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libraries, 검색결과: 58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의 성과를 로직모델을 기반으로 개발된 평가 프레임워크를 적용하여 측정하고자 하였다. 성과 측정을 위해 서울 소재 한 공공도서관에서 운영하는 여러 프로그램 중 어린이 독서 프로그램을 선정하였다. 성과 측정 과정은 어린이 독서 프로그램의 계획, 진행, 평가 등의 업무 과정 일체를 분석하여 로직 모델을 구현하였으며 이에 의거하여 예상되는 성과를 측정하였다. 데이터는 KOLAS를 통해 회원정보, 서지정보, 대출정보 등을 수집하였고, 프로그램 운영 현황에 대한 데이터는 프로그램 진행 후 작성된 보고서에서 추출하였다. 측정 결과 어린이 독서 프로그램에 참여한 회원들의 대출빈도가 상승하였고, 프로그램의 주제에 따라 대출 장서의 주제가 변화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독서 프로그램이 갖는 효과와 의미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성과평가가 도서관에서 운영하는 타 프로그램 및 도서관 업무 등의 효과성을 측정하는데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outcomes of a program provided by a public library using the evaluation framework based on Logic Model. A reading program for children which was operated by a public library in Seoul was selected. The outcome evaluation was started with the analysis of the reading program process including planning, operation, and evaluation. Based on the analysis, a logic model framework for outcome evaluation was developed. For evaluation, user, bibliography, and circula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library KOLAS system. Additionally, the participant information were extracted from the final report drafted after the program.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the number of circulation of program participants was increased after the program. In addition, the range of reading topic was expanded.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reading program is an effective program for promoting children’s reading habit and that outcome evaluation might be a valid tool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public library programs.

382
정연경(이화여자대학교) ; 최윤경(이화여자대학교) 2012, Vol.29, No.1, pp.45-62 https://doi.org/10.3743/KOSIM.2012.29.1.04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어린이 도서관 서비스 제공자인 사서와 어린이 이용자의 전자책 인식 및 이용을 살펴보고 서비스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5개 어린이 도서관에 근무하는 사서 55명을 대상으로 전자책에 대한 인식과 이용, 서비스 현황, 개선 사항을 파악하였다. 또한 동일한 도서관의 어린이 이용자 30명을 선정하여 전자책에 대한 인식과 이용행태를 조사하였다. 두 집단의 전자책에 대한 인식과 이용행태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어린이 도서관의 전자책 서비스 개선 방안으로 전자책 콘텐츠와 공간 및 시설의 충분한 제공, 이용자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극적인 전자책 서비스 홍보, 전자책 담당 사서의 전문성을 개발할 수 있는 프로그램 제공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use of e-books by librarians and children and to suggest important elements to improve e-book services at the children's libraries. User survey questionaries and interviews from fifty five librarians and thirty children were carried for the perceptions and the use of e-books at five children's libraries. Based upon the data analysis from two groups, three important elements for improving e-book services of the libraries were suggested as follows: providing enough e-book contents, facilities and spaces, developing e-book user education programs with proactive pubic relations, and providing professional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regarding e-books to librarians.

초록보기
초록

인터넷이 점차 실세상의 한 부분이 됨에 따라서 유용한 디지털도서관을 만드는 것이 우리사회에서 중요한 일이 되었다. 인터넷의 이전 세대에서는 주로 기술에 주안점을 두어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그러나 오늘날 논점은 지능적 디지털도서관을 통하여 유용하게 정보를 찾는 것으로 바뀌어가고 있다. 새로운 기술과 일상의 정보 요구사이에서 긴장은 풀리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 계속 이어지고 있는데, 최근의 연구결과는 정보시스템 상에서 기술적 요소와 사회학적 요소 간에 균형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사회학적 요소에 대한 배려는 디지털도서관 시스템을 설치한 이후 계속 발전시켜나가는데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새로운 DL 서비스가 요구되는 시대에 비 기술적 요소의 영향에 대한 중요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첫 번째 세대의 DL 개발에 있어서 경험과 문건들이 체계적으로 검토 분석되었다. 분석결과 사회기술적 접근방법이 새로운 서비스를 위해 절실히 필요하다는 명제를 제시하였다.

Abstract

As the Internet becomes a part of the infrastructure of the world, so will the process of creating useful digital libraries become an important part of our society. Previous generations of Internet were focused mainly on the technology. Today the focus has shifted to searching information usefully over the intelligent Digital Library. However the tension between new technologies and daily information needs was never resolved but was significantly noted by many researches. Recent findings show us to gain some feeling for the balancing act in information systems between technological and sociological factors. They shows that consideration in sociology is needed for the sound deployment after installation of digital library systems. This study focused on the importance of effects of non-technical factors for the new DL service period. Experiences and documents in the first generation DL period were scrutinized and analysed systematically. As a result, we find new idea, socio-technical approaches to the new DL services.

