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서비스, 검색결과: 40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의 사회적 가치를 평가할 수 있는 평가지표를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1차적으로 도서관의 가치에 대해 연구한 60여 개의 국내․외 논문들을 총체적으로 분석하여 예비 평가지표를 도출하였다. 도출한 예비 평가지표를 토대로 11명의 전문가를 선정하여 3차에 걸친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여 최종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최종평가지표는 공공도서관의 사회적 가치를 크게 지역 사회 개발, 지역 사회의 연계, 지역 주민의 삶의 질 향상, 지역 주민의 평등화, 지역 사회에 필요한 정보제공서비스 등의 5가지 평가영역과, 13개 평가항목, 64개 평가지표로 구성된다. 향후에는 이를 기반으로 공공도서관의 사회적 가치를 측정하는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evaluation indicators for evaluating the social value of libraries and, for this, first of all, preliminary evaluation indicators were derived by analyzing comprehensively about 60 domestic and overseas papers which researched on the value of libraries. On the basis of the derived preliminary evaluation indicators, 11 experts were selected and the final evaluation indicators were developed by conducting Delphi survey three times. The final evaluation indicators are composed of five evaluation areas, which are the divided areas of the social value of libraries, such as the development of local communities, the linkage of local communities, the improvement of local residents’ life quality, the equalization of local residents, and the information services necessary for local communities, 13 evaluation items, and 64 evaluation indicators. In the future, it seems that researches to measure the social value of libraries based on this will have to be conducted.

초록보기
초록

최근 대학도서관은 물리적 장소로서 전통적인 도서관의 역할과 전자자원을 효율적으로 서비스 할 수 있는 가상도서관의 역할을 모두 수행해야 할 도전에 직면해 있다. 이에 대학도서관은 위기와 기회를 동시에 내포하고 있는 대학도서관의 미래를 적극적으로 설계하는 도구로서 전략적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미국, 영국, 캐나다, 호주 대학도서관의 전략적 계획의 실행 문서를 비교, 분석하여 그 내용을 형식적 요소와 내용적 요소로 구분하고 전략적 계획 문서에 포함되어야 할 최소한의 요소를 권고하였다. 아울러 UMI, OULS, UBCL, USL 등 선진 대학도서관의 최근 전략적 계획 문서의 사례를 통하여 사명과 비전, 전략 등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아직 전략적 계획의 작성이 일반화되지 않은 우리나라 대학도서관에 전략적 계획 수립을 위한 방향 제시와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Abstract

University libraries have been facing challenges to accomplish both roles of traditional libraries as physical places and virtual libraries which service electronic resources effectively. University libraries need to establish a strategic plan as a positive tool for designing the future of university libraries addressing threats and opportunities at the same time. This study suggested the core elements be involved in strategic plans of university libraries through comparatively analyzing the actual documents of strategic plans of academic libraries in America, England, Canada and Australia. These strategic plans were divided into formal elements and content elements. In addition, this study presented the latest strategic plans of academic libraries such as UMI, OULS, UBCL, and USL. As a result of research, this study provided the directions and basic materials in order to establish strategic planning at university libraries in Korea.

333
구중억(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 이응봉(충남대학교) 2009, Vol.26, No.1, pp.185-214 https://doi.org/10.3743/KOSIM.2009.26.1.18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온라인목록의 Open API 기반 일반 검색시스템과 온라인목록의 Open API 기반 메타 검색시스템을 구축하고 두 실험시스템의 사용성을 비교 평가하여 온라인목록의 Open API 기반 메타 검색시스템의 유용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사용성은 전체적으로 온라인목록의 Open API 기반 일반 검색시스템 보다 온라인목록의 Open API 기반 메타 검색시스템이 더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도서관들이 인터넷서점, 검색엔진, 웹포털 등에서 공개한 도서검색용 Open API를 통해 제공되는 풍부한 콘텐트를 온라인목록에서 공유하고 활용하면 서지데이터의 확충, 주제접근과 주제검색 능력의 확대, 메타 검색서비스의 확장, 소장도서의 이용가능성 증대, 목록비용의 절감 등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imed to clarify the usefulness of meta search system using Open API of library online catalog by constructing OPAC-based search system using Open API of library online catalog and meta search system using Open API of library online catalog, and comparing the usability of the two experimental search systems. As for usability, on the whole, it was higher in meta search system using Open API of library online catalog than OPAC-based search system using Open API of library online catalog, an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refore, if libraries share and use enriched content which is provided through Open API for book search, which is opened by Internet bookstores, search engines and Web portal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helpful in enhancing bibliographic data, expanding subject access point, empowering subject search ability, extending meta search service, improving book availability, and reducing catalog cost.

