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Use of Libraries, 검색결과: 307
241
이강산다정(중앙대학교) 2015, Vol.32, No.3, pp.155-182 https://doi.org/10.3743/KOSIM.2015.32.3.155
초록보기
초록

본 논문은 현대목록법의 기초를 세운 Seymour Lubetzky의 생애 및 저술분석을 통하여 도서관 사상 및 목록법 이론을 도출하였다. 문헌조사와 역사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시대적인 사회적, 사상적, 문화적 배경을 조사하였다. 국내․외 단편적인 연구결과를 토대로 종합적인 연구를 지향하였으며, Lubetzky의 목록법 사상의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그리하여 Lubetzky의 도서관 및 목록법 사상을 도출하였다. Lubetzky의 목록법 이론은 목록원칙의 설계 및 서지적 관계 정립이다. 먼저 기술목록법의 원칙은 필요성, 단순성, 통일성, 일관성, 목적성, 상호연관성의 특성을 포함해야 하며, 목록의 목적을 명시해야 한다. 서지적 관계는 지적 생산물인 저작과 구체적인 실체인 저서로 구분하는 것을 토대로 형성되었다. 또한 기본저록을 저자명 기준으로 기입하여 저작의 집중을 도모하였고, 저자명에 단체명과 무저자명을 포함시켜 저자의 개념을 확장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came up a library thought and the theory of cataloging through analyzing the life and writings of Seymour Lubetzky who founded the principals of cataloging in the twentieth centur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historical social, ideological, and cultural context, using a literature survey and the methodology of historical research. Moreover, this study aimed a comprehensive research based on the results of domestic and foreign fragmentary studies, and analyzed the effects of Lubetzky’s thought of cataloging. Thus, this study found Lubetzky’s library and cataloging thought. The theory of cataloging that analyzes the above findings is the design of cataloging rules and a bibliographical relationship establishment. First of all, the principles of descriptive cataloging should contain the necessity, simplicity, unity, consistency, finali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interrelations, and clarify the purpose of cataloging. The bibliographical relationship is built on dividing a work as an intellectual product into a book as a physical substance. Moreover, a basic entry is entered on the basis of author names for planning the concentration of works, and a corporate name and an anonym are contained in the author names for extending the concept of author.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표적인 정보학분야 학회지인 『정보관리학회지』에 25년 동안에 발표된 학술논문을 대상으로 동향분석을 시도하여 각 시기별 우리나라 정보학분야의 학문적 구조와 그 변화를 파악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25년을 1984-1994, 1995-2002, 2003-2009로 나눈 다음, 각 기간별 『정보관리학회지』에 실린 학술논문의 주제를 분석한 후 각 논문의 주제분포, 주제영역별 논문의 증감, 주제영역별 연도 분포를 살펴보았다. 또한 논문의 표제어를 이용하여 기간별 정보학의 지적 구조를 생성하였고 세 개의 지적 구조를 비교하여 정보학 연구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정보관리학회지』 연구의 주요 대주제 영역은 ‘정보서비스’, ‘정보조직’ 그리고 ‘정보시스템’이며 소주제 영역은 도서관서비스, 이용자연구, 자동문헌처리, 도서관통합시스템, 시소러스/온톨로지, 디지털도서관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표제어의 지적 구조를 분석한 결과, 정보학의 핵심영역은 여전히 정보검색이지만 각종 도서관이나 시스템에 활용된 정보기술 기법이나 서비스 평가에 대한 연구가 점점 늘어나고 이에 대한 주제영역이 확장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provide a global overview of research trends in information science and to trace its changes in the main research topics over time using trends analysis. The study examined the topics of research articles published i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between 1984 and 2009. Rather than taking a single snapshot of a given point in time, this study attempted to present a series of such pictures in order to identify trends over time. The fairly arbitrary decision was taken to divide the period under consideration into three ‘publication windows’: 1984-1994, 1995-2002, 2003-2009. The study revealed that the most productive areas were ‘Information Service’, followed by ‘Information Organization’, and ‘Information System’. The most productive sub-areas were ‘Library Service’, ‘User Study’, ‘Automatic Document Analysis’, ‘ILS’, ‘Thesaurus/Ontology’, and ‘Digital Library’. From the comparisons of intellectual structures of title keywords, the key research area in the field of Information Science was ‘Information Retrieval’. The studies of IT applications and service system evaluation have been expanded.

