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이용 분석., 검색결과: 310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wo characteristic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IS) journals in Korea through analysis of journal coupling with common authors. This study also illustrated the trend of Korean LIS research in the recent decade. The notable change is that record management and archival studies settle in LIS domain as a major research area. We introduced two indicators, Publishing Preference Index (PPI) and Researcher Attraction Index (RAI), based on the degree of common authors among journals. Both indicators revealed notable changes in author coupling, including reversal of PPIs in some journals, which can be interpreted as proof of changes in their author groups. The RAI analysis, which measured the degree of journals’ attractiveness to Korean LIS researchers and author sharing between two journals, illustrated the journals’ states in a domain; this result can help find both an isolated journal and strongly bonded journals in the specific domain. Journal coupling with common authors introduced in this study proved to be an effective investigative method for illustrating journals’ states in a specified domain as well as a multidisciplinary area.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국내 공공도서관의 트위터 이용을 파악하고 분석하고자 한다. 도서관 정보서비스 환경에서 트위터 이용의 구체적인 패턴을 파악하기 위해, 트위터 이용이 활발한 14개 공공도서관 계정으로부터 3,038개의 트윗 데이터를 수집하여 내용분석을 수행하였다. 귀납적 방식으로 코딩 체계를 수립하였으며, 오픈 코딩 방식을 통해 공공도서관 트윗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또한 도서관별로 활성화된 유형을 파악하기 위해 대응일치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공공도서관 트위터 이용에 관한 상위 범주 3개와 9개의 하위 범주, 37개의 세부 항목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분석 결과는 향후 트위터 이용을 계획하는 도서관에게 참고자료로 제시될 수 있으리라 본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and analyze the Twitter use of domestic public libraries. In order to identify the detailed patterns of Twitter use in library and information services, a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3,038 tweet data from the top 14 public libraries’ accounts on Twitter use. Inductive approach was adopted to develop a coding scheme and open coding was conducted with the entire tweet. Additionally, correspondence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result of content analysis to identify how library accounts correspond to specific types. As a result, 3 main categories and 9 sub-categories of public libraries’ Twitter use were developed. And the 37 detailed patterns of public libraries’ use of Twitter were identified. The identified patterns can provide the libraries interested in Twitter use with guidelines.

23
정미정(명지대학교) ; 권나현(명지대학교) 2014, Vol.31, No.2, pp.99-119 https://doi.org/10.3743/KOSIM.2014.31.2.09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현재 다양한 형태로 시행되고 있는 국내 대학도서관 맞춤형 이용자 교육의 전반적인 운영 현황을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해당 교육을 활성화하는데 필요요건과 장애요인을 파악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전국 4년제 대학 중앙도서관을 대상으로 전수조사하여 총 206개관의 웹사이트에서 맞춤형 교육의 전반적인 사항을 파악한 후, 설문지법을 통해 교육 운영 현황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설문에 응답한 총 149개관 가운데 94개관(63.1%)에서 맞춤형 교육을 운영하고 있었으며, 55개관(36.9%)에서는 해당 교육을 시행하지 않고 있었다. 국내 대학도서관 맞춤형 교육은 예산, 사서 수 등 도서관의 가용자원이 많을수록 더 활성화되어 있었으며, 사서의 자질 중에서는 학력, 전공 등과 같은 능력보다 봉사정신이 교육 운영 활성화에 더 영향력 있는 요소로 밝혀졌다. 본 연구결과는 대학도서관 실무자들에게 맞춤형 교육 운영과 서비스에 대한 기초정보를 제공하고, 향후 후속 연구의 토대가 되는 기반연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practices of the customized bibliographic instructions (CBI) at four-year academic libraries in Korea. Among the entire 206 academic libraries, a total of 149 libraries participated in the survey. Study result shows that the libraries providing CBI was 63.1%. The findings of the study revealed the overall picture of the CBI operated in Korean academic libraries.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ed useful strategies to apply in adopting and operating the CBI in academic libraries in Korea.