334
황성욱(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 정예용(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 김수정(전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오효정(전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2020, Vol.37, No.2, pp.23-45 https://doi.org/10.3743/KOSIM.2020.37.2.023
초록보기
초록

최근 ‘코로나19’라는 초유의 재난 사태를 맞이하여 대한민국 정부의 투명한 정보 공개를 통한 적극적 대응에 전 세계가 주목하고 있다. 이렇듯 공공데이터 개방은 특정 정보에 대한 국민의 인지도와 접근성을 높임으로써 다양한 사회적, 경제적 가치를 상승시키는 데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정부차원에서 주도적으로 수집하고 공개하고 있는 공공데이터포털의 이용 활성화를 위해 각국에서 운영하고 있는 SNS 현황과 그에 따른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내․외 공공데이터포털 SNS 운용현황을 살펴보고, 그 중 선진 사례 3국(인도, 미국, 한국)의 서비스를 선정하여 계량 분석, 피드백 분석, 시계열 분석, 정보유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통해 정보유형 및 이용요구를 파악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여 공공데이터 이용 활성화를 위한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제언하였다.

Abstract

The world is paying attention to the South Korean government’s aggressive COVID-19 response, key of which is transparency and openness in sharing information. Opening up government information is essential to enhancing its social and economic value through increased awareness and accessibi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SNS operated by national open data portals in which government-collected and -disclosed data is available and to suggest improvements for the use of open data portals. To do this, the study compared 3 national open data portals, each from India, U.S.A, and Korea, by performing quantitative analysis, user feedback analysis, time-series analysis, and information type analysis. Based on the identified information types and user needs, the study suggests concrete ways to facilitate the use of open data portals.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고등학교 공통 과목을 중심으로 교과 교사들의 2015 개정 교육과정 현장 적용 실태와 인식이 교육정보요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인천광역시 일반계 공립 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국어, 수학, 영어, 사회, 과학 교과(군) 교사를 대상으로 개별 심층 면담과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2015 개정 교육과정 현장 적용 실태와 인식은 교육정보요구에 일부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교육정보요구 부분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 적용에 따른 새로운 복본 요구 형태와 학습자료 정보원 요구 양태를 발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지역적 범위 내 소규모 학교도서관 컨소시엄 형성과 레퍼럴 서비스 제공, 게이트웨이 역할 수행 기능 강화 등의 학교도서관 운영 방안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effects of teachers’ recognition and application of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on their educational information needs in high schools. Several in-depth interviews and a questionnaire survey with the teachers, who were in charge of teaching common courses, such as Korean language, mathematics, English, social studies, and science, in general public high schools in Incheon, were executed for the purpose. As a result, the teachers’ recognition and application affected their educational information needs in part. Especially, new demands on small sized copies and learning information sources were identified which were related to the application of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Based on the results, we proposed several improvements of school library operations, such as small sized local consortium for sharing resources and providing referral services, in order to strengthen the gateway role of school libraries.