초록보기
초록

인터넷시대가 되면서 정보량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도서관 소장 자료 중 전자형태의 자료가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 최신 정보자료의 신속한 입수 및 활용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시 되는 시기가 되었다. 디지털 도서관에서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최신 정보자료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최종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방법 중의 하나가 SDI서비스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웹의 등장으로 중요성이 부각된 SDI 서비스의 국내 대학에서의 활용 현황을 설문조사를 통하여 조사 분석하고, 개선방안 및 정보서비스 제공범위 확대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Abstract

As commercialization of the Internet has brought flood of information and the proportion of electronic source in the library collection has been gradually increasing, it is highly important for the library to quickly obtain and utilize the latest information. SDI service is expected to fulfill the needs providing the latest information swiftly and accurately to the digital library users. This study seeks to analyze the current standing of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SDI service in the universities of South Korea based on surveys and make a proposal on the advancement and extension of the SDI service.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먼저 민간의 고객관계관리(CRM)시스템을 정부차원에서 적용한 정책고객관계관리(PCRM)시스템의 개념과 현황, PCRM과 CRM의 비교, 그리고 통일부의 도입사례를 통해 PCRM의 핵심인 고객의 정의와 분류 과정에 대해 살펴본다. 다음, 통일부 소속 전문도서관인 북한자료센터의 사례를 통해 다른 정부기관 전문도서관에서의 활용 방향과 전자정부에서 시도된 다른 연계 시스템들과의 관계에 대해 논구한다. 마지막으로 이를 통해 PCRM이 전문도서관에서 발전적으로 정착하기 위해서 보안해야 할 문제에 대해서 고찰한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firstly concept and present condition of Policy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PCRM) system which applying in the governmental dimension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CRM) system of enterprises(profit-making organizations), comparison of PCRM and CRM, and definition of customer and customer classification process as a key of PCRM. Next, investigates applying plan in the other special libraries of governmental institution through the case study of Information Center on North Korea(special library attached to the Ministry of Unification) and relationship with different connection systems attempted in e-government(Enterprise Architecture). Lastly, through this, considers complemental issues for developmental fixation in special libraries.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과 토픽모델링을 활용하여 국내 정보활용교육 연구의 흐름을 살펴보고 향후 정보활용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국내 문헌정보학 분야의 학술지에 게재된 정보활용교육과 관련된 논문 306편을 선정하고, 논문의 초록을 대상으로 전처리 과정을 거쳐 전체 키워드 출현 빈도, 시기별 키워드 출현 빈도, 키워드 동시출현 빈도분석을 수행하였다. 이어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키워드의 연결중심성과 매개중심성, 위세중심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구조적 토픽모델링 분석을 활용하여 15개의 토픽(교육과정, 정보활용교육 효과, 정보활용교육 내용, 학교도서관 교육, 정보매체활용, 정보활용능력 평가 지표, 도서관 불안, 공공도서관 프로그램, 대학도서관 이용자교육, 건강정보 활용능력, 정보격차, 도서관활용수업 개선, 연구 동향, 정보활용교육 모델, 교사 역할)을 도출하고, 토픽별로 비중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연도별 토픽 추이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정보활용교육의 방향성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low of domestic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research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and topic modeling an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in the future. For this reason, 306 academic papers related to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of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field in Korea were chosen. And through the preprocessing process for abstracts of the paper, total keyword appearance frequency, keyword appearance frequency by period, and keyword simultaneous occurrence frequency were analyzed. Subsequently, keyword network analysis analyzed the degree centrality, between centrality, and eigenvector centrality of keywords. Using structural topic modeling analysis, 15 topics -curriculum, information literacy effect, contents of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school library education, information media literacy, information literacy ability evaluation index, library anxiety, public library program, health information literacy ability, digital divide, library assisted instruction improvement, research trend, information literacy model, and teacher role-were derived. In addition, the trend of topics by year was analyzed to confirm the change in relative weight by topic. Based on these results, the direction of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and the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were presented.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FRBR의 저작 단위로 태그(tag)가 부여되고 있는 LibraryThing에 나타난 태그를 활용하여, 소설(Fiction) 분야 태그들의 특성, 패턴의 형식적인 측면과 동시에 태그의 내용 분석을 시도하였다. 저작의 서지사항 기술 용어, LCSH 용어와 비교하여 관련 정도를 파악하였고, 이에 포함되지 않는 기타 태그의 출처는 어디인지, 저작의 어떤 측면을 표현하고 있는지, 저작과 연계하여 태그의 용어를 살펴보았다. 특히 소설이란 한 분야로 한정함으로써, 소설만이 가지는 특성인 소설의 3요소(주제, 구성, 문체), 소설 구성의 3요소(인물, 사건, 배경)를 반영한 태그를 파악하여, 향후 소설 정보의 조직 및 검색 요소로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 기존의 색인어를 보완하는 폭소노미 태그의 역할을 규명하고 태깅시스템이 나아갈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roperties of the tags used in the fiction genre, the structural aspect of the patterns and the contents of the tags by utilizing LibraryThing, where the tags are assigned in work units of FRBR.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in terms of the level of association between the descriptive terms in bibliography and LCSH terms. The study also examined the sources of the tags not included in the bibliographic descriptions or LCSHs, what aspects of work they represented, and the terms used as tags in relation to the work. By restricting the study to a single genre, a number of tags that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fiction (three elements of the fiction which are theme, plot, style and three elements of the fiction composition which are character, event, setting) were extracted. This study finds out the role of the tag making up the taxonomy and proposes a new direction for the tagging system by demonstrating the possibility of using tags as facets in information organization and retrieval.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opic areas of academic library research using two informetric methods; word clustering and Pathfinder network. For the data analysis, 139 articles published in maj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journals from 2005 to 2009 were collected from the Korean Science Citation Index database. The keywords that represent research topics were gathered from two sections: an abstract and titles in references. Results showed that reference titles usefully represent topics in detail, and combining abstracts and reference titles can produce an expanded topic map.

