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libraries, 검색결과: 588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lect the evaluation criteria for the physical spaces of a children's library in an effort to back up children's development in a more positive and constructive manner, as the physical spaces of a children's library are likely to affect their development. Theories of children's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were reviewed, and user benefit criteria were analyzed, which were the basis of the spatial conditions to facilitate their development in consideration of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stages and domains. And then conceptual words that corresponded to the concept of benefit and commonly appeared in earlier studies of children's libraries and children's spaces were selected to embody the concept of benefit. 12 conceptual words were presented as corresponding words of benefit, out of which the majority were selected from among the previously selected words and some were added by this researcher. Several libraries were reviewed by the 12 standards, and a spatial criteria checklist for a children's library that focused on benefits provided to growing children was provided.

272
노영희(건국대학교) ; 안인자(동원대학교) 2009, Vol.26, No.4, pp.147-168 https://doi.org/10.3743/KOSIM.2009.26.4.147
초록보기
초록

도서관계의 상황을 보면 대학도서관, 공공도서관, 전문도서관, 학교도서관 등 매우 다양한 유형의 도서관이 있고, 국가적인 차원 및 상업적인 차원의 정보유통기관이 있으며, 또 이를 지원하는 기관들 즉, 도서관자동화업체, 도서관관련 비품업체, 도서관관련 아웃소싱업체, 각종 데이터베이스 구축업체가 있다. 이러한 상황을 볼 때 문헌정보학을 전공한 사람들의 경력경로는 매우 다양해 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사서인력의 유동성 및 경력이동률은 매우 높을 것이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도서관계의 특성 및 직업적 특성을 감안하여 사서인력의 유동성 실태나 이직률과 이직의 원인 등을 규명하는 연구는 거의 없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한 기초연구로 사서인력의 경력이동 및 경력개발 현황에 대해서 조사하고자 하였다. 사서의 경력개발 과정 분석을 통해 도서관계 및 관련분야에서 근무하고 있는 사람들의 직장이동 경로, 경력개발을 위한 노력, 경력이동 요인 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Abstract

Professions with librarianship can be found in various fields. It includes all different kinds of libraries, including academic, public, special, and school libraries. Moreover, there are national and commercial information distribution bodies, and other bodies supporting the national body such as library automation companies, library supply companies, and library outsourcing companies. Careers of those who have studied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could be developed in all these fields. High flexibility and labour turnover can be expected due to the wide range of career fields. Nevertheless, there have been very little studies reflecting the reasons of high level of turnovers and flexibility in librarian workforce. Therefore, this paper invastigates career movement and development of librarian as a foundation stone of further researches. It also analyzes career development process of librarians, including career paths of those working in libraries and other related areas, their efforts for career development, factors influencing their career movements.

273
구중억(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 이응봉(충남대학교) 2006, Vol.23, No.3, pp.49-68 https://doi.org/10.3743/KOSIM.2006.23.3.049
초록보기
초록

도서관 이용자에게 장애가 없는 정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OPAC의 접근성, 사용성 및 검색성을 향상시키고, 도서의 검색, 식별 및 브라우징의 도구로써 ISBN의 활용가치를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북마크릿은 웹브라우저의 ‘즐겨찾기에 추가’ 또는 ‘툴바’에 드래그하여 저장할 수 있는 작은 크기의 자바스크립트이다. 그리고 오픈소스인 북마크릿은 웹페이지에서 ISBN을 추출한 다음, 해당 ISBN으로 도서관의 OPAC에서 도서를 검색할 수 있는 간단하지만 강력한 검색도구이다. 해외의 도서관 시스템 벤더, 도서관, OCLC 등은 이용자가 온라인서점의 웹페이지를 살펴보면서 동시에 도서관의 소장 및 대출 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색할 수 있는 북마크릿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외에서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는 네 가지 유형의 북마크릿에 대한 적용사례 분석을 통해 북마크릿의 특징과 장단점을 정리하였다. 이를 통해서 북마크릿의 기본요건과 적용모델을 도출하고, 국내 도서관의 OPAC과 온라인서점에서 북마크릿을 활용한 Library Lookup 서비스 제공방안을 제안하였다.