336
김보일(한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조교수) ; 김홍렬(전주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2024, Vol.41, No.1, pp.59-83 https://doi.org/10.3743/KOSIM.2024.41.1.059
초록보기
초록

최근 도서관 건립과 운영의 방향은 사람들의 변화된 삶의 방식을 반영하고 지역 환경에 기반한 특성화를 통한 혁신적 공간을 제안하고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A군의 한탄강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내 건립되는 (가칭)송대소도서관의 운영에 대한 목표로 복합문화시설로서의 역할, 워케이션의 성지로서 체류형 독서문화 문화공간으로 운영, A군의 랜드마크로서의 역할을 제시하였다. 운영전략으로는 (가칭)송대소도서관의 건립 타당성 확보, 운영 추진동력으로 도서관 정책 연계, 랜드스케이프 건축을 통한 지질특화도서관 운영에 따른 도서관 존재 당위성 입증을 전략으로 세웠다. 이에 따른 운영계획으로 인력, 장서, 서비스, 예산계획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directions of recent library construction and operation reflect people’s changed lifestyle and suggest innovative spaces specialized on the basis of the local environment. Hence, as the goals of the operation of (tentatively named) Songdaeso Library to be constructed within the Hantangang River UNESCO Global Geopark, this study proposes ‘acting as complex cultural facilities,’ ‘operating stay-type reading culture space which is a shrine for workcation,’ and ‘acting as the landmark of A-gun (郡, county).’ And this study works out strategies for its operation, which includes ‘securing the validity of the construction of (tentatively named) Songdaeso Library,’ ‘linking to library policy as the driving force behind its operation,’ and ‘demonstrating the necessity for the existence of the library arising from the operation of the geological specialized library through landscape architecture.’ It also presents concomitant operating plans, which are categorized into plans for manpower, library books, services, and budget.

337
김하진(연세대학교) ; 송민(연세대학교) 2014, Vol.31, No.1, pp.99-118 https://doi.org/10.3743/KOSIM.2014.31.1.099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국내외 정보학 분야 학회지 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1990년부터 2013년까지 국내 정보관리학회지와 국외 JASIST의 논문 제목과 초록을 대상으로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통한 명사, 명사구 동시출현 분석을 수행하였다. 전 기간을 5구간으로 나누고 전체적인 동향을 살펴보기 위해 고빈도 동시출현단어를 분석하였으며, 세부 주제를 파악하기 위해 상위 키워드와 동시에 출현하는 단어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과거와 다르게 새로운 키워드가 등장하는 2010년 이후 동향을 중점적으로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국내의 경우 정보관리학회지는 도서관, 정보 서비스, 정보 이용자, 정보 자료 조직 주제 분야가 많이 차지하고 있었고 JASIST는 정보 검색, 정보 이용자, 웹 관련 정보학, 계량 정보학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Abstract

This paper carried out co-word analysis of noun and noun phrase using text-mining technique in order to grasp the research trends on domestic and international information science articles. It was conducted based on collected titles and articles of the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KOSIM) and Journal of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JASIST) from 1990 to 2013. By dividing whole period into five publication window, this paper was organized into the following processes: 1) analysis of high frequency co-word pair to examine the overall trends of both information science articles 2) analysis of each word appearing with high frequency keyword to grasp the detailed subject 3) focused network analysis of trend after 2010 when distinctively new keyword appeared.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s that KOSIM has considerable portion of studies conducted regarding topics such as library, information service, information user and information organization. Whereas, JASIST has focused on studies regarding information retrieval, information user, web information, and bibliometrics.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도서관 사서의 전문성이 이용자의 도서관 경험과 그로 인한 도서관 인식을 어떻게 매개하는지 검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를 고찰한 후, 서울 및 경기지역의 공공도서관 6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문화 및 교육 활동은 사서 전문성 인식을 매개로 도서관 가치 및 만족도 인식에 영향을 미쳤다. 반면, 정보 활동은 유일하게 사서 전문성을 매개하지 않고 직접 도서관 인식에 영향을 미쳤다. 이에 따라 이용자가 도서관의 가치를 형성하는 영역과 사서의 전문성을 인식하는 영역이 일치하지 않는 점에 문제를 제기하고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전통적으로 사서직 내부적 특성으로 여겨진 사서의 전문성을 외부에서 바라봄으로써, 이용자의 서비스 경험과 사서 전문성, 도서관 성과를 통합하였다는 의의를 지닌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the specialty of librarians links between users’ library experience and their resulting perception of the library in public libraries. After reviewing theoretical background studie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t six public librarie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analysis of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the perception of librarians’ specialty had a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educational activity and library perception. However, information activity was not linked by the perception of librarians’ specialty and only directly influenced on the library perception. Accordingly, the result raised a question of a discrepancy between the areas where the users gain the value of the library and where the librarians’ specialty is perceived and some implications were suggested.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integrating the users’ library experience, librarians’ specialty, and the library performance by external point of view on the specialty, traditionally regarded as an internal characteristic of the librarianship.