24
김경선(University of Wisconsin - Madison) ; 유이은영(North Carolina Central University) ; 권나현(명지대학교) 2013, Vol.30, No.3, pp.7-21 https://doi.org/10.3743/KOSIM.2013.30.3.007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e study examines two aspects that relate to undergraduates’ selection and use of information sources for their academic assignments: (1) sources perceived useful vs. sources frequently used, and (2) source characteristics considered important as selection criteria vs. selection criteria used as reflected in characteristics of frequently used sources. A survey of 251 undergraduate students attempted to address the gaps between what students think they should do and what they actually do with regard to source selection. Characteristics of frequently used sources were analyzed to find out the criteria used for source selection. Friends/family were among the frequently used sources although they were not perceived as useful. Unlike other sources suffering gaps between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the use behavior, Web sources were the ones not only perceived most useful but also used most frequently. When the important selection criteria were compared with the characteristic of sources used often, students did not seem to actually use the selection criteria they thought important. While students considered some characteristics related to information quality (e.g., accuracy, comprehensiveness) as important criteria for source selection, the actual criteria they applied for choosing information sources could be described as ‘convenient’ or ‘accessible’ (e.g., efficient/time saving, easy to use, familiar, accessible). Based on the findings, suggestions were made to help bridge such gaps through information literacy programs and information systems design.

25
최일영(경희대학교) ; 이용성(경희대학교) ; 김재경(경희대학교) 2010, Vol.27, No.1, pp.25-40 https://doi.org/10.3743/KOSIM.2010.27.1.02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사회 네트워크 분석 기법을 통하여 K대학도서관의 학술DB 이용현황을 분석하고 이용자의 요구에 적합한 서비스를 개발 및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K대학 도서관의 학술DB 로그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문분야별, 신분별, 학문분야 및 신분별 학술DB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실증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전임교원의 학술DB 네트워크와 박사과정의 학술DB 네트워크는 특화된 학술DB를 중심으로 강한 결속력을 보이고 있으며 다른 신분의 학술DB 네트워크보다 밀도, 연결정도 집중도 및 연결정도 중심성이 높게 나타났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usage pattern between each academic database through social network analysis, and to support the academic database for users's needs. For this purpose, we have extracted log data to construct the academic database networks in the proxy server of K university library and have analyzed the usage pattern among each research area and among each social position. Our results indicate that the specialized academic database for the research area has more cohesion than the generalized academic database in the full-time professors' network and the doctoral students' network, and the density, degree centrality and degree centralization of the full-time professors' network and the doctoral students' network are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social position networks.

26
이지원(대구가톨릭대학교) ; 오정선(University of Pittsburgh) 2014, Vol.31, No.3, pp.89-110 https://doi.org/10.3743/KOSIM.2014.31.3.08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2004년에서 2012년까지 9년간의 KERIS 문헌복사 트랜잭션 데이터를 대상으로 문헌복사 서비스 참여기관에 대한 통계 분석과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발견한 주요 사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청건수가 제공건수에 비해 많은 기관이 전체 기관 중에서 약 80%를 차지하고 있었다. 둘째, 신청과 제공면 모두 건수가 많은 상위기관들에게 문헌복사 서비스 의존도가 높으며, 특히 제공면에서 그 집중도가 더욱 높았다. 셋째, 2012년 대학도서관 학술지를 대상으로 주제별 네트워크 분석 결과 각 주제별로 단일기관 집중형, 복수기관 주도형, 다수기관 분산형과 같은 세 가지 유형의 협력체제가 나타남을 파악하였다.

Abstract

In this study, we analyzed KERIS Document Delivery Service (DDS) using its transaction data for the period of nine years from 2004 to 2012. We first examined the overall statistics focusing on member contributions, and conducted a network analysis based on the records of request/response (supply) between member libraries. Key findings include the following: First, in over 80% of member libraries, the number of outgoing requests exceeded the number of their responses to incoming requests. That is, for the vast majority of member libraries, their participation was concentrated on the request side. Second, KERIS DDS relies heavily on a relatively small number of top contributors, especially on the supply side. While the top contributors were active in both requests and responses (supplies), in most cases, they received and processed a disproportionally large number of requests. Third, the network analysis based on DDS requests for journal articles in 2012 further revealed the central role of top contributors. The level and pattern of concentration, however, appeared to differ by subjects (DDC). Three main patterns of centralization were found in different subjects - a network centered on a single member, a network having multiple centers, or a distributed network.