초록보기
초록

대학도서관에서 제공하고 있는 디지털참고봉사의 현황을 이해하기 위하여 전국적인 조사를 수행하여 분석하였다. 2003년 7월 8일부터 7월 22일까지 직접 접속을 통한 관찰과 질문응답 기록을 통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우리나라 4년제 대학 중 171개 도서관이 디지털참고봉사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접근수준, 명칭, 서비스방식, 웹폼, 서비스정책 등 디지털참고봉사 제공 관련 특성과 이용량, 응답비율, 질문유형 등 이용관련 특성을 분석하였다. 현황과 문제점이 식별되고, 도서관 서비스로 확립되기 위한 제언이 이루어졌다.

Abstract

To understand current state of the digital reference services in Korean academic libraries, a comprehensive examination and analysis was performed. Data was collected from July 8. 2003 to July 22. 2003, through direct site examination and recording the question and answer transcripts. The analysis focused on the provision characteristics and use of the digital reference services. Results revealed interesting findings and related problems. Suggestions for future development are provided.

초록보기
초록

정보기술과 인터넷의 발전에 따른 정보의 폭발적인 증가로 인하여 정보과잉에 따른 적절한 정보의 선택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를 위하여 이용자가 정보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검색 또는 여과하는 일을 수행하기 위하여 정보검색 및 정보여과 시스템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러한 일련의 정보환경의 변화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대응방법으로서 도서관 및 정보센터에서는 이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서 이용자에게 맞춤화된 정보 추천서비스 제공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 및 정보센터에서 적극적인 정보서비스를 위한 방법으로 이용자에게 맞춤화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개인화 추천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존의 추천방법에 대한 장단점을 분석하고 기존 추천방법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대용량 콘텐츠 및 이용자 환경에서 이용자의 콘텐츠 이용빈도를 기준으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위한 개인화된 하이브리드 추천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용빈도에 있어서 상위 이용자 및 콘텐츠를 분리하고 적절한 추천방법에 적용하기 위한 새로운 형태의 추천방법 및 대용량 추천시스템에 적합한 연관규칙과 협업여과방법에 대한 조합방법을 제안하였다.

Abstract

Recent advancements in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 Internet have caused an explosive increase in the information available and the means to distribute it. However, such information overflow has made the efficient and accurate search of information a difficulty for most users. To solve this problem, an information retrieval and filtering system was developed as an important tool for users. Libraries and information centers have been in the forefront to provide customized services to satisfy the user's information needs under the changing information environment of toda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efficient information service for libraries and information centers to provide a personalized recommendation system to the user. The proposed method overcomes the weaknesses of existing systems, by providing a personalized hybrid recommendation method for multimedia contents that works in a large-scaled data and user environment. The system based on the proposed hybrid method uses an effective framework to combine Association Rule with Collaborative Filtering Method.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국내 문헌정보학 분야 연구자가 인용한 해외 학술지 논문의 OA 접근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정보관리학회지에 인용된 해외 학술지 논문 1,543편을 수집하였고 해외 학술지의 OA 정책과 OA 정책상 OA로 공개가 가능한 논문 현황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OA finder(Google Scholar, Unpaywall, OA Button)들을 활용하여 실제로 온라인에서 어느 정도까지 접근이 가능한지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해외 학술지들은 대부분 그린 OA 정책을 채택하고 있었다. 그리고 해외 학술지 논문의 95.4%에 해당하는 1,476편의 논문이 정책상 OA로 공개가 가능하였다. 이에 OA로 공개가 가능한 논문들에 대해 OA finder들을 활용하여 접근가능여부를 파악한 결과, Google Scholar가 68%로 가장 높은 OA 접근성을 보였고 Unpaywall과 OA Button은 각각 39%와 36%의 비슷한 OA 접근성을 보였다. 그리고 이들 OA finder들을 조합할 경우 최대 72%까지 OA 접근성이 상승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possibility of OA to international journal articles cited by researchers of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field in Korea. For this, the international journal articless cited to the articles (1,543)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were collected, and the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regarding the OA policy of the international journals and the status of journals that can be open to the public through the OA according to the OA policy.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d the actual accessibility by utilizing the OA finders (Google Scholar, Unpaywall, OA Button). The analysis result indicated that the majority of the international journals were using the green OA policy. Also, 1,476 journal articles which is 95.4% of the total international journal articles were allowed to be accessed officially with the OA. The results of reviewing the actual accessibility rate of the journal articles open to the public through the use of the OA finders indicated that accessibility was up to 68% when using Google Scholar, and the maximum accessibility rate was 72% when mixing the OA finders. Among the OA finders, Google Scholar had the greatest OA accessibility rate, but it was desirable to mix the OA finders in order to expand the OA accessibility rate to the maximum level.