초록보기
초록

도서기호는 분류기호와 구별되어 도서의 서가 위치를 지정해주는 독자적인 장치로서 문헌의 기본기입요소, 즉 저자, 서명, 출판연 등을 포괄하는 문헌 속성의 조합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현재 우리나라 대학도서관은 동서용 9종과 양서용 2종으로 총 11종의 도서기호법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전국의 대학도서관 110개를 표본으로 선정하여 도서기호 업무를 담당하는 전문사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현행 도서기호법에 대한 문제점과 현행 도서기호법을 수정하거나 새로운 도서기호법으로 변경할 경우 고려사항의 인식 정도를 조사하였다. 이에 대학도서관의 전문사서들이 인식하고 있는 도서기호법의 가장 큰 문제점은 도서기호의 중복과 효율적인 장서관리로 조사되었다. 아울러 현행 도서기호법을 수정하거나 새로운 도서기호법으로 변경할 경우 가장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도서기호 중복 해소와 기존체계와의 일관성 및 서가배열을 중요 요소로 인식하고 있음이 파악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과 고려사항을 기반으로 현행 도서기호체계의 개선방안과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 현행 도서기호법의 표준화 필요성을 제시하였다.攀***Exchange Faculty, University of Northern Iowa, Cedar Falls, IA(cho519@wm.cau.ac.kr) 논문접수일자 : 2004년 11월 18일 게재확정일자 : 2004년 12월 15일攀攀

Abstract

Book numbers can be defined as the device for providing a unique self location for each book. They should include main entry which consists of author, title, the date of publication. Now, the university libraries are using eleven different methods on book numbers, in other words, nine eastern methods and two western method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roblems that the present book number system has and some concerns that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case of the modification of the book number system and change into a new one. This study is based on the survey in that the librarian gave to 110 university libraries throughout the nation. As a result, the survey indicates that the crucial concerns of the participathing libraries are ineffective book management and the duplication of book numbers. In addition, the survey indicates that the priorities of the libraries is removing duplicated numbers, adhering to the current system, and keeping the same book arrangement system.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components for the expansion of the book number system and the necessity of standardization of diverse book numbers.

390
임정훈(대전과학고등학교 교사) ; 조창제(NeuroEars 연구개발전담부서) ; 김종헌(대전과학고등학교 교사) 2022, Vol.39, No.3, pp.1-22 https://doi.org/10.3743/KOSIM.2022.39.3.00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에서 활용할 수 있는 도서추천시스템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서추천시스템은 DLS의 대출 데이터를 활용하여 연관규칙 기반의 알고리즘을 적용하였으며, 학교도서관 이용자들에게 개인화 도서추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였다. 이를 위해 Apriori 알고리즘 기반의 연관규칙과 매개 중심성 분석을 적용하고, 기술통계, 연관규칙 생성, 학생중심 추천, 도서 중심추천 등 세부 기능을 구현하였다. 이어서 사서교사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도서추천시스템 사용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도서추천의 필요성 및 어려움, 학생의 반응, 기존 추천방식과의 차이점 및 활용방안, 개선 사항에 대한 의견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토대로 다음의 논의점을 제안하였다. 첫째, 개별학교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장기간의 대출 데이터의 제공이 필요하다. 둘째, 지역별 혹은 학교 특성별 데이터 통합 방안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셋째, 독서교육종합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도서추천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내용을 토대로 향후 학교도서관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개인화 추천시스템 적용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book recommendation system that can be used in school libraries. The book recommendation system applies an algorithm based on association rules using DLS lending data and is designed to provide personalized book recommendation services to school library users. For this purpose, association rules based on the Apriori algorithm and betweenness centrality analysis were applied and detailed functions such as descriptive statistics, generation of association rules, student-centered recommendation, and book-centered recommendation were materialized. Subsequently, opinions on the use of the book recommendation system were investiga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eacher librarians.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opinions on the necessity and difficulty of book recommendation, student responses, differences from existing recommendation methods, utilization methods, and improvements were confirmed and based on this, the following discussions were proposed. First, it is necessary to provide long-term lending data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chool. Second,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data integration plan by region or school characteristics. Thir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book recommendation system provided by the Comprehensive Support System for Reading Education. Based on the contents proposed i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various discussions will be made on the application of a personalization recommendation system that can be used in the school library in the future.

정보관리학회지