초록보기
초록

최근 의학정보 분야에서는 임상의 지식관리와 의학정보 검색의 효율화를 위한 수단으로 온톨로지의 개념 모델링을 이용한 의학용어 시스템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의학정보 분야에 이러한 시스템의 응용이나 새로운 시스템 개발에 기초적인 자료제공을 목적으로, 정보 모델링과 온톨로지의 이론에 대해 고찰하였고, 외국의 의학정보 분야에서 온톨로지를 이용한 용어 시스템이 개발된 4가지 대표적인 사례를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비형식적인 수준의 온톨로지로 파악된 MeSH의 의학용어 표준화와 UMLS의 용어 개념화, 형식적인 수준의 온톨로지인 ON9의 의학 온톨로지 통합의 이론화, 그리고 GALEN의 의학지식의 의미 모델과 형식화로 핵심적 특징을 요약할 수 있었다. 온톨로지의 응용은 목적하는 시스템에 따른 수준적 차별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고, 본 연구의 분석 결과가 참고 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Recent research in the field of medical information systems has paid much attention to an ontology based medical terminology system to support clinical study and effective information search. This study aims to conduct research for further application or construction of ontology systems in Korea. This research reviews the theory of concept modeling and ontology, and analyses 4 cases of conceptual modeling of medical terminologies by ontology. The findings of this study display these specific characteristics in medical ontologies : (1) The standardization of terminology on MeSH. (2) The conceptualization of terminology on UMLS. (1) and (2) are showed as unformal ontologies. (3) The theory of ontology integration in ON9. (4) The reference model of medical knowledge with formalization in GALEN. (3) and (4) are showed as formal ontologies. The application and construction of ontology should b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proposed system, and then this analysis will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the researcher and developer of the system.

28
나경식(건국대학교) ; 이지수(숙명여자대학교) 2014, Vol.31, No.3, pp.271-291 https://doi.org/10.3743/KOSIM.2014.31.3.27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간호학과 학생들의 전자형태 문서의 이용 및 문서읽기 행태를 분석하기 위해 이들의 행태에서 나타나는 요소들에 대해 종합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간호학과 학생을 중심으로 지난 한 학기동안 학생들이 경험한 읽기행태를 조사하여 문서형태선호도와 요소 등을 다각적으로 분석하였다. 총 509명의 응답에 기초하여 분석한 결과, 간호학과 학생들은 일반적으로 전자형태문서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장하고 싶은 문서형태 또한 전자형태문서라고 응답하였다. 응답자 중, 약 94% 이상이 필요한 정보를 찾기 위해 30분 이상을 소요하고 있다고 나타났으며, 접근경로는 ‘네이버’ 검색엔진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응답하였다. 또한 주로 찾는 정보의 주제는 수업관련 정보가 가장 많았으며, 정보의 접근 장소로는 집에서 주로 정보를 찾고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응답자들의 이동 중에 나타나는 문서선호도는 전자형태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이동의 간편성과 접근의 용이성이 가장 높은 이유로 드러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간호학과 학생들의 문서읽기행태를 분석하여 인쇄형태와 전자형태 문서의 읽기행태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향후 간호학 분야에서의 의학도서관 디지털정보이용의 서비스 설계 및 도구를 개발 또는 보완하기 위한 자료와, 더 나아가, 디지털 도서관 이용자 서비스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electronic document use and reading behavior. To do this, a survey questionnaire was collected from 509 respondents who experienced reading behavior for the last semest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nursing students’ preference of electronic documents is higher than that of printed documents in general. They also prefer electronic documents to printed documents when they want to keep documents. Of respondents, about 94% or higher spent 30mins or more to find information and the main source to find information is ‘Naver’ search engine as the highest information source, and the place to access information is ’Home’ as their highest information access location. In particular, the preference of the document ‘on the move’ is electronic documents and the main reason includes convenience and easiness to access and move the documen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expect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electronic document use and reading behavior so that it can be used to design and develop medical digital library services and tools more effectively and efficiently in medical area in the future. Furthermore, it expects to provide useful data in promoting user services in digital library in a whole.