246
곽지영곽지영(법원도서관 사서) 2023, Vol.40, No.3, pp.143-162 https://doi.org/10.3743/KOSIM.2023.40.3.14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법원도서관 법마루 도서대출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용자 대출 패턴을 파악하고 분석 결과를 향후 이용자 서비스에 반영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2022년 법마루의 소장 도서는 212,608권이었으며, 법률서가 73%를 차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실제 대출은 일반서가 83%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주제별 이용계수를 살펴보면 문학 분야가 5.85로 가장 활발히 이용되고 있었고 법학 분야가 0.23으로 가장 저조하게 이용되고 있었다. 상호대차의 경우, KERIS 가입 회원기관과 대한변호사협회 모두 제법 분야, 민법 분야, 사법소송절차 분야 순으로 대출 비율이 높았다. 다만, 법학계인 KERIS 가입 회원기관이 실무계인 대한변호사협회에 비해 더 다양한 주제 분야의 법률서를 대출하고 있었다. 법률정보의 접근권 향상을 위해 법마루 대국민 대출서비스를 시행했지만 실제로는 열람 공간의 이용이 높았고, 대출 역시 일반서의 비중이 월등히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법마루 대출 서비스 홍보 강화 및 개인화 서비스 제공, 도서대출 규정 정비 온라인서비스 강화 및 협력네트워크 구축 등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Beopmaru, Supreme Court Library of Korea, circulation data to identify user lending patterns and proposed a plan to reflect the analysis results in future user services. In 2022, Beopmaru's collection of books was 212,608, with law books accounting for 73%. However, general books accounted for 83% of actual circulation. Looking at the usage coefficient by topic, the literature field was the most actively used at 5.85, and the law field was the least used at 0.23. In the case of interlibrary loan, both KERIS member institutions and the Korean Bar Association had the highest loan ratios in the legal field, civil law field, and judicial litigation procedure field, in that order. However, member institutions affiliated with KERIS, a legal academic community, were lending law books on a wider range of subject areas than the Korean Bar Association, a practical organization. To improve access to legal information, the Beopmaru public service was implemented, but in reality, the use of reading space was high, and the proportion of general books loaned was much higher. In order to improve this, it seem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promotion of Beopmaru loan services, provide personalized services, improve book lending regulations, strengthen online services, and establish a cooperative network.

247
감미아(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이지연(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2023, Vol.40, No.1, pp.121-148 https://doi.org/10.3743/KOSIM.2023.40.1.12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우수한 성능의 메타데이터 속성 유사도 기반의 학술 문헌추천시스템’을 제안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조직에서 다루는 메타데이터의 활용과 계량정보학에서 다루고 있는 동시인용, 저자-서지결합법, 동시출현 빈도, 코사인 유사도의 개념을 활용한 문헌정보학 기반의 학술 문헌 추천기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실험을 위해 수집한 ‘불평등’, ‘격차’ 관련 총 9,643개의 논문 메타데이터를 정제하여 코사인 유사도를 활용한 저자, 키워드, 제목 속성 간의 상대적 좌표 수치를 도출하였고, 성능 좋은 가중치 조건 및 차원의 수를 선정하기 위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를 제시하여 이용자의 평가를 거쳤으며, 이를 이용해 기준노드와 추천조합 특성 분석 및 컨조인트 분석, 결과 비교 분석을 수행하여 연구질문 중심의 논의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전반적으로는 저자 관련 속성을 제한 조합 혹은 제목 관련 속성만 사용하는 경우 성능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기법을 활용하고 광범위한 표본의 확보를 이룬다면, 향후 정보서비스의 문헌 추천 분야뿐 아니라 사회의 다양한 분야에 대한 추천기법 성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scholarly paper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metadata attribute similarity with excellent performance. This study suggests a scholarly paper recommendation method that combines techniques from two sub-field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namely metadata use in Information Organization and co-citation analysis, author bibliographic coupling, co-occurrence frequency, and cosine similarity in Bibliometrics. To conduct experiments, a total of 9,643 paper metadata related to “inequality” and “divide” were collected and refined to derive relative coordinate values between author, keyword, and title attributes using cosine similarity. The study then conducted experiments to select weight conditions and dimension numbers that resulted in a good performance. The results were presented and evaluated by users, and based on this, the study conducted discussions centered on the research questions through reference node and recommendation combination characteristic analysis, conjoint analysis, and results from comparative analysis. Overall, the study showed that the performance was excellent when author-related attributes wer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title-related attributes. If the technique proposed in this study is utilized and a wide range of samples are secured, it could help improve the performance of recommendation techniques not only in the field of literature recommendation in information services but also in various other fields in society.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As IT technology develops rapidly and the personal dissemination of smart devices increases, video material is especially used as a medium of information transmission among audiovisual materials. Video as an information service content has become an indispensable element, and it has been used in various ways such as unidirectional delivery through TV, interactive service through the Internet, and audiovisual library borrowing. Especially, in the Internet environment, the information provider tries to reduce the effort and cost for the processing of the provided information in view of the video service through the smart device. In addition, users want to utilize only the desired parts because of the burden on excessive network usage, time and space constrai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e usability of the video by automatically classifying, summarizing, and indexing similar parts of the contents.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of automatically segmenting the shots that make up videos by analyzing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language education videos and indexing the detailed contents information of the linguistic videos by combining visual features. The accuracy of the semantic based shot segmentation is high, and it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the summary service of language education videos.