Abstract

It is required to enhance the value of ISBN as a tool for book search, identification, and browsing, and improve the accessability and search capability of library OPAC. Bookmarklet is a small size javascript which can be saved as URL in a web browser bookmark or web page hyperlink. Open source bookmarklet can extract ISBN from web pages and search a book from library OPAC using the ISBN, so it is recognized as a simple but powerful search tool. In foreign countries, commercial library system vendors, libraries, OCLC, etc. are providing bookmarklets which allow a user to search for library holdings and loan information in a real time while he/she is travelling in an online bookshop web page. Therefore, this paper compared and analyzed international bookmarklets application examples and proposed LibraryLookup service in which library OPAC and online bookshop can make use of the bookmarklets.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최근 7년간 문헌정보학분야에 게재된 논문 1,752건을 대상으로 빈도 분석과 네트워크텍스트 분석을 실시하여 다양한 주제 개념의 분포와 그 관계성을 도출하였다. 더불어 보다 최근의 연구 경향을 분석하고 변화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최근 2년 사이에 연구된 482건을 추출하여 2차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최근 7년간 문헌정보학 분야는 “공공도서관”과 “대학도서관” 개념을 중심으로 하는 연구가 가장 높은 출현 빈도를 보였으며, “평가”, “교육”, “웹”은 가장 높은 연결 중심성을 나타내 다양한 문헌정보학의 주제 개념들과 관련을 맺고 연구되고 있는 개념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최근 2년간을 대상으로 한 2차 분석 결과에서는 “웹”, “분류” 개념이 종전보다 높은 상대 빈도를 보였으며,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 결과에서는 “이용자” 연구와 “공공도서관” 개념이 종전보다 더 다양한 주제 개념들과 관련을 맺고 수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In this study, Network Text Analysis was performed on 1,752 articles which had been published in recent 7 years and drew the subject concept distribution and their relation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areas. Furthermore, for analyzing more recent trends and changing aspects, this study performed secondary analysis based on 482 articles published in recent 2 years. Results show that “public library”, and “academic library” concepts were most frequently studied in the field and “evaluation”, “education”, and “web” concepts showed the highest-degree centrality during the recent 7 years. In the result of recent two years analysis, “web”, and “classification” concepts showed high frequency and “user”, and “public library” showed an improvement in high degree centrality.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국립중앙도서관 링크드 데이터를 대상으로 인물 정보가 표현되고 연계되는 방식을 분석하고, 이를 확장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분석 결과, 저자로서의 인물 정보는 링크드 데이터에서도 인물을 표현하는 어휘와 연계되어 기술되고 있는 반면에, 주제로 표현된 인물은 개념으로만 취급되고 있었다. 또한 링크드 데이터 구축과정에서 기존의 전거 정보를 변환한 것 외에는 별도의 부가 정보를 추가했는지를 확인할 수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저자로서의 인물 정보뿐 아니라 주제로서의 인물 정보도 서지 정보에 포함시키고, 저자로서의 인물 정보와 주제로서의 인물 정보를 연계할 때 링크드 데이터의 품질을 제고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그리고 이와 더불어 인물과 관련된 부가 링크 정보를 함께 구축하고 이를 활용하여 서지데이터 검색의 접근점을 확장하는 방안도 함께 제안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methods for representing and linking personal information in the linked data of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provided suggestions for expanding the scope of identifying and linking of the personal information. As a result, the personal information as a subject has been dealt with a concept, where the personal information as a contributor has been linked with a vocabulary of personal name. In addition, there have not been assured of including additional information except existing authority data in the process of building the linked data.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at linking personal information as a subject and personal information as a contributor was essential for the quality of linked data. In addition, we proposed to provide addi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person in linked data for expanding the scope of access points in information discovery.

초록보기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commonly known profile of public library users was described, by reviewing the literature published in the United States before the 1990s, when information environment of the public has been drastically changed. The profile of users as the socio-economically advantaged, active participants, and communication elites, has little changed since Berelson's study in the 1940s. Continuing research on users, however, are still needed to better understand their needs and behavior, facing the change since the 1990s.攀** 청주대학교 인문대학 인문학부 문헌정보학전공 전임강사(jade@cju.ac.kr) 논문접수일자 : 2004년 7월 24일 게재확정일자 : 2004년 9월 15일攀攀

Abstract

277
장윤금(숙명여자대학교) ; 권나현(명지대학교) ; 하은혜(숙명여자대학교) 2011, Vol.28, No.4, pp.99-118 https://doi.org/10.3743/KOSIM.2011.28.4.09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의 핵심 추진과제 운영평가를 통해 전국의 어린이․청소년도서관 서비스의 국가기관으로서 주력해야 할 기능과 사업 추진 및 운영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어린이서비스 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어린이도서관 관장들과의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본 도서관의 기능 및 핵심 수행사업에 대한 설문 응답자의 평가는 대체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핵심 수행사업 중 ‘전국어린이를 위한 독서진흥사업’에 대한 기여도가 가장 높게 평가되었으며, 독서진흥프로그램의 가장 필요한 부분은 ‘청소년을 위한 각종 프로그램 개발 및 지원 강화’와 ‘독서진흥 콘텐츠 개발의 지속적인 지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청소년서비스 담당자 전문성 강화를 위한 계속교육 프로그램의 경우 다양한 콘텐츠 개발 및 강사진 확대, 교육형태의 다양화 등의 필요성이 제언되었다. 또한 국가대표도서관으로서의 핵심기능인 정책개발과 연구기능의 강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is study evaluated the core project operations of the National Library for Children & Young Adults to provide suggestions for its key functions and project operations plan.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a survey for children's librarians and a focus group interview with the directors of children's libraries. The result showed that the overall functions were considered important and the contributions of the core project operations were rated positively. Among the core projects, ‘Reading Promotion Program for Children’ appeared to contribute most, while the most needed areas were contents development and continuous support for the reading promotion program for young adults. In addition, the need for diverse contents development, instructors and education tools were suggested for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along with strengthening policy development and research functions.