29
채하영(숙명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석사과정) ; 이지수(숙명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2023, Vol.40, No.4, pp.201-228 https://doi.org/10.3743/KOSIM.2023.40.4.20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국내외 사서 채용 동향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으로 국내데이터는 인터넷 포털 사이트인 “사서e마을”에 게시된 사서 채용 공고를 총 489개를 수집하였고, 해외데이터는 “ALAJobList”에서 6,600개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기간은 2020년 1월부터 2022년 8월까지이며 수집된 데이터를 대상으로 지역 분포도 분석, 빈도 분석, 토픽모델링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채용 공고의 지역분포도는 국내데이터에서 서울이 280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해외데이터는 캘리포니아(California)가 662건으로 상위로 도출되었다. 빈도분석 결과, 국내데이터의 담당업무에서는 ‘관리’ 23.42% 키워드가 높게 나왔고, 자격요건은 ‘자격증’ 16.61%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다. 해외데이터의 담당업무에서는 ‘LibraryService’ 8.72% 비율이 높게 나왔으며, 자격요건은 ‘CommunicationSkills’ 10.13% 키워드가 가장 높은 순위에 위치함을 확인했다. 토픽모델링에서는 국내외 담당업무, 자격요건으로 나눠 총 4가지의 영역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국내외 채용 공고에서 도출된 사서의 담당업무 및 자격요건이 미국도서관협회(ALA) 및 한국도서관협회 등 주요 도서관 관련 협회에서 제시한 핵심 역량과 연관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trends of librarian job recruitment in Korea and overseas. A total of 489 librarian job postings posted on the internet portal site “Saseo e-Ma-eul” were collected for the Korean data, and 6,600 data were collected from “ALAJobList” for the international data. The research period spans from January 2020 to August 2022. The data were subjected to regional distribution analysis, frequency analysis, and topic modeling.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number of Korean librarian job postings was the highest in Seoul with 280, while California was the state with the highest number of job postings overseas with 662. According to the frequency analysis, the main task of Korean data is ‘management’ 23.42%, and the core competency is ‘certificate’ 16.61%. For overseas data, ‘Library Service’ is the main task of 8.72%, and ‘Communication Skills’ is the most important core competency of 10.13%. In topic modeling, five topics were identified for each area 4 in total, including Korean and international job description and requirements. The analysis results confirm that the duties and qualifications derived from Korean and international job postings for librarians are related to the core competencies proposed by major library associations such as the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ALA) and the Korean Library Association.

초록보기
초록

웹을 통해 접할 수 있는 정보의 양이 급격하게 증가함에 따라, 북마크는 이용자가 정보요구에 적합한 웹 정보를 효율적으로 재이용할 수 있게 해주는 도구라는 점에서 중요해졌다. 이 연구에서는 웹에서의 정보 수집 및 관리 도구로서의 북마크 이용 행태를 파악하고, 이와 관련하여 북마크 기능이 어떻게 개선되어야 하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응답자 5명을 대상으로 인터뷰 및 관찰을 실시하고, 180명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북마크 이용 목적에 따라 이용 행태와 기능 개선에 대한 요구사항에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웹 정보의 수집을 위해 북마크를 이용하는 경우 맥락 정보에 대한 요구사항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북마크 이용 빈도가 낮은 집단은 웹 정보 재이용이라는 목적에 대해 북마크 기능이 필수적이라고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s the amount of web information grows, a bookmark has become an important tool to reuse web information effectively which is relevant to users’ information needs. Thu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how bookmarks are used as a management tool of web information, and what functions users require concerned with it. For this purpose, semi-structured interviews and observations were carried out from 5 respondents, and a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bookmark using behaviors and requirements for function improvement. The users who use bookmark less frequently think bookmark feature essential for the purpose of reusing web information.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