339
한희정(전북대학교) ; 김태영(전북대학교) ; 두효철(전북대학교) ; 오효정(전북대학교) 2017, Vol.34, No.4, pp.81-99 https://doi.org/10.3743/KOSIM.2017.34.4.081
초록보기
초록

기술문서는 지식정보사회에서 생성되는 중요 연구 성과물로, 이를 제대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정보 요약 및 정보추출과 같은 개선된 정보 처리 방법을 토대로 기술문서 활용의 편의성을 높여줄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술문서의 핵심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방안으로, 기술문서의 구조와 정의문 패턴을 기반으로 전문용어 및 정의문을 자동 추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전문용어사전을 구축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나아가 전문용어사전을 지식메모리로서 보다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전문용어사전에 기반한 개인화서비스 제공방안을 제안하였다. 이처럼 전문용어 및 정의문 자동추출을 기반으로 전문용어사전을 구축하게 되면 새롭게 등장하는 전문용어를 빠르게 수용할 수 있어 이용자들이 최신정보를 보다 손쉽게 찾을 수 있다. 더불어 개인화된 전문용어사전을 이용자에게 제공한다면 전문용어사전의 가치와 활용성, 검색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Abstract

Technical documents are important research outputs generated by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In order to properly use the technical documents properly, it is necessary to utilize advanced information processing techniques, such as summarization and information extraction. In this paper, to extract core information, we automatically extracted the terminologies and their definition based on definitional sentences patterns and the structure of technical documents. Based on this, we proposed the system to build a specialized terminology dictionary. And further we suggested the personalized services so that users can utilize the terminology dictionary in various ways as an knowledge memory.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allow users to find up-to-date information faster and easier. In addition, providing a personalized terminology dictionary to users can maximize the value, usability, and retrieval efficiency of the dictionary.

340
이원경(한성대학교) ; 서은경(한성대학교) 2013, Vol.30, No.1, pp.193-219 https://doi.org/10.3743/KOSIM.2013.30.1.193
초록보기
초록

장애인들의 웹서비스 이용도와 의존도가 상당히 높아진 현실을 고려한다면 공공기관이나 도서관 웹사이트의 접근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장애인의 웹 접근성을 높이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웹사이트 설계 지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웹 표준 및 웹 접근성지침, 그리고 관련 최신 연구들이 제안한 웹 접근성 요건들을 기반으로 중요도 수준이 포함된 42개의 항목의 웹 접근성 요건 체크리스트를 구축하였고 다음으로 공공도서관을 포함한 15개의 공공기관 웹사이트의 접근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중요하다고 고려된 요건들이 아직까지도 지켜지지 않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장애인의 웹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웹사이트 설계 지침을 콘텐츠구성, 소리, 색, 키보드접근, 마우스접근, 접근기능, 이미지, 텍스트처리, 코드처리 등 9개 분야별로 제안하였다. 이러한 제안은 향후 접근성 지침에 따른 웹사이트 제작의 가이드뿐만 아니라 장애인의 접근성 향상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Public institutions or libraries urgently prepare comprehensive measures to improve web accessibility of their websites as booting web dependability and web utilization of disabled peop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design guidelines for improving web accessibility of disabled people. The study, first, analyzed various web accessibility requirements based on web standards, web accessibility guidelines, and the related researches and proposed a web accessibility checklist with 42 requirement. Next, the study evaluated 15 websites of public institutions such as government departments, association of disabled people, and public libraries using the checklist. Finally, the study revealed non-adherence requirements and suggested website design guidelines in terms of contents configuration, sound, colour, keyboard handling, mouse handling, access, image processing, text processing, and code processing.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