278
노영희(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장로사(숭의여자대학교 문헌정보과) 2020, Vol.37, No.3, pp.203-220 https://doi.org/10.3743/KOSIM.2020.37.3.203
초록보기
초록

코로나19 대유행이 장기화됨에 따라 비대면 사회로 전환되고 있으며, 이는 국내외 도서관계의 서비스 방법론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의 코로나19 대응조치에 관한 사서인식을 조사하였으며,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신종 감염병이 확산 및 장기화되고 있는 상황에서의 공공도서관의 대응방안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유행성 질병에 대해 공동으로 대응하는 국가 중심의 도서관 대책 마련, 둘째, 정부 차원의 예산 지원을 통한 다양하고 체계적인 공공도서관 비대면 및 온라인서비스 강화, 셋째, 직원 및 이용자 측면에서의 철저한 방역 및 선제적 대응, 넷째, 정보불평등 계층의 디지털 문화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도서관서비스 확대를 제안하였다.

Abstract

With the COVID-19 pandemic being prolonged, the society is being converted into an untact society, thereby affecting the service methodology of domestic and foreign library systems. This study thus surveyed the librarians’ awareness of COVID-19 response measures of public libraries, and proposed public libraries’ response measures in situations where the novel infectious disease is spreading and prolonging. Specifically, the proposed measures include, first, preparing national-centered library countermeasures to jointly respond to the epidemic disease, second, strengthening various untact and online services of various public libraries through government-level budget support, third, a thorough prevention of epidemics and preemptive response from the viewpoint of employees and users, and fourth, the expansion of library services aimed at resolving the digital cultural divide among classes of people, including information unfairness.

초록보기
초록

기업이나 연구소 등에서 운영하는 전문도서관의 경제적 가치 평가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본 연구는 전문도서관 주요 서비스의 가치평가에 대한 새로운 접근방법을 제시하였다. 선행연구의 이론과 보편타당성과 적용가능성을 기준으로 삼았다. 서비스에 어떤 유형의 자원(물적 자원 또는 인적 자원)이 사용되었는지에 따라 측정요소와 방법론을 달리 적용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전문도서관 주요 서비스의 가치평가를 위한 산출식을 제시하였다. 전문도서관 서비스의 경제적 가치평가를 위한 분석모형 개발은 서비스의 가치에 대한 객관적 입증이 가능해져서 전문도서관의 진정한 가치를 알릴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new approach to economic valuation of the special library, in response to the necessity of economic justification of the special library operated by firms and research institutes. Benefit measurement elements and analysis methods to be used in the studywere derived through feasibility evaluation on models in previous studies, and objectivity and applicability were the criteria for feasibility evaluation. Depending on which type of resources are used in providing service, different benefit measurement elements and methods were applied. Based on this, calculation formula for service valuation of special library was presented. The development of analysis model for economic valuation of special library made it possible to objectively prove the value of the special library, and is considered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publicize the real value of the special library.

280
박현영(협성대학교 도서관) ; 이혜영(동덕여자대학교) 2016, Vol.33, No.1, pp.139-160 https://doi.org/10.3743/KOSIM.2016.33.1.13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A대학도서관의 효율성을 분석한 후 그 개선점을 제언하였다. 이를 위하여 A대학에 속해 있는 E그룹 대학도서관들의 효율성을 분석하고, 투입․산출요소의 세 가지 조건과 지역 범주별 조건을 구분하여 효율성을 측정하였다. 그 종합적인 결과는 E그룹의 38개 대학도서관과 A대학도서관은 투입요소를 증가시킴으로써 산출물을 증대시키는 방향으로 운영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개선방안으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도서관에 대한 법적․제도적 근간을 마련하여 대학의 구성원들에게 도서관에 대한 인식을 고취시켜야 한다. 둘째, 도서관 이용교육이 교육과정에 편성되어야 한다. 셋째, 도서관이 책을 빌리고 컴퓨터를 사용하는 공간뿐만 아니라, 문화 공간 및 휴식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복합공간으로 마련되어야 한다.

Abstract

This study suggested improvements after analyzing the effectiveness of “A” university library. So,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iveness of E-group “A” university, and measured the effectiveness, classifying with three conditions about input & output and factors and conditions about regional categories. As a result, it is necessary to operate E-group 38 university libraries and “A” University library by increasing input factors to increase outputs. The improvements are as followings. First, it is necessary to stir up member’s recognition on libraries. To this, there is a legal system for university library. Second, it is necessary to include library use education in curriculum. Third, it is necessary to prepare complex space so that the members can borrow books and use it for cultural space and rest space.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