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비이용, 검색결과: 492
초록보기
초록

디지털 정보환경 속에서 동일한 내용이지만 형태와 표현 방식이 다른 저작들이 빈번하게 생성되어지자, IFLA는 다양한 매체, 응용 및 기능을 수용하고 이용자의 정보탐색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새로운 서지정보 기술 권고안인 FRBR(Functional Requirements for Bibliographic Records) 모형을 제안하였다. 이에 따라 여러 기관에서 이용자들이 보다 용이하게 원하는 정보를 탐색, 식별, 선정, 획득하고 또 항해할 수 있게 하는 FRBR 모형 기반의 서지정보시스템을 실험적으로 구현하고 있다. 본 연구는 앞으로 이러한 시스템이 본격적으로 개발될 때 도움이 될 수 있는 서지정보 인터페이스 개발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새로운 검색 및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선보이고 있는 FRBR 모형 기반 서지정보시스템의 전체적 특징을 살펴본 후, 각 시스템이 제공하는 탐색 인터페이스와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각각 비교ㆍ분석하였다.

Abstract

New concept of bibliographic data and its scheme are needed to accommodate a change resulting from the emergence of new forms of electronic publishing, and the advent of networked access to information resources. FRBR model was developed for defining functions performed by the bibliographic data with respect to various media, various applications, and various user needs. Several institutions including OCLC and RLG or vendors have tried to implement the FRBR on OPAC syste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strategies for developing bibliographic interface based the FRBR model. This study is to review the representative FRBRized systems and compare the systems regarding on search interface and display interface.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기관 레포지터리의 운영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품질관리 요인들을 추출하고 그 중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핵심 품질 관리 요인을 재추출하였다. 그리고 핵심 품질 관리 요인의 개선안을 반영한 운영모형을 개발하여 이용자에게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였다. 개발된 기관 레포지터리 운영모형과 시스템 전반에 대한 만족도를 검증한 결과 일반 이용자보다 사서의 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국내 대학은 저작자의 셀프 아카이빙 제출 방식보다는 사서의 대행 제출 방식을 선호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운영 모형을 기반으로 국내 대학도서관의 사서를 중심으로 한 기관 레포지터리 운영 활성화가 촉진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extracted quality control factors for invigorating Institutional Repository operations, and re-extracted key quality control factors with significant influence among them. Furthermore, this study developed an operating model reflecting an improvement scheme of these key quality control factors, and estimated how much effective the operating model was to the user. As a result of inspecting satisfaction for IR operating model and the general system, it has been found that librarians’ satisfaction for them is higher than that of the general user. Korea’s universities prefer a proxy submission mode by librarians to a self-archiving submission mode by writers. Therefore, based on the operation model developed by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Institutional Repository operation can be actively invigorated with librarians of these universities as central players.

373
김윤명(경희대학교) ; 정준민(전남대학교) 2002, Vol.19, No.2, pp.181-201 https://doi.org/10.3743/KOSIM.2002.19.2.181
초록보기
초록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라 디지털도서관은 자료의 디지털화 등을 통하여, 디지털환경에 맞는 정보서비스를 위한 역할의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저작권법은 도서관이 비영리적 기관으로서 사회의 공익에 기여하는 점이 많기 때문에 저작권법이 예외적으로 적용되어 자유로운 정보서비스를 허용하고 있다. 그렇지만 디지털환경에서는 디지털 복제와 전송이 쉽기 때문에 권리자와 이용자와의 균형관계를 형성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이러한 변화에 적응하고자 개정된 저작권법은 취지와는 달리 인터넷을 통한 디지털도서관에의 접근을 제한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현행 저작권법 및 개정안의 문제점을 고찰함과 아울러 디지털도서관의 이용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Abstract

As Information Technology has developed, digital library has an opportunity to change the paradigm of role of library to adjust in digital environment. Digital library has promote information services with digitization of materials. In library fare use is allowed to the public for information services. However, digital copy and transmission is simple in digital environment, to balance between owner and user is not easy but important things. Therefor, current copyright act is revised to adjust these environment but the act restrict the users′accessing digital library through interned, not complied with the motive of revision. Moreover, proposed act which is proposed to facilitate digital library services also extremely limits information services. In this monograph, I will review the copyright act related library and seek for the improved means.