초록보기
초록

본고는 학교도서관에서 사서교사가 실시하는 협동수업의 효과적인 수행을 위한 연구에 초점이 있다. 협동수업은 학교도서관을 활용하여 일반 교과 (국어, 영어. 사회, 과학, 국사 등)의 수업을 교과 교사와 사서교사가 협동으로 실시하는 수업이다. 본고는 학교 교육의 중심축인 교육 과정과 교과 수업을 위한 기반 이론인 교수설계 이론 등을 바탕으로 한 협동수업의 모형 개발과 실천 방법을 이론-모형-지원에 의한 3단계로 제시한다.

Abstract

This thesis has a research focus in effectively Practicing cooperative instruction where teacher-librarians play a role. The cooperative Instruction means to practice cooperatively with the subject teachers and teacher-librarians, in teaching subject matters(Korean, English, Social studies. Science, History, and so forth), using the school library. This thesis presents three steps by theory-model-support for a practice method through developing a cooperative instruction model. This is based on curriculum which is an axis of school education and an instructional design theory which is a base theory for subject matters

250
최흥식(전주대학교) ; 유평수(전주대학교) ; 정세민(전주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2015, Vol.32, No.2, pp.105-129 https://doi.org/10.3743/KOSIM.2015.32.2.10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도서관사서의 임파워먼트와 조직헌신성이 조직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도서관사서의 임파워먼트, 헌신성, 조직효과가 사서의 연령과 결혼여부 및 현 도서관 경력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고찰하였으며, 세 변인 간의 상관관계 및 사서의 임파워먼트와 헌신성이 조직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전라북도의 공공도서관 6곳과 대학도서관 4곳을 모집단으로 하여 비확률적 표집(nonprobability sampling) 방법의 하나인 목적표집(purposeful sampling) 방법으로 표집하였으며, 총 148명의 설문을 통계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SPSS pc+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통계분석 방법은 일원변량분석, Pearson의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와 논의를 토대로 얻어진 결론은 첫째, 도서관사서의 임파워먼트 수준과 조직효과는 연령별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조직헌신성은 차이가 없다. 둘째, 도서관사서의 임파워먼트 수준은 결혼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조직헌신성과 조직효과는 차이가 없다. 셋째, 도서관사서의 임파워먼트 수준은 경력별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조직헌신성과 조직효과는 차이가 없다. 넷째, 변인들 간의 상관에서 가장 높은 상관은 영향력과 임파워먼트 전체, 역량성과 임파워먼트 전체, 자기결정력과 임파워먼트 전체의 순으로 높다. 다섯째, 임파워먼트는 9.3%의 설명력, 헌신성은 5.6%의 설명력을 조직효과에 가지고 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librarian’s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librar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48 librarians of 10 libraries in Jeollabuk-do in accordance to purposeful sampling of nonprobability sampling. The statistics program that was used to achieve the purpose was SPSS pc+ 20.0. The statistics methods were used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test. The following conclusion were drawn from the research procedures and data analysis. First, the librarian’s empowerment level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make a difference by age level. But the librarian’s organizational commitment make no difference by age level. Second, the librarian’s empowerment level make a difference by marital status. But the librarian’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effectiveness make no difference by marital status. Third, the librarian’s empowerment level make a difference by career in present librarian. But the librarian’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effectiveness make no difference by career in present librarian. Fourth, Very a high correlation is influence factor and all of the empowerment, competence factor, and all of the empowerment. Fifth,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s affected 9.3% by librarian’s empowerment, 5.6% by librarian’s organizational commitment.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