 설계와 편집기를 만들어 지식의 추론이 가능한 한의학 처방 지식관리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현한 시스템은 XML 기반의 RDF와 온톨로지 기술에 기반을 두고 있으므로 차세대 인터넷 기술인 의미웹광의 연동이 가능하다.

Abstract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knowledge structures of science and technology disciplines using a cocitation analysis of journal subject categories with the publication data of a science & technology oriented university in Korea. References cited in the articles published by the faculty of the university were analyzed to produce MDS maps and network centralities. For the whole university research domain, six clusters were created including clusters of Biology related subjects, Medicine related subjects, Chemistry plus Engineering subjects, and multidisciplinary sciences plus other subjects of multidisciplinary nature. It was found that subjects of multidisciplinary nature and Biology related subjects function as central nodes in knowledge communication network in science and technology. Same analysis procedure was applied to two natural science disciplines and another two engineering disciplines to present knowledge structures of the departmental research domains.

15
양명석(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강남규(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김윤정(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최광남(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김영국(충남대학교) 2012, Vol.29, No.4, pp.123-142 https://doi.org/10.3743/KOSIM.2012.29.4.123
초록보기
초록

최근 효과적인 정보검색을 제공하기 위해 시맨틱 웹을 비롯한 다양한 검색기법들을 사용하고 있다. 이중에서 효과적인 방법은 온톨로지를 이용한 검색기술을 적용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TIS)에서 구축한 국가R&D정보를 분석하여 온톨로지를 구축하고, 이용자가 관심있어 하는 주제분야(과제, 인물, 성과, 기관)를 중심으로 온톨로지의 객체관계를 표현하고 정보를 탐색하기 위한 국가R&D지식맵(knowledge map)을 구축하였다. 국가R&D지식맵은 사용자가 선택한 객체를 중심노드로 설정하여, 주제분야를 노드로 표현하고, 객체와 주제분야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관심 있어 하는 질의를 주제분야의 하위노드로 표현하였다. 사용자가 하위노드의 질의를 선택하면 시스템에서는 선택한 질의를 온톨로지로부터 추론할 수 있는 SPAQL 질의어를 생성하고 추론엔진으로부터 검색결과를 받아 사용자에게 제시하였다.

Abstract

To develop an intelligent search engine to help users retrieve information effectively, various methods, such as Semantic Web, have been used, An effective retrieval method of such methods uses ontology technology. In this paper, we built National R&D ontology after analyzing National R&D Information in NTIS and then implemented National R&D Knowledge Map to represent and retrieve inform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object and subject (project, human information, organization, research result) in R&D Ontology. In the National R&D Knowledge Map, center-node is the object selected by users, node is subject, subject's sub-node is user's favorite query in National R&D ontology after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object and subject. When a user selects sub-node, the system displays the results from inference engine after making query by SPARQL in National R&D ontology.

초록보기
초록

21세기 무한경쟁의 시대에 지식을 창조, 획득하고 관리하는 자만이 살아남을 수 있다. 즉 모든 지식정보자원을 디지털화한 디지털지식콘텐츠를 누가 많이 확보하느냐에 달려있다고 할 것이다. 여기에서 핵심적인 미래산업이 될 디지털콘텐츠 산업발전 조성과 그 경쟁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디지털콘텐츠관리와 유통 프레임워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문적 연구와 현장조사를 토대로 디지털콘텐츠 프레임워크와 혁신확산을 기반으로한 지식콘텐츠 의사결정과 단계적 모델, 지식관리매트릭스와 지식관리지수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bstract