초록보기
초록

최근 정보기술 및 인터넷의 급속한 발전으로 지식정보 자원들이 디지털화 되어 인터넷을 통해 유통되고 있으나, 디지털콘텐츠의 위치, 내용 변경 등으로 인해 이용자 접근 및 이용에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므로 표준 식별체계를 활용한 디지털콘텐츠의 식별 및 유통 방안의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콘텐츠의 효율적인 관리와 안전한 유통을 위한식별체계 기반의 정보유통체제 구축에 기여하는데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식별체계 개요, 활용사례, 유통모델의 조사와 정보유통 현황을 분석하고, KISTI 고유식별체계, 식별시스템 및 유통시스템 구축 방안 등을 제시하고 있다.

Abstract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internet in these days, resources of knowledge information have been digitalized and distributed on the internet. However, the location of digital content and a change of content have generated problems for users access and services. In line with this regard, the research on the identification of digital content utilizing standardized identification system and distribution system is necessary. This study intends to contribute to the implementation of information system based on standard digital identifier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and safe distribution of digital contents. This study first tries to survey SDI outline, practical application case and distributed business model and to analyze information distribution status. Finally, this study tries to draw up a plan for the establishment of KISTI's SDl. content identification system, content distribution system.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우울, 상태불안 수준의 차이와, 그들의 직무스트레스가 우울 수준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 있어 상태불안 수준의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나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기록물관리 전문요원들을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포함해 총 9요인으로 구성된 직무스트레스와 우울 수준, 상태불안 수준을 묻는 설문지를 배포해 최종적으로 98부의 설문데이터를 회수했고,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해 매개분석을 시도했다. 그 결과 모든 요인에서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 사이에서 상태불안이 완전매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기록물관리 전문요원들의 우울수준을 낮추기 위해 그들의 상태불안 수준이 필히 관리되어야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differences in job stresses, depression and state anxiety levels relating to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of records managers and studying whether the mediating effect of state anxiety levels significantly occurs on the depression followed by their job stresses. So we distributed questionnaires of 9 factors including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to record managers, asking them job stresses, depression, and state anxiety levels, and collected 98 questionnaires finally. We analyzed the effect of mediation on the surveyed data using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full mediating effect of state anxiety level between job stress and depression, and that, therefore, state anxiety levels of the record managers must be managed to lower their depression levels.

초록보기
초록

대학에서 연구가 중요한 활동으로 주목을 받게 되면서 대학도서관에서도 연구지원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북미 및 국내 60개 대학의 디지털도서관 홈페이지에서 온라인상으로 연구지원 가이드를 제공하는 현황을 조사하여 13개의 주요 내용유형을 분석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대학도서관이 연구지원 가이드 내용을 구성하는데 고려해야 할 5개의 주요 영역을 제시하였다. 또한 연구지원 가이드가 온라인상으로 제공되는 방식과 가이드를 통해 사서와 이용자가 소통하는 방식을 분석하였다. 연구지원 가이드를 제작, 제공하는 주체는 사서이며 대학도서관의 사서 역할은 향후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에서 이용자를 위한 정보를 생산하는 역할로 확장될 것으로 예측된다.

Abstract

Research has taken priority of many activities in universities and it has eventually brought the heat on research support services of libraries to meet high expectation of university researchers. To identify the major content areas and service methods of research guides serviced through digital libraries of universities, this study investigated research guides of 60 university libraries in North America and Korea. As a result, 13 categories for research guide contents were identified and 5 crucial areas for the contents development were suggested. It also analyzed providing methods of online research guides and communicating methods between librarians and users. Librarians were identified as the prime human resource to develope and manage research guides, which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expanding diversity of librarians' roles in the future.