The 21st century survive only who creating, taking, and managing to knowledge. Digital contents industry becomes to the core in the future. That is, to win in a competition have to the digitalizing knowledge contents to all knowledge and information resources. Therefore, it needs to the digital contents management and the distribution framework.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model stages in the knowledge contents-decision process, KM Matrix, and KMI Score founded on digital contents framework and diffusion of innovation.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With the purpose of enriching existing catalogues with FRBR, which is the Functional Requirements for Bibliographic Records, in mind, this paper aims to evaluate the impact of bibliographic ontology on the overall system’s performance in the field of literature. In doing this, OCLC’s FictionFinder (http://fictionfinder.oclc.org) was selected and qualitatively evaluated. In this study 40 university seniors evaluated the following three aspects using the ‘transferring thoughts onto paper method’: 1) In which ways is this FRBR-aware bibliographical ontology helpful? 2) Are the things which are initially attempted to be helped being helped? 3) Would users seeking one work in particular also see all other related works? In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that, as Cutter claimed in his 2nd rule of the library, collocations give added-value to the users and overall ontology provides better interface and usefulness. It also revealed that a system’s evaluation with qualitative methodology helped to build full pictures of the system and to grip the information needs of the users when the system is developed. Qualitative evaluations, therefore, could be used as indicators for the evaluation of any information retrieval systems.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1) 소설 속 지명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하고, 2) 확장 가능한 지명 DB를 위해 자동으로 지명을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며, 3) 데이터베이스 내의 소설지명과 용례를 검색하고 시각화하는 파일럿시스템을 구현하는 데 있다. 특히, 학습자료(training)에 해당하는 말뭉치(corpus)를 확보하기 어려운, 소설지명과 같이 현재 잘 쓰이지 않는 개체명을 자동으로 추출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문제이다. 효과적인 지명 정보 추출용 학습자료 말뭉치 확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이미 수작업으로 구축된 웹 지식(어휘사전)을 활용하여 학습에 필요한 충분한 양의 학습말뭉치를 확보하는 방안을 적용하였다. 이렇게 확보된 학습용 코퍼스와 학습된 자동추출 모듈을 가지고, 새로운 지명 용례를 찾아 추가하는 지명 데이터베이스 확장 도구를 만들었으며, 소설지명을 지도 위에 시각화하는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또한, 시범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실험적으로 그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끝으로, 현재 시스템의 보완점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design a semi-automatic web-based pilot system 1) to build a Korean novel geo-name, 2) to update the database using automatic geo-name extraction for a scalable database, and 3) to retrieve/visualize the usage of an old geo-name on the map. In particular, the problem of extracting novel geo-names, which are currently obsolete, is difficult to solve because obtaining a corpus used for training dataset is burden. To build a corpus for training data, an admin tool, HTML crawler and parser in Python, crawled geo-names and usages from a vocabulary dictionary for Korean New Novel enough to train a named entity tagger for extracting even novel geo-names not shown up in a training corpus. By means of a training corpus and an automatic extraction tool, the geo-name database was made scalable. In addition, the system can visualize the geo-name on the map. The work of study also designed, implemented the prototype and empirically verified the validity of the pilot system. Lastly, items to be improved have also been addressed.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e knowledge sharing in a knowledge management process is much affecting generation and distribution of knowledge. Especially, the knowledge distribution is being revitalized with the center of social media service like twitter and library service 2.0 in the knowledge-based IT (Information Technology) environment. The present research analyzed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a social network inside an organization that is growing like an organism through self-organization through tools for SNA (Social Network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1) a relationship between social network's structure and knowledge sharing, 2) a relationship between structural holes and knowledge sharing influence of centrality, 3) a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ability and knowledge sharing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work recognition.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중앙행정기관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한 실증분석을 통해 평가 및 보상이 지식관리 활동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하고, 지식관리 활성화를 위한 평가 및 보상체계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공분산구조분석결과, 평가는 보상과 지식창출 활동에 유의미한 영향요인으로 검증된 반면, 지식공유에 대해서는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상은 지식공유에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식창출 활동은 지식공유 활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지식관리 활동에 대한 평가 및 보상체계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appraisal and reward on the activities of knowledge management and to search the strategies for effective appraisal and reward system to activate the knowledge management. The results of covariance structural analyses indicate that appraisal has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reward and knowledge creation as well as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knowledge sharing via reward and knowledge creation. Reward has a significant direct influence on knowledge sharing. Knowledge creation also significantly affects knowledge sharing. Based on the results, the potential implications of effective appraisal and reward system to activate the knowledge management are discussed.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