377
강정원(명지대학교) ; 김현희(명지대학교) 2018, Vol.35, No.3, pp.123-145 https://doi.org/10.3743/KOSIM.2018.35.3.12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대학도서관이 직면하고 있는 전자저널의 오픈액세스로 인해 발생한 기존 전자저널 구독방식에 미치는 문제점들을 파악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도록 오픈액세스 기반의 구독을 위한 운영모델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운영모델은 구독모델, 체계, 정책, 운영의 네 가지 개념을 현실에 맞게 해석한 모델로 전자저널의 합리적 구독을 전제로 하여 오픈액세스를 적용한 것이다. 국가지원, 통괄적 운영, 오픈액세스 기반 모델, 협력체계 구축을 주요 내용으로 하여 구현하였고 특히 국가지원체계로 안정적이고 지속적 학술정보 확보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제안된 운영모델은 국내 오픈액세스 연구과 실현을 위한 기초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roblems of existing e-journal subscriptions caused by open access of e-journals faced by university libraries. To solve these problems, we proposed an operational model for open access based subscription. The proposed operational model, which adapts the four concepts of subscription model, system, policy, and operation interpreted according to reality, applies open access on the premise of rational subscription of electronic journals. The proposed operational model was constructed based on national support, comprehensive operation, open access based model, and cooperation system. In particular, it emphasized the need for stable and continuous access to scholarly information through national support policy. The proposed operational model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the realization and research of open access in the domestic environment.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지리정보시스템(GIS)이 공공도서관 자료선정과 서비스개발에 갖는 의미를 마케팅적 시각에서 탐색해보고자 하는 데 있다. 지리정보시스템이란 지리적 정보를 수집하고, 조작해서 표현해낼 수 있는 컴퓨터시스템이다. 지리정보시스템을 통해, 공공도서관은 지역사회의 교통관련정보, 정치적, 법적, 인구 통계적,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교육적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공공도서관은 지리정보시스템을 마케팅의 첫 단계인 시장조사 즉 이용자분석에 활용함으로써 이용자의 요구에 부합되는 자료선정과 서비스개발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또한 이용자와의 지속적 관계형성이라는 마케팅의 최종목적을 달성하는데도 도움이 될 것이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lications that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can have in public library collection selection and service development from a marketing perspective. GIS is a computer system capable of assembling, storing, manipulating, and displaying geographically referenced information. Through the understanding and utilization of GIS, we can collect geographical, transportation, political, legal, demographic, economic, social, cultural, educational, and recreational information of the community. Public libraries can utilize GIS for market research, including customer analysis to select library collection and develop library service based on library users' needs. As a result, public libraries can find a way to make a lasting relationship with users which is the final goal of marketing activities.

초록보기
초록

디지털도서관은 그것을 구성하는 다양한 요소들이 상호작용 하는 네트워크로 이해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사회 문화적 맥락에서 ICT를 연구하는 사회정보학적 관점에서 제안된STIN모델을 적용하여 LC에서 개발한 디지털도서관인 American Memory를 분석하였다. American Memory의 핵심 이용자로 파악된 미국 초ㆍ중ㆍ고등학교 교사와 학생들을 디지털도서관으로 끌어들이기 위하여 개발된 참여전략과정은 이용자, 터지털장서, 직원들 간의상호작용을 유도하고, 그들 간 관계와 역할을 변경시키면서 지식작업의 기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디지털도서관에 대한 분석과 이해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해 줄 것이라고 기대한다.

Abstract

This paper shows that digital libraries can be understood through STIN models which emphasize interactions among components in networks. The enrollment strategies in the American Memory make human and non-human factors interact. Specifically, this paper articulates that the relationships between users and collections, between users and staff, and between users and users are closely linked through the strategies. Observing the linkages among these components, this paper found that the enrollment processes not only draw users to the American Memory, but also alter roles of components and creates new roles and players for them. The alterations of roles and the resulting changes of relationships among components mean that digital libraries lead to transform the grounding of knowledge works in a society.

초록보기
초록

웹의 보도기사에 관한 자동요약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하여 담화구조와 지식기반 기법을 적용한 글구조 프레임과 제 규칙들을 작성하였다. 프레임에는 문단과 문장 및 절의 역할, 문단과 문장의 성질, 역할을 구분하는 판별규칙, 주요문장 발췌규칙, 그리고 요약문작성규칙 슬롯이 포함되었다. 문맥정의, 고유명사 등을 안내하는 ‘if-needed'와 변화된 슬롯 값을 알려주는 if-changed 패싯도 구비되었다. 슬롯이나 패싯의 실제 값들을 추출 표현하는 과정에서 문구의 수사적 역할과 단어 최상위 범주 및 줄거리 단위를 참조하였다. 의미흐름의 연결성을 유지하면서 요약 문장들을 통합, 분리, 합성하는 재구성은 유사도공식, 구문정보, 담화구조와 지식기반 방법에서 도출한 제 규칙 및 문맥정의를 이용하였고 비평과 같은 새로운 문장을 생성하였다.

Abstract

The writings frame and various rules based on discourse structure and knowledge-based methods were applied to construct the automatic Ext/Sums (extracts & summaries) system from the straight news in web. The frame contains the slot and facet represented by the role of paragraphs, sentences, and clauses in news and the rules determining the type of slot. Rearrangement like Unification, separation, and synthesis of the candidate sentences to summary, maintaining the coherence of meanings, were also used the rules derived from similar degree measurement, syntactic information, discourse structure, and knowledge-based methods and the context plots defined with the syntactic/semantic signature of noun and verb and category of verb suffix. The critic sentence were tried to insert into summary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